본문내용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마리가 책을 읽어준다는 것이다. 광고회사에서도 외면한 ‘책 읽어주기’가 실제로는 인기가 있고 효과가 있었다. 효과가 있었다는 점, 즉 등장인물들이 책을 ‘들음’으로써 그들의 욕구를 해소했다는 점에서 ‘책을 읽어준다’는 것은 격려 혹은 욕구의 자극을 의미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청각은 시각보다 더욱 강렬하고 자극적일 수 있다. 마리의 음성은 텍스트로 읽으면서 글자에 집중해야하는 시각적 독서보다 훨씬 더 많은 상상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직접적이고 강렬한 감각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등장인물들은 자신이 듣고 있는 책의 내용에 더욱 수월하게 자신을 이입시킬 수 있었으며 욕구의 분출 및 해소의 단계에 도달할 수 있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과 계층의 등장인물에게 있어서 ‘책 읽기’란 공통적으로 ‘책 듣기’라는 이색적이고 풍부한 상상이 가능한 행위와 마리의 동조를 통해서 그들이 숨겨오고 억눌렸던 각자의 욕구를 해소하는 효용이 있었음을 알게 한다. 또한, 책을 읽어주는 역할을 한 마리에게 있어서도 ‘책 읽기’란 그녀가 자신의 고용인들의 욕구를 해소시켜줄 수 있는 도구, 매개체였음을 알 수 있다.
추천자료
독후감-테스(토마스하디)페미니즘관련
내안의 자유
펄벅의 대지를 읽고나서
미디어와 인간
미디어와 인간(정백교수)
[독서][독서지도][독서교육]독서와 독서지도(독서의 본질과 지도원리, 독서지도(독서교육) 방...
마시멜로 이야기 독서 감상문-호아킴 데 포사다 저,정지영 엮음
호밀밭의 파수꾼(The Catcher in the Ray)을 읽고 (J. D. 셀린저)
와우 를 읽고나서 (독후감)
독서의 이유(신동기)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 을 읽고
[독서교육] 어린이 독서지도 방법 - 독서의 중요성, 독서능력의 발달단계, 효과적인 독서습관...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 줄거리 분석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소감
[서평] 역사, 위험한 거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