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의 녹는점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체의 녹는점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내림 상수): 6.8
Δ일 때 몰랄 농도: 4.706
Δ일 때 몰랄 농도: 5.735
Δ일 때 몰랄 농도 공식에서 계산된 바이페닐 분자량: = 212.49
Δ일 때 몰랄 농도 공식에서 계산된 바이페닐 분자량: = 174.36
Δ일 때 실제 바이페닐과의 오차율: = 37.8%
Δ일 때 실제 바이페닐과의 오차율: = 13.1%
Δ일 때 3월 28일자 실험의 바이페닐 분자량과의 오차율: = 3.1%
Δ일 때 3월 28일자 실험의 바이페닐 분자량과의 오차율: = 15.4%
6. 고찰
이번 실험은 녹는점 내림 현상 실험을 약간 응용해 고체의 녹는점을 측정해내는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번 실험과 녹는점을 비교해봤을 때 6~7℃ 사이의 오차값을 보이는데, 이는 이번 실험에서 시간 구간을 20초 단위로 확대하면서 온도가 상승하지 않는 구간을 제대로 체크할 수 없어서 생긴 오차로 생각된다. 또한 굳힌 뒤에 다시 융해시킨 3번 실험에서 계산된 바이페닐의 분자량이 실제 바이페닐의 분자량과 근접한데, 이는 처음 융해될 때 두가지 물질이 고르게 섞이면서 균일한 혼합물이 되어 좀 더 이론값에 근접한 수치가 나온 것이라고 생각된다.
대부분의 물질의 녹는점과 어는점은 거의 같다. 예를 들어 상온에서 액체인 수은의 녹는점과 어는점은 똑같이 38.83℃이다. 그런데 어떤 물질들은 녹는점과 어는점이 서로 다르다. 대표적인 예시로 한천을 들 수 있는데, 한천을 가열하면 85℃에서 액체가 된다. 하지만 액체 상태의 한천을 식히면 31~40℃에서 굳어진다. 또 유리나 플라스틱같은 비정질 고체는 녹는점이나 어는점이 일정하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물질은 압력이 높아지면 녹는점도 높아진다. 그 이유는 물질은 대부분 고체에서 액체로 상변화 할 때 부피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부피가 늘어난다는 것은 분자간의 거리가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압력이 높아지면 분자들의 거리가 늘어나는 것을 억누르게 되므로 녹는점이 높아지는 것이다. 하지만 예외인 물질도 있는데, 바로 물이다. 물은 압력이 높아질수록 녹는점이 오히려 낮아진다. 그 이유는 물은 대부분의 물질과 달리 고체가 되면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물이 얼 때 물 분자들이 속이 빈 육각형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물은 압력이 높아지면 오히려 녹는점이 내려가는 거의 유일한 물질이다.
7. 참고문헌
위키피디아 바이페닐 문서
네이버캐스트 ‘어는점과 녹는점’ 문서
교재 대학화학실험법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10.17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24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