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통적 리더십
2. 서번트 리더십
1) 서번트 리더십의 배경
2)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
2. 서번트 리더십
1) 서번트 리더십의 배경
2)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
본문내용
로 생각한다. 그래서 부하들이 명령한 일을 잘 감당하지 못하면 그에 상응하는 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서번트 리더는 목적을 성취하는 수단으로 보지 않고 성공과 성장의 대상으로 본다. 일보다는 사람에게 그 중심이 있기 때문에 한 개인이 성장하고 성공할 수 있도록 섬기게 되면 일은 제대로 되어 간다고 본다. 왜냐하면 일은 사람이 감당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서번트 리더는 일보다는 관계를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 그린리프의 진술에서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
현재의 리더가 서번트 리더인지를 검증하려면 먼저 리더의 지원을 받고 있는 부하들이 인격적으로 성숙해 가는지 보다 건전하고 현명해지며 자유로워지는지 보다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지 그리고 부하들 스스로 서번트 리더로 성장해 가는지를 분석해 보아야 한다.
대부분의 조직은 리더가 피라미드 조직의 꼭대기에서 명령하고 지시한다. 그러나 서번트 리더는 자신의 부하들이 일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협력한다. 그래서 지도자는 피라미드 꼭대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직원들이 우선한다. 서번트 리더쉽을 적용하고 있는 킨코즈(Kinko's)에서는 관리자가 존재하는 가장 큰 이유를 부하들이 업무 추진과정에서 부딪히는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함이라고 한다. 그래서 킨코즈에서는 관리자는 지시하지 않고 대화해야 한다고 한다. 이는 상사와 부하와의 관계가 협력적 관계, 수평적 관계로 설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부하 중심, 부하 우선의 관계에 있음을 말해준다. 이러한 서번트 리더쉽이 종전의 리더쉽과의 차이를 대비해 보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파워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스포트라이트를 좋아한다.
스포트라이트를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
자신이 조직의 핵심으로 활동한다.
예수님을 조직의 핵심으로 만든다.
다른 리더를 키우지 않는다.
많은 리더를 키운다.
구성원의 이탈률이 높다.
구성원의 이탈률이 낮다.
초점을 자신과 현안에 맞춘다.
그리스도와 관련 안건에 초점을 맞춘다.
책임과 권한을 중시한다.
먼저 최고 서번트가 되는 것에 헌신한다.
직위를 자주 언급한다.
직위를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
처세에 능하고 방해자를 음해 한다.
사람을 존중하며 자유롭게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한다.
권력을 상징하는 이미지, 사무실, 보수를 중시한다.
파워 이미지를 제거한다.
많은 구성원을 직무 중심으로 선발한다.
하나님을 위해서 많은 구성원을 발굴한다.
현재의 리더가 서번트 리더인지를 검증하려면 먼저 리더의 지원을 받고 있는 부하들이 인격적으로 성숙해 가는지 보다 건전하고 현명해지며 자유로워지는지 보다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지 그리고 부하들 스스로 서번트 리더로 성장해 가는지를 분석해 보아야 한다.
대부분의 조직은 리더가 피라미드 조직의 꼭대기에서 명령하고 지시한다. 그러나 서번트 리더는 자신의 부하들이 일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협력한다. 그래서 지도자는 피라미드 꼭대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직원들이 우선한다. 서번트 리더쉽을 적용하고 있는 킨코즈(Kinko's)에서는 관리자가 존재하는 가장 큰 이유를 부하들이 업무 추진과정에서 부딪히는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함이라고 한다. 그래서 킨코즈에서는 관리자는 지시하지 않고 대화해야 한다고 한다. 이는 상사와 부하와의 관계가 협력적 관계, 수평적 관계로 설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부하 중심, 부하 우선의 관계에 있음을 말해준다. 이러한 서번트 리더쉽이 종전의 리더쉽과의 차이를 대비해 보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파워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스포트라이트를 좋아한다.
스포트라이트를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
자신이 조직의 핵심으로 활동한다.
예수님을 조직의 핵심으로 만든다.
다른 리더를 키우지 않는다.
많은 리더를 키운다.
구성원의 이탈률이 높다.
구성원의 이탈률이 낮다.
초점을 자신과 현안에 맞춘다.
그리스도와 관련 안건에 초점을 맞춘다.
책임과 권한을 중시한다.
먼저 최고 서번트가 되는 것에 헌신한다.
직위를 자주 언급한다.
직위를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
처세에 능하고 방해자를 음해 한다.
사람을 존중하며 자유롭게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한다.
권력을 상징하는 이미지, 사무실, 보수를 중시한다.
파워 이미지를 제거한다.
많은 구성원을 직무 중심으로 선발한다.
하나님을 위해서 많은 구성원을 발굴한다.
추천자료
[GLOBE 리더십][GLOBE 리더쉽)][GLOBE 리더십(리더쉽) 개념적 모형]GLOBE의 리더십(리더쉽) ...
[리더십] 리더십 사례연구 - 이순신의 리더십 : 우수한 리더들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고 평가...
[리더십연구] 막스 베버의 세가지 리더십 모델(카리스마적 리더십, 합리적 리더십, 관찰적 리...
[경영 리더십][경영 리더쉽][여성농업인][호텔관리자][교사]교사와 경영 리더십(리더쉽), CKO...
[리더십의이해] 리더십의 정의, 리더십의 중요성, 리더십의 주요이론, 리더십특성이론, 리더...
사회복지사의 리더십은 무엇이며 리더십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사회복지사) - 거래적 리더...
[기업 리더십][리더쉽][기업][팔로어십]기업 리더십(리더쉽)의 의의, 기업 리더십(리더쉽)의 ...
(경영학개론 리더십 공통) 본인의 리더십에 대한 평가문제, 교재 130~131p 설문지 활용 자신...
지속가능경영 레포트 - 리더십의 정의와 리더십 이론의 변천과정,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 및 ...
이병철과 정주영의 리더십 비교연구][이병철리더십][정주영리더십]이기는 리더십과 지지 않는...
[리더십] 리더십의 유형 중 미래 사회복지사로서 활용가능한 리더십을 선택 사례를 들어 기술...
[사회복지행정론] 리더십의 개념과 필요성 리더십의 기능과 유형 리더십 이론을 설명하고 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