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루어지고 있었다. 1980년대의 종교환경의 다양한 변화 외에도, 봉수교회 탄생의 이런 배경을 보면, 봉수교회는 그것이 국가에 의해서 운영되고 예배 참석자들이 동원되는 교회라 할지라도 그 안에 소수 나마 가정교회 형태로 신앙을 지켜온 기독교인들이 있는 한, 북한기독교의 존속을 보여주는 가시적 신앙공동체라고 할 수 있다. 봉수교회에는 과거 목사, 장로, 권사의 자녀들로서 최소한 20명 이상의 그루터기 신자들이 출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대부분의 북한종교 연구들은 북한 당국의 종교정책에 무게를 두고 종교탄압과 그로 인한 북한 종교의 소멸과정을 이해하고자 했었다. 그 결과 이 연구들은 기독교인들의 강인한 신앙고백과 신앙실천을 눈여겨보지 않았다. 국가의 종교정책으로부터 기독교인들의 생존 문제에 관심을 돌리면 북한교회의 역사는 남북분단 직후 신도들이 사회주의 체제와 수용, 갈등, 대결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이다가(1945-1953), 전쟁 후 북에 남은 극히 소수의 기독교인들이 반기독교적 분위기 속에서 가정교회 형태로나 개인단위로 은밀하게 신앙을 고백하는 침묵의 시기를 보내고(1953-1972), 그들 가운데 일부는 조선그리스도교련맹에 속해 북한사회에 모습을 드러내다가(1972-1988), 그것이 국제종교기구 및 남한교회와의 교류 그리고 주체사상의 새로운 종교 이해 등에 힘입어 봉수교회와 칠골교회의 등장으로 나타난 것으로(1988-) 정리해 볼 수 있다. 이것이 북한기독교의 역사적 존립 형태이다. 오늘날 남한교회는 통일대화나 인도적 지원 활동에서 이런 전통을 지닌 북한기독교와 접촉하고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북한종교 연구들은 북한 당국의 종교정책에 무게를 두고 종교탄압과 그로 인한 북한 종교의 소멸과정을 이해하고자 했었다. 그 결과 이 연구들은 기독교인들의 강인한 신앙고백과 신앙실천을 눈여겨보지 않았다. 국가의 종교정책으로부터 기독교인들의 생존 문제에 관심을 돌리면 북한교회의 역사는 남북분단 직후 신도들이 사회주의 체제와 수용, 갈등, 대결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이다가(1945-1953), 전쟁 후 북에 남은 극히 소수의 기독교인들이 반기독교적 분위기 속에서 가정교회 형태로나 개인단위로 은밀하게 신앙을 고백하는 침묵의 시기를 보내고(1953-1972), 그들 가운데 일부는 조선그리스도교련맹에 속해 북한사회에 모습을 드러내다가(1972-1988), 그것이 국제종교기구 및 남한교회와의 교류 그리고 주체사상의 새로운 종교 이해 등에 힘입어 봉수교회와 칠골교회의 등장으로 나타난 것으로(1988-) 정리해 볼 수 있다. 이것이 북한기독교의 역사적 존립 형태이다. 오늘날 남한교회는 통일대화나 인도적 지원 활동에서 이런 전통을 지닌 북한기독교와 접촉하고 있는 것이다.
추천자료
북한의 경제개혁 문제점과 전망
북한 역사의 특징과 북한 주민의 가치관
예수의 생애와 기독교 역사
[남북통일정책][남북관계][대북정책]남북통일정책의 변천, 북한 대외정책의 전개, 북한의 경...
[예배][교회예배][한국교회][기독교]예배(교회예배)의 정의, 예배(교회예배)의 역사, 예배(교...
한국 기독교의 역사
미국 캐나다 기독교 역사
[북한] 북한과 일본의 관계변화에 따른 영향과 전망 보고서
[어린이날][어린이날 의의][어린이날 기원][어린이날 역사][방정환][북한]어린이날의 의의, ...
[동성애]동성연애(동성애)의 역사, 발생요인, 동성연애(동성애)의 정체성, 동성연애(동성애)...
<인물과 신앙><기독교 역사인물> 민족운동가 이승훈에 대한 궁금한점 및 느낀점
북한 만화영화의 성격과 특징 (북한 만화영화의 역사, 특징, 실상, 북한 만화영화시청, 남·북...
북한 도발사태와 역사적 의미,북한의 도발,북한 핵실험,개성공단 가동중단
사회문제론 E형 북한 해외노동자들의 실태와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