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소방공무원의 징계
1. 징계의 사유
2. 징계의결 요구권자(징계위원회 설치기관)
3. 징계 등의 처분기록의 말소
4. 징계의 종류와 효력
5. 징계 사건의 통보
6. 징계 의결기한
7. 참고문헌
1. 징계의 사유
2. 징계의결 요구권자(징계위원회 설치기관)
3. 징계 등의 처분기록의 말소
4. 징계의 종류와 효력
5. 징계 사건의 통보
6. 징계 의결기한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통보를 하여야 한다.
6. 징계 의결기한
1) 징계의결을 요구를 받게 된 징계위원회는 그러한 요구서를 받게 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징계에 관한 의결을 하여야만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때에는 당해 징계위원회의 의결로 30일의 범위 안에서 그 기한을 연기를 할 수가 있게 된다.
2) 징계의결이 요구가 된 사건에 대한 징계절차의 진행이 '국가공무원법' 제83조 또는 '지방공무원법' 제73조의 규정에 의하여 중지가 된 때에는 그 중지된 기간은 제1항의 징계의결 기한에 산입을 하지 아니한다.
7. 참고문헌
1) 소방학개론(2012), 저자 : 정경문 외 9인, 동화기술
2) 소방시설의 이해(2013), 저자 : 김태완, 소방문화사
3) 소방방재학(2013), 저자 : 임중호, 이영재, 기문당
6. 징계 의결기한
1) 징계의결을 요구를 받게 된 징계위원회는 그러한 요구서를 받게 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징계에 관한 의결을 하여야만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때에는 당해 징계위원회의 의결로 30일의 범위 안에서 그 기한을 연기를 할 수가 있게 된다.
2) 징계의결이 요구가 된 사건에 대한 징계절차의 진행이 '국가공무원법' 제83조 또는 '지방공무원법' 제73조의 규정에 의하여 중지가 된 때에는 그 중지된 기간은 제1항의 징계의결 기한에 산입을 하지 아니한다.
7. 참고문헌
1) 소방학개론(2012), 저자 : 정경문 외 9인, 동화기술
2) 소방시설의 이해(2013), 저자 : 김태완, 소방문화사
3) 소방방재학(2013), 저자 : 임중호, 이영재, 기문당
추천자료
지방 인사 행정의 문제점
법률의구성과 기능
울산북구청장직무유기 (2006도1390)
근무성적평정
우리나라 응급의료 시스템에 관한 조사
2008년 1학기 인권법 중간시험과제물 E형(나이차별 관련 결정례)
교원(교사)의 정의, 교원(교사)의 임용, 교원(교사)의 퇴직, 교원(교사)의 휴직, 교원(교사)...
2011년 방화관리자 1급 방화관리자 2급교재 요약정리집
교사봉급(교원봉급)의 현황과 상세 분석 및 향후 개선방안 보고서(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
정년퇴직제도 문제점
[경영] 근무성적평정
119구급 선진화를 위한 발전방향
화재현장출동보고서 서류 작성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과제 - 구체적 갈등 사례 1-2개(1개 혹은 최대 2개)를 선택한 후 작성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