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어 문법-
1. 표음 문자와 표의 문자의 속성을 한글과 한자를 대조하여 파악해 보자.
2. 차자 표기인 향찰, 구결, 이두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파악해 보자.
3. 훈민정음의 28자모는 어떠한 원리에 의하여 만들어졌는지 알아보자.
4. 다음과 같은 글자는 15세기와 현대 국어에서 각각 어떻게 발음 되는지 알아보자.
5. 다음의 개념들에 대하여 알아보자.
6. 표음주의(또는 음소주의) 표기와 형태주의 표기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자.
1. 표음 문자와 표의 문자의 속성을 한글과 한자를 대조하여 파악해 보자.
2. 차자 표기인 향찰, 구결, 이두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파악해 보자.
3. 훈민정음의 28자모는 어떠한 원리에 의하여 만들어졌는지 알아보자.
4. 다음과 같은 글자는 15세기와 현대 국어에서 각각 어떻게 발음 되는지 알아보자.
5. 다음의 개념들에 대하여 알아보자.
6. 표음주의(또는 음소주의) 표기와 형태주의 표기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자.
본문내용
, ‘ㅁ’, ‘ㅇ’, ‘ㄹ’, ‘ㅿ’ 따위에 공통되는 음성적 특질을 이르는 말. 현대 음성학의 유성 자음에 해당한다.
6. 표음주의(또는 음소주의) 표기와 형태주의 표기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자.
표음주의 표기는 말 그대로 발음중상의 표기로 발음나는대로 적기이다. '굳이'를 '구지'로 적는 것과 같은 것이다. 요즘 인터넷 채팅에서 발음 나는 대로 적는 것은 표음주의 표기의 예이다. 낟, 낫, 낮, 낯, 낱, 낳을 표음적 표기로 하면 모두 '낟'으로 발음됨에도 불구하고 그 원형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그 예이다. 낟, 낫, 낮,낯,낱,낳 은 모두 '낟'으로 표기해야 함 훈민정음 창제당시의 우리말 동기 원칙은 형태주의 표기였으나 곧 표음적 표기가 일반화되었다가 현대어에서는 형태주의 손기가 원칙이 되었음.
6. 표음주의(또는 음소주의) 표기와 형태주의 표기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자.
표음주의 표기는 말 그대로 발음중상의 표기로 발음나는대로 적기이다. '굳이'를 '구지'로 적는 것과 같은 것이다. 요즘 인터넷 채팅에서 발음 나는 대로 적는 것은 표음주의 표기의 예이다. 낟, 낫, 낮, 낯, 낱, 낳을 표음적 표기로 하면 모두 '낟'으로 발음됨에도 불구하고 그 원형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그 예이다. 낟, 낫, 낮,낯,낱,낳 은 모두 '낟'으로 표기해야 함 훈민정음 창제당시의 우리말 동기 원칙은 형태주의 표기였으나 곧 표음적 표기가 일반화되었다가 현대어에서는 형태주의 손기가 원칙이 되었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