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과학교육에서의 질문
1) 유아교육에서의 질문
(1) 질문의 역할
(2) 틀린 답에 대한 반응
(3) 기대하지 않은 질문
(4) 질문시 유의사항
2) 확산적 사고를 위한 질문
(1) 수량화 질문
(2) 비교/대조 질문
(3) 감정/주장/의인화 질문
(4) ‘만일 ~라면’ 질문
3) 창의적 사고를 위한 질문
(1) 행동을 격려하는 질문
(2) 미래지향적 질문
(3) 문제해결을 격려하는 질문
2. 교사의 역할
참고문헌
1) 유아교육에서의 질문
(1) 질문의 역할
(2) 틀린 답에 대한 반응
(3) 기대하지 않은 질문
(4) 질문시 유의사항
2) 확산적 사고를 위한 질문
(1) 수량화 질문
(2) 비교/대조 질문
(3) 감정/주장/의인화 질문
(4) ‘만일 ~라면’ 질문
3) 창의적 사고를 위한 질문
(1) 행동을 격려하는 질문
(2) 미래지향적 질문
(3) 문제해결을 격려하는 질문
2. 교사의 역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방적인 상황을 제공하여 문제를 분석하고, 재조직하고 재기술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 때로는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상황들에서 관계를 찾아보고, 보편적이지 않은 관계라 하더라도 관련을 맺어 보는 경험도 중요함.
(1) 행동을 격려하는 질문
만약 네가 ~의 크기(모양, 색깔)를 바꿀 수 있다면 어떻게 하겠니?
만일 ~로부터 ~을 빼면 어떻게 될까?
여기에 ~을 보탠다면 어떻게 하겠니?
각기 다른 재료가 쓰인다면 어떤 일이 생길까?
(2) 미래지향적 질문
이 다음에 우리 동네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이야기해 보자.
우리 동네에 나무를 더 많이 심으면 어떻게 될까?
미래에는 어떤 에너지가 쓰일 것이라고 생각하니?
이 나무가 자라면 어떻게 될까? 생각나는 대로 이야기해 보자.
(3) 문제해결을 격려하는 질문
~에 대해 알고 싶으면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
이것을 어떻게 고치고 싶니?
이것을 어떻게 하고 싶니?
그것을 어떻게 더 나은 방법으로 할 수 있겠니?
어떻게 하면 ~이 될까?
2. 교사의 역할
일반적인 학습과정에 대한 견해나 교수효과, 특히 과학학습에 대한 효과에 대해 다양한 입장이 있으나 구성학습을 위해서는 탐문으로서의 과학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이 적용될 필요가 있음. 교사는 아동을 교수-학습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안내하여야 함.
① 유아로 하여금 자연세계의 질서에 대해 생각(Think)해 보도록 안내한다.
② 유아로 하여금 사물과 유기체를 체계(Systems)을 스스로 탐색(Explore)하도록 안내한다.
③ 유아로 하여금 탐구로 이끌 수 있도록 하는 자연 현상에 대해 질문(Ask)하도록 안내한다.
④ 유아로 하여금 자신의 의문점과 관련된 자료와 정보를 모으도록(Collect) 안내한다.
⑤ 유아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자료와 정보를 의미 있게 만들고 활용하는지 듣도록(Hear) 안내한다.
⑥ 유아로 하여금 자연현상에 대한 자신들의 이해를 설명(Explain)하고 방어하도록 안내한다.
⑦ 유아로 하여금 자신들의 이해와 다른 사람들의 이해를 반응(Reflect)하고, 아이디어를 명료화하고, 정교화하고 정당화하며 중기와 지식, 결론을 연결하도록 안내한다.
참고문헌
김현경, 김경희 외 저,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2014
김경미, 김현주 외 저, 현장중심 유아과학교육, 창지사 2013
조형숙, 김선월 외 저,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2014
한유미 저, 유아교학교육, 창지사 2013
(1) 행동을 격려하는 질문
만약 네가 ~의 크기(모양, 색깔)를 바꿀 수 있다면 어떻게 하겠니?
만일 ~로부터 ~을 빼면 어떻게 될까?
여기에 ~을 보탠다면 어떻게 하겠니?
각기 다른 재료가 쓰인다면 어떤 일이 생길까?
(2) 미래지향적 질문
이 다음에 우리 동네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이야기해 보자.
우리 동네에 나무를 더 많이 심으면 어떻게 될까?
미래에는 어떤 에너지가 쓰일 것이라고 생각하니?
이 나무가 자라면 어떻게 될까? 생각나는 대로 이야기해 보자.
(3) 문제해결을 격려하는 질문
~에 대해 알고 싶으면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
이것을 어떻게 고치고 싶니?
이것을 어떻게 하고 싶니?
그것을 어떻게 더 나은 방법으로 할 수 있겠니?
어떻게 하면 ~이 될까?
2. 교사의 역할
일반적인 학습과정에 대한 견해나 교수효과, 특히 과학학습에 대한 효과에 대해 다양한 입장이 있으나 구성학습을 위해서는 탐문으로서의 과학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이 적용될 필요가 있음. 교사는 아동을 교수-학습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안내하여야 함.
① 유아로 하여금 자연세계의 질서에 대해 생각(Think)해 보도록 안내한다.
② 유아로 하여금 사물과 유기체를 체계(Systems)을 스스로 탐색(Explore)하도록 안내한다.
③ 유아로 하여금 탐구로 이끌 수 있도록 하는 자연 현상에 대해 질문(Ask)하도록 안내한다.
④ 유아로 하여금 자신의 의문점과 관련된 자료와 정보를 모으도록(Collect) 안내한다.
⑤ 유아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자료와 정보를 의미 있게 만들고 활용하는지 듣도록(Hear) 안내한다.
⑥ 유아로 하여금 자연현상에 대한 자신들의 이해를 설명(Explain)하고 방어하도록 안내한다.
⑦ 유아로 하여금 자신들의 이해와 다른 사람들의 이해를 반응(Reflect)하고, 아이디어를 명료화하고, 정교화하고 정당화하며 중기와 지식, 결론을 연결하도록 안내한다.
참고문헌
김현경, 김경희 외 저,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2014
김경미, 김현주 외 저, 현장중심 유아과학교육, 창지사 2013
조형숙, 김선월 외 저,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2014
한유미 저, 유아교학교육, 창지사 2013
추천자료
영유아 과학교육의 교수 학습 원리와 교수 방법,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 과학교육의 개념과 ...
영유아 과학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유아를 대상으로 과학교육을 할 때 적용되는 교수 원리에 대하여 설명
유아 과학교육을 위한 환경 - 심리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 및 과학 교육 환경의 안전 - 물리적...
[아동과학지도] 영유아 과학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영유아과학지도] 영유아 수과학교육의 중요성과 문제점 및 교사의 역할 - 수과학교육
[아동과학지도] 영유아 과학교육의 다양한 관점에 대해 알아보고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술 (...
유아를 대상으로 과학교육을 할 때 적용되는 교수원리에 대해 설명 (과학교육)
(영유아 과학교육) 영유아 과학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을 논하시오.
유아과학이 유아교육에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힘들어하거나 소...
[아동과학지도] 영유아 과학교육의 내용 선정 기준과 과학교육 내용으로 다루어져야 할 세부...
[아동과학지도] 유아교육현장에서 과학의 인간화를 실현할 수 있는 접근방법에 대해서 구체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