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응력(應力, stress)
Ⅰ인장 응력(引張應力, tensile stress)
Ⅱ압축 응력(壓縮應力, compressive stress)
Ⅲ전단 응력(剪斷應力, shearing stress)
Ⅳ비틀림 응력(- 應力, torsional stress)
Ⅴ휨 응력(-應力, bending stress)
Ⅵ수직응력(垂直應力, normal stress)
Ⅶ잔류 응력(殘留應力, Residual Stress)
⧉보(Beam)
Ⅰ단순보(simple beam)
Ⅱ외팔보(cantilever beam)
Ⅲ돌출보(overhanging beam)
Ⅳ게르버보(gerber beam)
Ⅴ고정지지보(one end fixed and other and surpported beam)
Ⅵ양단고정보(both ends fixed beam)
Ⅶ연속보(continuous beam)
Ⅰ인장 응력(引張應力, tensile stress)
Ⅱ압축 응력(壓縮應力, compressive stress)
Ⅲ전단 응력(剪斷應力, shearing stress)
Ⅳ비틀림 응력(- 應力, torsional stress)
Ⅴ휨 응력(-應力, bending stress)
Ⅵ수직응력(垂直應力, normal stress)
Ⅶ잔류 응력(殘留應力, Residual Stress)
⧉보(Beam)
Ⅰ단순보(simple beam)
Ⅱ외팔보(cantilever beam)
Ⅲ돌출보(overhanging beam)
Ⅳ게르버보(gerber beam)
Ⅴ고정지지보(one end fixed and other and surpported beam)
Ⅵ양단고정보(both ends fixed beam)
Ⅶ연속보(continuous beam)
본문내용
beam)
일단이 부동 힌지점 위에 지지되어 있고 타단이 가동 힌지점 위에 지지되어 있는 보이며 반력의 수는 세 개다. (그림 7.2 (a))
Ⅱ외팔보(cantilever beam)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자유로 되어 있어 보이며 반력의 수는 세 개다. (그림 7.2 (b))
Ⅲ돌출보(overhanging beam)
일단이 부동힌지점 위에 지지되어 있고 보의 중앙 근방에 가동 힌지점이 지지되어 있어 보의 한 부분이 지점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보를 말하며 내다지보라고도 한다. 반력수는 세 개다. (그림 7.2 (c))
Ⅳ게르버보(gerber beam)
돌출보와 단순보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보를 말한다. 이 보의 반력은 세 개이상이지만 단순보와 돌출보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하면 역시 반력은 세 개다. 즉 단순보 CD만을 생각하고 C점의 반력을 구하여 C점의 반력을 돌출보의 C점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생각하고 돌출보를 계산하게 된다. (그림 7.2 (d))
Ⅴ고정지지보(one end fixed and other and surpported beam)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가동힌지점 위에 지지된 보이며 반력의 수는 네 개다. (그림 7.2 (e))
Ⅵ양단고정보(both ends fixed beam)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보이며 미지의 반력은 여섯 개다. (그림 7.2 (f))
Ⅶ연속보(continuous beam)
한 개의 부동 힌지점과 두 개 이상의 가동 힌지점이 연속하여 지지되어 있을 때의 보이며 미지의 반력의 수는 지점의 수보다 한 개 많다. 보의 지점간의 거리를 스팬이라 한다. (그림 7.2 (g))
일단이 부동 힌지점 위에 지지되어 있고 타단이 가동 힌지점 위에 지지되어 있는 보이며 반력의 수는 세 개다. (그림 7.2 (a))
Ⅱ외팔보(cantilever beam)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자유로 되어 있어 보이며 반력의 수는 세 개다. (그림 7.2 (b))
Ⅲ돌출보(overhanging beam)
일단이 부동힌지점 위에 지지되어 있고 보의 중앙 근방에 가동 힌지점이 지지되어 있어 보의 한 부분이 지점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보를 말하며 내다지보라고도 한다. 반력수는 세 개다. (그림 7.2 (c))
Ⅳ게르버보(gerber beam)
돌출보와 단순보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보를 말한다. 이 보의 반력은 세 개이상이지만 단순보와 돌출보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하면 역시 반력은 세 개다. 즉 단순보 CD만을 생각하고 C점의 반력을 구하여 C점의 반력을 돌출보의 C점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생각하고 돌출보를 계산하게 된다. (그림 7.2 (d))
Ⅴ고정지지보(one end fixed and other and surpported beam)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가동힌지점 위에 지지된 보이며 반력의 수는 네 개다. (그림 7.2 (e))
Ⅵ양단고정보(both ends fixed beam)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보이며 미지의 반력은 여섯 개다. (그림 7.2 (f))
Ⅶ연속보(continuous beam)
한 개의 부동 힌지점과 두 개 이상의 가동 힌지점이 연속하여 지지되어 있을 때의 보이며 미지의 반력의 수는 지점의 수보다 한 개 많다. 보의 지점간의 거리를 스팬이라 한다. (그림 7.2 (g))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