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후반과 구체적 조작기 초반
- 보존과 무게에 대한 개념을 이해
- 항목들을 순서대로 qodufgku 개념적으로 조직화할 수 있게 되고
- 자기중심성이 점차 줄어들어 사물들을 자기 자신과의 관련성 소겡서보다는 사물들 상호 간의 관련성 속에서 표상할 수 있게됨
-·시작적 상징과 사실적 도식이 보다 정교하게 발달하여, 사실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됨
-·색깔과 사물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시작하나(예:나뭇잎은 녹색으로, 장미꽃은 빨간색으로 칠함), 여전히 융통성이 부족하여 다양한 색으로 표현하지는 못함
-·7-9세가 되면, 깊이를 표상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하여 그림을 삼차원적, 입체적으로 그릴 수 있게 되고, 투시적인 그림도 나타나게 됨(예:동물을 내장까지 다 보이게 그리거나 가려 졌어야 할 모습까지 모두 그리기도 함)
-·특정 사물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크기를 과장해서 그림
-·연속하여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을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됨(예:날아오는 야구공을 방망이로 치는 그림)
5단계 : 현실주의 시기
- ·9-12세
-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 분류상 구체적 조작기 후반
- 자기중심적이 사고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의 생각, 견해, 감정을 고려할 수 있게 됨
- 대인관계, 인과관계, 상호의존성에 대한 이해가 움트기 시작하여 집단 내에서 사람들과 어울리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춤
- 자신의 주변 세계를 자각하게 되고, 자신이 지각한 바를 표상하고 이를 표현하는 방식이 더욱 세련되고 정교해짐
-·사물의 도식적 표상에서 벗어나, 사물의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모습을 묘사하려고 하여 그림의 표현 양상이 복잡해짐
-·원근감을 표현하려고 노력함
-·주변 사물을 묘사하는 데 있어서 색깔도 더욱 정교해지고 다양하게 표현하기 시작함
-·사람 그림도 세부적으로 그림
-·그림을 정확하게 그리는 것이 가장 잘 그리는 것이라 생각하게 되어 그림의 독창성과 표현의 자유로움이 줄어들고 보다 관습적인 표현방식, 즉 구체적이고 사실적인묘사를 하게 됨
6단계 : 청소년기
- ·10세 이후의 청소년들의 회화 능력이 이전 단계 정도의 수준에 머물게 됨
-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한다는 데 대한 좌절감이나 실망감으로 인하여,
- 그림 외의 다른 영역에 대한 관심 때문에 미술 실력이 향상될 수 있는 기회의 차단으로 인하여 회화 능력의 발달이 멈춰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좀 더 발달하는 측면이 있다면,
- 원근감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고,
- 깊이 차원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게 되며,
- 세부적인 묘사를 비롯한 묘사의 정확성이 향상되며,
- 추상적인 이미지를 구성하는 능력이 생김
- ·회화에 소질과 적성이 있는 일부 청소년들은 이 시기에 미술 실력이 배우 발달하여 예술적 기교까지 익힐 수 있게 되기도 함
-·그림을 그리는데 있어 아동들이 '주변 활경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데' 주력한다면. 이 시기에는 그림을 통해 철학이나 가치관, 자신에 대한 생각을 '스스로 의도하여' 상징화하여 나타내기 때문에 자기를 표현하고 외부 세계와 의사소통할 수 있게 된다.
◎ 색에 대한 심리
유아의 생리적 조건, 심리적 정서 감정 반영하는 상징
┎색채강한 흥미 - 충동적
┖색채 흥미보다 선, 형관심- 이성적,방어적
① 빨강
- 주위 관계 건강, 협동적,애정과 연관된 감정표현,
- 굵고 진한 경우- 공격적
- 덧칠한 경우- 욕구 불만, 공격성
- 밝고 선명한 색 사용- 마음안정,명랑 ↔ 어둡고,불안정,반항
- 따뜻한 색 - 원만,붙임성,사교적 ↔ 비판적,공격적,자기중심적,독립적
② 주황
- 주위환경에 잘 순응,적극적,활동적
- 내성적 아동이 많이 사용할 경우,적응성,생동감 욕구의 표현
③ 노랑
- 유아관계를 나타내는 색, 과잉보호 속에 자란 아동
- 걱정이 없고 명랑 희망적 성장 욕구
④ 초록
- 자기 만족, 확신, 협동적, 질서의식, 이해심 많다.
- 억제적, 감정 결여 및 도피 성향, 이상, 평화, 신성, 영원
⑤ 파랑
- 비교적 밝은 성격,이지적 이성적
- 냉철한 사고력, 자기억제적
- 내성적, 우울한 감정
⑥ 보라
- 불행한 느낌. 불안정,친구로부터 고립감,
- 감정 표현 오류,감상적, 우울, 숭고, 천사
- 냉철, 신비, 우아, 고귀와 무관한 사랑의 감정
⑦ 고동
- 유아적 상태. 의뢰심 많다. 현실에 부적응
- 청결한 습관을 강요당한 경우
- 순박, 성실, 정직, 책임감, 의무감이 강함,주로 농촌 아동
⑧ 흰색
- 두려움과 무기력
- 거짓말을 잘 하는 경우 흰색으로 덧칠하는 경향
- 순수, 청결, 순결, 신성, 정직
⑨ 회색
- 노숙, 점잖음, 겸손, 내성적, 무난, 우울
- 적극성 생동감 약함, 대인관계가 원만치 않음
- 경계심 강하고 열등감 많다, 만성적 불안감 상징
⑩ 검정
- 자유로운 감정의 결여,공포나 불안, 압박감,공격적,사치스러움
- 허무, 절망, 침묵, 죄악, 주검, 암흑, 고독
→자폐의 경우 검정고착을 위의 경향으로 해석하기 전에 첫 인식된 색의 판단후 검정색 빼고 색 제시.
* 다양한 색 경험 유도(중간에 뺏으면 거부가능)
참고 싸이트
* 한국 미술치료학회 * http://www.korean-arttherapy.or.kr
* 표현예술치료협회 * http://www.keapa.or.kr
* 한국 예술치료학회 * http://artstherapy.or.kr
* 원광 예술치료 연구소 * http://www.artstherapy.or.kr
* 서울미술치료 연구소 * http://www.arttherapy.or.kr
* 부산미술치료 연구소 * http://www.simli75.com
* 대전미술치료 연구소 * http://www.art-daejeon.org
* 대구미술치료 연구소 * http://www.misul75.net
* 수원미술치료 교육센터 * http://www.swatec.co.kr
* 이지현 미술치료실 * http://www.myarttherapy.com
* 정여주 미술치료 연구소 * http://www.jyj-arttherapy.or.kr
* 도깨비 미술치료 교실 * http://www.cat-song.co.kr
* 미술아닷컴 * http://www.misoola.com
- 보존과 무게에 대한 개념을 이해
- 항목들을 순서대로 qodufgku 개념적으로 조직화할 수 있게 되고
- 자기중심성이 점차 줄어들어 사물들을 자기 자신과의 관련성 소겡서보다는 사물들 상호 간의 관련성 속에서 표상할 수 있게됨
-·시작적 상징과 사실적 도식이 보다 정교하게 발달하여, 사실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됨
-·색깔과 사물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시작하나(예:나뭇잎은 녹색으로, 장미꽃은 빨간색으로 칠함), 여전히 융통성이 부족하여 다양한 색으로 표현하지는 못함
-·7-9세가 되면, 깊이를 표상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하여 그림을 삼차원적, 입체적으로 그릴 수 있게 되고, 투시적인 그림도 나타나게 됨(예:동물을 내장까지 다 보이게 그리거나 가려 졌어야 할 모습까지 모두 그리기도 함)
-·특정 사물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크기를 과장해서 그림
-·연속하여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을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됨(예:날아오는 야구공을 방망이로 치는 그림)
5단계 : 현실주의 시기
- ·9-12세
-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 분류상 구체적 조작기 후반
- 자기중심적이 사고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의 생각, 견해, 감정을 고려할 수 있게 됨
- 대인관계, 인과관계, 상호의존성에 대한 이해가 움트기 시작하여 집단 내에서 사람들과 어울리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춤
- 자신의 주변 세계를 자각하게 되고, 자신이 지각한 바를 표상하고 이를 표현하는 방식이 더욱 세련되고 정교해짐
-·사물의 도식적 표상에서 벗어나, 사물의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모습을 묘사하려고 하여 그림의 표현 양상이 복잡해짐
-·원근감을 표현하려고 노력함
-·주변 사물을 묘사하는 데 있어서 색깔도 더욱 정교해지고 다양하게 표현하기 시작함
-·사람 그림도 세부적으로 그림
-·그림을 정확하게 그리는 것이 가장 잘 그리는 것이라 생각하게 되어 그림의 독창성과 표현의 자유로움이 줄어들고 보다 관습적인 표현방식, 즉 구체적이고 사실적인묘사를 하게 됨
6단계 : 청소년기
- ·10세 이후의 청소년들의 회화 능력이 이전 단계 정도의 수준에 머물게 됨
-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한다는 데 대한 좌절감이나 실망감으로 인하여,
- 그림 외의 다른 영역에 대한 관심 때문에 미술 실력이 향상될 수 있는 기회의 차단으로 인하여 회화 능력의 발달이 멈춰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좀 더 발달하는 측면이 있다면,
- 원근감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고,
- 깊이 차원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게 되며,
- 세부적인 묘사를 비롯한 묘사의 정확성이 향상되며,
- 추상적인 이미지를 구성하는 능력이 생김
- ·회화에 소질과 적성이 있는 일부 청소년들은 이 시기에 미술 실력이 배우 발달하여 예술적 기교까지 익힐 수 있게 되기도 함
-·그림을 그리는데 있어 아동들이 '주변 활경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데' 주력한다면. 이 시기에는 그림을 통해 철학이나 가치관, 자신에 대한 생각을 '스스로 의도하여' 상징화하여 나타내기 때문에 자기를 표현하고 외부 세계와 의사소통할 수 있게 된다.
◎ 색에 대한 심리
유아의 생리적 조건, 심리적 정서 감정 반영하는 상징
┎색채강한 흥미 - 충동적
┖색채 흥미보다 선, 형관심- 이성적,방어적
① 빨강
- 주위 관계 건강, 협동적,애정과 연관된 감정표현,
- 굵고 진한 경우- 공격적
- 덧칠한 경우- 욕구 불만, 공격성
- 밝고 선명한 색 사용- 마음안정,명랑 ↔ 어둡고,불안정,반항
- 따뜻한 색 - 원만,붙임성,사교적 ↔ 비판적,공격적,자기중심적,독립적
② 주황
- 주위환경에 잘 순응,적극적,활동적
- 내성적 아동이 많이 사용할 경우,적응성,생동감 욕구의 표현
③ 노랑
- 유아관계를 나타내는 색, 과잉보호 속에 자란 아동
- 걱정이 없고 명랑 희망적 성장 욕구
④ 초록
- 자기 만족, 확신, 협동적, 질서의식, 이해심 많다.
- 억제적, 감정 결여 및 도피 성향, 이상, 평화, 신성, 영원
⑤ 파랑
- 비교적 밝은 성격,이지적 이성적
- 냉철한 사고력, 자기억제적
- 내성적, 우울한 감정
⑥ 보라
- 불행한 느낌. 불안정,친구로부터 고립감,
- 감정 표현 오류,감상적, 우울, 숭고, 천사
- 냉철, 신비, 우아, 고귀와 무관한 사랑의 감정
⑦ 고동
- 유아적 상태. 의뢰심 많다. 현실에 부적응
- 청결한 습관을 강요당한 경우
- 순박, 성실, 정직, 책임감, 의무감이 강함,주로 농촌 아동
⑧ 흰색
- 두려움과 무기력
- 거짓말을 잘 하는 경우 흰색으로 덧칠하는 경향
- 순수, 청결, 순결, 신성, 정직
⑨ 회색
- 노숙, 점잖음, 겸손, 내성적, 무난, 우울
- 적극성 생동감 약함, 대인관계가 원만치 않음
- 경계심 강하고 열등감 많다, 만성적 불안감 상징
⑩ 검정
- 자유로운 감정의 결여,공포나 불안, 압박감,공격적,사치스러움
- 허무, 절망, 침묵, 죄악, 주검, 암흑, 고독
→자폐의 경우 검정고착을 위의 경향으로 해석하기 전에 첫 인식된 색의 판단후 검정색 빼고 색 제시.
* 다양한 색 경험 유도(중간에 뺏으면 거부가능)
참고 싸이트
* 한국 미술치료학회 * http://www.korean-arttherapy.or.kr
* 표현예술치료협회 * http://www.keapa.or.kr
* 한국 예술치료학회 * http://artstherapy.or.kr
* 원광 예술치료 연구소 * http://www.artstherapy.or.kr
* 서울미술치료 연구소 * http://www.arttherapy.or.kr
* 부산미술치료 연구소 * http://www.simli75.com
* 대전미술치료 연구소 * http://www.art-daejeon.org
* 대구미술치료 연구소 * http://www.misul75.net
* 수원미술치료 교육센터 * http://www.swatec.co.kr
* 이지현 미술치료실 * http://www.myarttherapy.com
* 정여주 미술치료 연구소 * http://www.jyj-arttherapy.or.kr
* 도깨비 미술치료 교실 * http://www.cat-song.co.kr
* 미술아닷컴 * http://www.misoola.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