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술의 개념
Ⅰ. 기술의 정의
Ⅱ. 기술의 분류
1. 기술의 기능적 관점에서의 분류
2. 기술의 창조, 응용관점에서의 분류
1) 제품기술
2) 제조기술
3) 정보기술
3. 기타 기술분류
Ⅰ. 기술의 정의
Ⅱ. 기술의 분류
1. 기술의 기능적 관점에서의 분류
2. 기술의 창조, 응용관점에서의 분류
1) 제품기술
2) 제조기술
3) 정보기술
3. 기타 기술분류
본문내용
서로 다르다.
기술을 분류함에 있어 기본적으로 구분되어야 할 것이 제품기술(Product technology)과 생산(공정)기술(Production or Process technology)이다.
제품기술은 제품 자체에 관한 기술로서, 원재료가 원료형태인가 아니면 부품형태인가에 따라, 그리고 완성품인가 부분품인가에 따라 그 기술의 내용이 달라지는 것이다.
생산(공정)기술은 어떠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생산방법이나 생산설비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류는 모든 산업기술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기본적 사고의 전제요건으로서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와 비슷한 산업기술 분류방법에는 공정기술(Processing technology), 운영관리기술(Operating technology), 설계기술(Design technology), 연구개발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공정기술은 제조 및 생산과정의 투입요소로서 하드웨어, 원료의 처리, 가공기술 및 완성된 제품의 시험 공정에 관한 기술을 의미하며, 운영관리기술은 효율적 생산설비의 운영, 생산설비, 시설 및 기구의 보존상태 검사 및 유지기술을, 설계기술은 소프트웨어 기술로서 제품 및 부분품의 설계와 공장 및 공정설계에 이용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기술 분류는 여러 측면에서 검토할 수 있으며 이에 연결시켜 생각할 수 있는 것이 "기술의 분류나 수준"에 따른 산업분류의 문제이다. 각 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술의 내용 특성 수준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현격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특히, 기존의 분류방식(예, 표준산업분류)에 따라 동일한 산업으로 분류되는 경우에도 그 산업 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산기술의 내용이나 수준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기술적 특성이나 수준 등에 의해 산업을 구체적으로 유형화하는 것은 산업기술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상황이론(Contingency theory)의 입장에서 보면, 기술 분류를 적합하게 하고 그에 따라 산업을 유형화하여 산업에 내재되어 있는 기술의 내용을 좀 더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것은 기술에 대한 제반연구나 관련 실무자들에게 상황에 알맞은 합목적적 틀을 제공한다는데 커다란 의미가 있다.
기술적 특성이나 수준에 의해 산업분류를 시도한 것은 그리 많지는 않으나 아버내시와 타운센드(W. Abernathy & P. Townsend)는 생산공정기술을 기술의 체계화 단계에 따라 비조정기(Unconnected Stage) -> 단편적 자동화기(Segmental stage) -> 체계적 자동화기(Systematic stage)로 구분하여 산업을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페린(J. Perrin)은 기술용역의 입장에서 체계화 정도(Degree of systemization)에 따라 산업을 분류했는데 양자의 기술분류형태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기술체계화단계에 따른 산업분류의 예
한편, 기술의 간접개념으로서의 기술적 특성에 의해 산업을 분류하기도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연구개발집약도"에 따라 과학적 산업(Science based), 혼합산업(Mixed), 평균적 산업(Average), 비과학적 산업(Non-Science based) 등 4가지로 분류하고 있으며, 기술의 가공도에 따라 소재형 산업, 가공형 산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제품 수명주기, 사업연관효과, 부가가치의 창출정도, 기술요소 집약도에 의해 산업을 분류하기도 하는 등 기술 분류는 산업분류의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산업분류 방법은 산업기술이 가지고 있는 개념을 직접적으로 나타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술자체를 이해하는데 직접적 도움이 되지 못하며 단지 부수적이고 간접적 개념 설명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유엔공업개발기구(UNIDO)는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의 형태를 단일설비형(Equipment-based), 제품중시형 (Product-based), 일관조립형(Operations-based), 연속공정형(Process-based)으로 분류하고 이들 기술 중 무엇이 핵심적으로 사용되는가에 따라 산업을 분류함으로써 기술이 가지는 성격에 따른 분류를 시도하였다.
여기에서 단일설비형 기술은 기술의 중심이 작은 규모의 산업설비에 내재해 있고 설비 또는 원재료 공급자에 의해 기술정보가 제공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제품중심형은 기술의 중심이 화학적 배합이나 완성제품의 논리적 구조 등에 내재되어 있으며 생산설비 및 공정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거나 쉽사리 획득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연속공정형은 완성제품이나 설비는 잘 알려져 있으나 그 규모가 방대하며 기술적 가치가 질적 균형, 에너지 균형, 흐름도(Flow-chart)와 같은 구체적 공정에 있는 경우를 의미하고 있다.
기술적 성격에 따른 산업분류
끝으로 일관조립형 기술은 조립제품과 같은 경우로서 상기한 여러 종류의 기술의 혼합적 성격을 나타내며 제품자체의 제조기술도 복잡할 뿐 아니라 비교적 대규모 생산설비가 필요한 경우이다. 이와 같이 UNIDO는 기술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기술적 특성, 즉 기술의 원천, 기술의 획득 및 보호 정도, 기술이전의 대상 및 요체, 융통성에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 분류에 대한 접근법은 산업기술의 성격을 비교적 구체적이고도 본질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들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접근방법은 어떤 특정산업을 분류할 때 상황에 알맞게 합목적적으로 적합한 분류를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일관조립형 기술을 사용하는 산업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면 자동차 부품 즉, 엔진부분의 생산은 제품중심형 기술이 그리고 램프(Lamp)의 생산에는 단일설비형 기술이 핵심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황이론과 같이 새로운 각도에서 기술문제에 접근하는 경우, 기술을 좀 더 본질적이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분류체계가 제공됨으로써 기술의 개발 획득 관리를 위한 상황판단과 대처방안의 모색 즉, 기술경영의 실행이 보다 용이해진다고 볼 수 있다.
기술을 분류함에 있어 기본적으로 구분되어야 할 것이 제품기술(Product technology)과 생산(공정)기술(Production or Process technology)이다.
제품기술은 제품 자체에 관한 기술로서, 원재료가 원료형태인가 아니면 부품형태인가에 따라, 그리고 완성품인가 부분품인가에 따라 그 기술의 내용이 달라지는 것이다.
생산(공정)기술은 어떠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생산방법이나 생산설비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류는 모든 산업기술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기본적 사고의 전제요건으로서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와 비슷한 산업기술 분류방법에는 공정기술(Processing technology), 운영관리기술(Operating technology), 설계기술(Design technology), 연구개발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공정기술은 제조 및 생산과정의 투입요소로서 하드웨어, 원료의 처리, 가공기술 및 완성된 제품의 시험 공정에 관한 기술을 의미하며, 운영관리기술은 효율적 생산설비의 운영, 생산설비, 시설 및 기구의 보존상태 검사 및 유지기술을, 설계기술은 소프트웨어 기술로서 제품 및 부분품의 설계와 공장 및 공정설계에 이용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기술 분류는 여러 측면에서 검토할 수 있으며 이에 연결시켜 생각할 수 있는 것이 "기술의 분류나 수준"에 따른 산업분류의 문제이다. 각 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술의 내용 특성 수준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현격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특히, 기존의 분류방식(예, 표준산업분류)에 따라 동일한 산업으로 분류되는 경우에도 그 산업 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산기술의 내용이나 수준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기술적 특성이나 수준 등에 의해 산업을 구체적으로 유형화하는 것은 산업기술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상황이론(Contingency theory)의 입장에서 보면, 기술 분류를 적합하게 하고 그에 따라 산업을 유형화하여 산업에 내재되어 있는 기술의 내용을 좀 더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것은 기술에 대한 제반연구나 관련 실무자들에게 상황에 알맞은 합목적적 틀을 제공한다는데 커다란 의미가 있다.
기술적 특성이나 수준에 의해 산업분류를 시도한 것은 그리 많지는 않으나 아버내시와 타운센드(W. Abernathy & P. Townsend)는 생산공정기술을 기술의 체계화 단계에 따라 비조정기(Unconnected Stage) -> 단편적 자동화기(Segmental stage) -> 체계적 자동화기(Systematic stage)로 구분하여 산업을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페린(J. Perrin)은 기술용역의 입장에서 체계화 정도(Degree of systemization)에 따라 산업을 분류했는데 양자의 기술분류형태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기술체계화단계에 따른 산업분류의 예
한편, 기술의 간접개념으로서의 기술적 특성에 의해 산업을 분류하기도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연구개발집약도"에 따라 과학적 산업(Science based), 혼합산업(Mixed), 평균적 산업(Average), 비과학적 산업(Non-Science based) 등 4가지로 분류하고 있으며, 기술의 가공도에 따라 소재형 산업, 가공형 산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제품 수명주기, 사업연관효과, 부가가치의 창출정도, 기술요소 집약도에 의해 산업을 분류하기도 하는 등 기술 분류는 산업분류의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산업분류 방법은 산업기술이 가지고 있는 개념을 직접적으로 나타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술자체를 이해하는데 직접적 도움이 되지 못하며 단지 부수적이고 간접적 개념 설명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유엔공업개발기구(UNIDO)는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의 형태를 단일설비형(Equipment-based), 제품중시형 (Product-based), 일관조립형(Operations-based), 연속공정형(Process-based)으로 분류하고 이들 기술 중 무엇이 핵심적으로 사용되는가에 따라 산업을 분류함으로써 기술이 가지는 성격에 따른 분류를 시도하였다.
여기에서 단일설비형 기술은 기술의 중심이 작은 규모의 산업설비에 내재해 있고 설비 또는 원재료 공급자에 의해 기술정보가 제공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제품중심형은 기술의 중심이 화학적 배합이나 완성제품의 논리적 구조 등에 내재되어 있으며 생산설비 및 공정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거나 쉽사리 획득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연속공정형은 완성제품이나 설비는 잘 알려져 있으나 그 규모가 방대하며 기술적 가치가 질적 균형, 에너지 균형, 흐름도(Flow-chart)와 같은 구체적 공정에 있는 경우를 의미하고 있다.
기술적 성격에 따른 산업분류
끝으로 일관조립형 기술은 조립제품과 같은 경우로서 상기한 여러 종류의 기술의 혼합적 성격을 나타내며 제품자체의 제조기술도 복잡할 뿐 아니라 비교적 대규모 생산설비가 필요한 경우이다. 이와 같이 UNIDO는 기술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기술적 특성, 즉 기술의 원천, 기술의 획득 및 보호 정도, 기술이전의 대상 및 요체, 융통성에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 분류에 대한 접근법은 산업기술의 성격을 비교적 구체적이고도 본질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들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접근방법은 어떤 특정산업을 분류할 때 상황에 알맞게 합목적적으로 적합한 분류를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일관조립형 기술을 사용하는 산업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면 자동차 부품 즉, 엔진부분의 생산은 제품중심형 기술이 그리고 램프(Lamp)의 생산에는 단일설비형 기술이 핵심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황이론과 같이 새로운 각도에서 기술문제에 접근하는 경우, 기술을 좀 더 본질적이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분류체계가 제공됨으로써 기술의 개발 획득 관리를 위한 상황판단과 대처방안의 모색 즉, 기술경영의 실행이 보다 용이해진다고 볼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나노][나노기술]나노와 나노기술 분석(나노기술 개념, 나노크기란, 나노기술 특징, 21세기 ...
홈네트워크 기술이란? - 개요, 개념도, 배경, 특징, 구성도, 시스템 구성
[데이터마이닝][데이터마이닝기술][데이터마이닝기법]데이터마이닝의 개념, 데이터마이닝의 ...
STS학습모형(과학기술사회, 수업) 개념, 배경, 특징, STS학습모형(과학기술사회, 수업) 구성...
[푸시기술]인터넷 푸시기술(푸쉬기술)의 개념, 인터넷 푸시기술(푸쉬기술)의 특징과 인터넷 ...
[3D]3D 입체 영상 기술이란? - 3D 입체영상 기술이 주목 받게 된 배경과 개념 정의,특징,활용...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의 개념, 특성, 중요성,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의 ...
[기술경영 관련 개념] 기술, 연구개발, 기술혁신의 개념과 유형 및 특징
조직과 지역사회 정의, 특징, 관점, 주요개념, 형태, 유형, 조직이 인간행동에 미치는 영향, ...
IMC 개념을 설명하고 5가지 주요특징을 기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정의 및 특징, 사회복지행정의 영역과 특성 및 과제 등
[해외합작회사의 특징과 장단점] 국제합작투자의 개념과 특성, 국제합작회사의 소유권형태, ...
[기술이전(技術移轉)] 기술이전의 정의(개념), 형태 및 특성(직접투자형 이전,합작투자형 이...
[모래놀이치료] 모래놀이치료의 정의(개념)와 특징, 모래놀이의 특성과 치료, 모래놀이치료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