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질적 연구와 사회복지실천 : 유사점과 차이점
제 2절 질적 연구 과정
제 3절 질적 연구방법의 종류
제 2절 질적 연구 과정
제 3절 질적 연구방법의 종류
본문내용
해 명확히 하는 것에 초점을 둠. 문헌을 읽음으로써 사람의 삶에 대한 이해를 진작시킴. 이해나 감정이입적 이해는 사람 행위자의 관점을 알 수 있는 형식으로서, 또는 작가의 의도나 개인적 의도에 대한 타당한 해석을 확신하기 위한 문헌으로서 강조됨. 따라서 독자들은 문헌에 몰입해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 그것의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의미를 이해해야 함.
- 문헌 속에서 구체적인 부분은 전체와 비교되는데 실제적으로 구체적인 부분은 내부적으로 볼 때 전체와 일치하는 것으로 이들에 대한 이해 속에서 폭넓은 이해가 성취됨.
- 즉 연구자는 많은 무질서 속에서 분석기술을 사용하기보다 본인에 의존해 해석해 나감. 연구자들은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참여관찰자가 되거나 역사적 비교 연구를 수행하게 됨.
(3) 사례연구
- 사례에 대한 심층분석
- 사례와 관련하여 면접, 관찰, 물리적 인공물, 문서 및 기록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 정보를 수집함.
- 사례의 내용을 기술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며 사례 속에 드러나는 경험의 본질을 들여다보면서 심층적으로 연구함.
현상학
근거이론
문화기술지
사례연구
초점
현상에 대한
경험의 본질을
이해
현장에서 수집한 자
료에 근거하여 이론
을 개발
문화적 사회적 집
단을 기술하고 해
석
단일 사례 혹은 다
중 사례에 대한 심
층 분석
학문적 기원
철학, 사회학
, 심리학
사회학, 상징적 상
호작용론
문화인류학, 사회
학
정치학, 사회학, 평
가, 도시연구 등
자료수집
인터뷰
범주가 ‘포화’되고
이론을 상술할 수
있을 때까지 면접
현장에서 상당기
간 머물면서 주로
관찰, 면접, 부수
적으로 인공물 활
용
자료수집원이 다양
-문서, 문서기록,
면접, 관찰, 물리적
인공물
자료분석
진술, 의미, 경
험에 대한 일
반적 기술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조건 매트릭스
기술, 분석, 해석
기술, 주제, 주장
내러티브형식
경험의 “본질”
을 기술
이론 혹은 이론적
모델
집단 혹은 개인의
문화적 행동기술
사례 혹은 사례들
에 대한 심층 연구
출처 :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공역(2005), 질적 연구방법론. 학지사. 91쪽.
→ 이상으로 소개된 질적 연구방법들은 각각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으나 유사하게 보이는데 이들은 때로는 질문방법으로서, 때로는 자료수집방법으로서, 때로는 해석방법으로서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며, 동시에 사용되기도 함.
결론적으로 질적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에 대한 대안적 패러다임으로서 사회과학의 접근방법에 새로운 장을 열어주었는데 그것은 인간적 행위에 내재되어 있는 정신적 의미와 이러한 행위의 동기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접근방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것임.
참고문헌
김 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1999
열린교육-사회복지사1급기본서사회복지조사론
박문각-감이좋은사회복지학개론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박석돈, 『사회복지학개론』, 삼우사, 2004
- 문헌 속에서 구체적인 부분은 전체와 비교되는데 실제적으로 구체적인 부분은 내부적으로 볼 때 전체와 일치하는 것으로 이들에 대한 이해 속에서 폭넓은 이해가 성취됨.
- 즉 연구자는 많은 무질서 속에서 분석기술을 사용하기보다 본인에 의존해 해석해 나감. 연구자들은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참여관찰자가 되거나 역사적 비교 연구를 수행하게 됨.
(3) 사례연구
- 사례에 대한 심층분석
- 사례와 관련하여 면접, 관찰, 물리적 인공물, 문서 및 기록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 정보를 수집함.
- 사례의 내용을 기술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며 사례 속에 드러나는 경험의 본질을 들여다보면서 심층적으로 연구함.
현상학
근거이론
문화기술지
사례연구
초점
현상에 대한
경험의 본질을
이해
현장에서 수집한 자
료에 근거하여 이론
을 개발
문화적 사회적 집
단을 기술하고 해
석
단일 사례 혹은 다
중 사례에 대한 심
층 분석
학문적 기원
철학, 사회학
, 심리학
사회학, 상징적 상
호작용론
문화인류학, 사회
학
정치학, 사회학, 평
가, 도시연구 등
자료수집
인터뷰
범주가 ‘포화’되고
이론을 상술할 수
있을 때까지 면접
현장에서 상당기
간 머물면서 주로
관찰, 면접, 부수
적으로 인공물 활
용
자료수집원이 다양
-문서, 문서기록,
면접, 관찰, 물리적
인공물
자료분석
진술, 의미, 경
험에 대한 일
반적 기술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조건 매트릭스
기술, 분석, 해석
기술, 주제, 주장
내러티브형식
경험의 “본질”
을 기술
이론 혹은 이론적
모델
집단 혹은 개인의
문화적 행동기술
사례 혹은 사례들
에 대한 심층 연구
출처 :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공역(2005), 질적 연구방법론. 학지사. 91쪽.
→ 이상으로 소개된 질적 연구방법들은 각각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으나 유사하게 보이는데 이들은 때로는 질문방법으로서, 때로는 자료수집방법으로서, 때로는 해석방법으로서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며, 동시에 사용되기도 함.
결론적으로 질적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에 대한 대안적 패러다임으로서 사회과학의 접근방법에 새로운 장을 열어주었는데 그것은 인간적 행위에 내재되어 있는 정신적 의미와 이러한 행위의 동기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접근방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것임.
참고문헌
김 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1999
열린교육-사회복지사1급기본서사회복지조사론
박문각-감이좋은사회복지학개론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박석돈, 『사회복지학개론』, 삼우사, 2004
추천자료
질적 연구에 대해
특수교육의 질적 연구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정의와 분류,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운영지침과 운영실...
[수준별교육과정]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의미와 이론적 기초,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
[교육연구][교육연구 제한성][교육연구 과정][교육연구 연구대회][교육연구 개선방안]교육연...
[현장교육연구]현장교육연구의 의의, 현장교육연구의 특징, 현장교육연구의 필요성, 현장교육...
질적 연구 설계
[문헌정보학과, 교육프로그램]문헌정보학과의 역사, 문헌정보학과의 분류, 문헌정보학과의 성...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에 관해서
아동복지▶영유아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과제를 보육과정, 서비스 운영...
[아동복지 공통] 영유아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육과정과 교사 측면에서 최근 어떤 ...
[아동복지 공통] 영유아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육과정과 교사 측면에서 최근 어떤 ...
[아동복지 공통] 영유아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육과정과 교사 측면에서 최근 어떤 ...
사회복지조사론 - 질적 연구 방법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