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효석의 문학사적 특징
1. 초창기 - 이효석의 프롤레타리아적 사상
2. 중기 - 이효석 문학의 심미주의(도덕적 퇴폐주의)
3. 메밀꽃 필 무렵
4 후기 - 이효석의 순수주의 -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
<이효석에 관한 개인적 특징 검토>
1. 출생
2. 고향에 대한 별다른 애착을 두지 않음. - 이국적 세계에 대한 깊은 동경
3. 이효석의 개인적 불찰
4. 이효석의 마음속의 고향 ‘서구’
1. 초창기 - 이효석의 프롤레타리아적 사상
2. 중기 - 이효석 문학의 심미주의(도덕적 퇴폐주의)
3. 메밀꽃 필 무렵
4 후기 - 이효석의 순수주의 -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
<이효석에 관한 개인적 특징 검토>
1. 출생
2. 고향에 대한 별다른 애착을 두지 않음. - 이국적 세계에 대한 깊은 동경
3. 이효석의 개인적 불찰
4. 이효석의 마음속의 고향 ‘서구’
본문내용
‘서구’
이효석은 ‘메밀 꽃 필 무렵’을 발표한 후, 같은 잡지의 다음 호에서 자신은 실향민이며, 그렇게 된 것은 ‘고향이 너무 초라한 까닭’이라고 거침없이 말하고 있다. 1937년에 발표된 ‘화춘의장’이라는 글에서도 그는 우리나라를 ‘여윈 땅’이라고 부르면서 이런 척박한 땅에서는 아무런 아름다움도 자랄 수가 없다고 한다. 이처럼 미의 빈곤을 숙명으로 간주하는 이효석이 자기 나라와 자기 고향에서 기대할 것은 아무것도 없어서인지, 그가 눈을 돌린 곳은 ‘서구’다. 그는 우리의 ‘여윈 땅’에 대한 대안으로 ‘서반구’를 추구해야 함을 주장한다.
‘그 모든 아름다운 것은 외래의 것이요, 이곳의 것은 아닌 것이다. 이곳의 것으로 참으로 아름다운 것이 얼마나 있고, 풍윤한 것이 얼마나 되겠는가.(화춘의장) ’
이효석은 ‘메밀 꽃 필 무렵’을 발표한 후, 같은 잡지의 다음 호에서 자신은 실향민이며, 그렇게 된 것은 ‘고향이 너무 초라한 까닭’이라고 거침없이 말하고 있다. 1937년에 발표된 ‘화춘의장’이라는 글에서도 그는 우리나라를 ‘여윈 땅’이라고 부르면서 이런 척박한 땅에서는 아무런 아름다움도 자랄 수가 없다고 한다. 이처럼 미의 빈곤을 숙명으로 간주하는 이효석이 자기 나라와 자기 고향에서 기대할 것은 아무것도 없어서인지, 그가 눈을 돌린 곳은 ‘서구’다. 그는 우리의 ‘여윈 땅’에 대한 대안으로 ‘서반구’를 추구해야 함을 주장한다.
‘그 모든 아름다운 것은 외래의 것이요, 이곳의 것은 아닌 것이다. 이곳의 것으로 참으로 아름다운 것이 얼마나 있고, 풍윤한 것이 얼마나 되겠는가.(화춘의장)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