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정윤리-부부,부모와 자녀, 형제
<오륜>
<가정윤리>
<퇴계이황 선생님의 부부 윤리관>
<부자유친>
<부모와 자식간의 윤리관>
<형제관계의 윤리관>
<토론거리>
<오륜>
<가정윤리>
<퇴계이황 선생님의 부부 윤리관>
<부자유친>
<부모와 자식간의 윤리관>
<형제관계의 윤리관>
<토론거리>
본문내용
경쟁의 대상이나 배타의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은 형과 아우 사이를 마치 한뿌리에서 나온 다른 가지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듯이 한부모로부터 나왔기 때문에 서로 친하게 지내야 하는 관계로 설정한다.
곧 그들은 형과 아우 사이를 자신의 이익을 확보하기 위한 지랫대의 역할로 생각 하지 않고 자신의 사사로운 이익을 배제하며 합심하여 공동의 선을 이루는 협력자로 생각한다. 그들은 형과 아우가 모두 서로를 인격적으로 존중하며 수단이나 도구가 아닌 목적 그자체로 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그들이 형이라고 해서 아우에게 권위주의적이거나 폭력적인 행위를 동원하는 것과 같은 일방적인 태도를 보여서는 안되고 아우 역시 형에게 일방적으로 의지만 해서도 안된다는 관점이다.
그들은 마치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 부모가 먼저 본을 보이고 자녀는 부모의 은혜에 대하여 자발적으로 감사하여 부모에게 효도를 하듯이 먼저 태어난 형이 아우를 사랑하고 아우는 형을 공경해야 한다. 곧 그들은 부모가 자녀를 조건없이 사랑하듯이 세상에 먼저 태어난 형 역시 무제한적으로 아우를 아끼고 보살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한다. 아우 또한 자녀가 부모에게 감사의 마음으로 부모를 섬기듯이 형에게 감사의 마음으로 형을 공경해야 한다.
이것은 그들이 형과 아우 사이를 단절의 관계가 아니라 부모와 자녀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의 확대로 생각하는 것이다. 곧 그들은 부모가 부모다울때 자녀가 자녀답듯이 형이 형다울때 아우가 아우 다워질 것으로 생각한다. 이때 형과 아우의 다움 이란 부모와 자녀의 다움 과 같이 도덕적인 내용이라고 할수있다. 따라서 형다움 이란 나이 많음에 의해 갖추어지는 형식적인 지위가 아니라. 세월의 흐름과 더불어 축적한 너그러움과 아량과 포용으로 아우를 배려하고 사랑하는 것이다. ‘아우다움’ 역시 형에게 받은 무한한 사랑을 감사하게 생각하며 진실한 마음으로 형을 존중하는 것이다.
그래서 초기 유학자들은 형과 아우 사이를 수직적인 관계로 설정하지 않는다. 그들은 형과 아우 사이를 사사로운 이기심이 배제된 이타심이 무한히 발현되는 다정한고나계로 설정한다.
형과 아우 사이의 관계에 관한 그들의 이러한 논리는 오늘날 형과 아우 사이에 발생하는 이기심에 의한 다양한 갈등현상을 극복하는 하나의 사상적 대안이 될수 있다.
<토론거리>
1. 간통죄는 사라져야 하나?
2. 공동체 윤리와 가정윤리가 상충될때 공동체 윤리를 따라야 하나 가정 윤리를 따라야 하나?
곧 그들은 형과 아우 사이를 자신의 이익을 확보하기 위한 지랫대의 역할로 생각 하지 않고 자신의 사사로운 이익을 배제하며 합심하여 공동의 선을 이루는 협력자로 생각한다. 그들은 형과 아우가 모두 서로를 인격적으로 존중하며 수단이나 도구가 아닌 목적 그자체로 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그들이 형이라고 해서 아우에게 권위주의적이거나 폭력적인 행위를 동원하는 것과 같은 일방적인 태도를 보여서는 안되고 아우 역시 형에게 일방적으로 의지만 해서도 안된다는 관점이다.
그들은 마치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 부모가 먼저 본을 보이고 자녀는 부모의 은혜에 대하여 자발적으로 감사하여 부모에게 효도를 하듯이 먼저 태어난 형이 아우를 사랑하고 아우는 형을 공경해야 한다. 곧 그들은 부모가 자녀를 조건없이 사랑하듯이 세상에 먼저 태어난 형 역시 무제한적으로 아우를 아끼고 보살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한다. 아우 또한 자녀가 부모에게 감사의 마음으로 부모를 섬기듯이 형에게 감사의 마음으로 형을 공경해야 한다.
이것은 그들이 형과 아우 사이를 단절의 관계가 아니라 부모와 자녀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의 확대로 생각하는 것이다. 곧 그들은 부모가 부모다울때 자녀가 자녀답듯이 형이 형다울때 아우가 아우 다워질 것으로 생각한다. 이때 형과 아우의 다움 이란 부모와 자녀의 다움 과 같이 도덕적인 내용이라고 할수있다. 따라서 형다움 이란 나이 많음에 의해 갖추어지는 형식적인 지위가 아니라. 세월의 흐름과 더불어 축적한 너그러움과 아량과 포용으로 아우를 배려하고 사랑하는 것이다. ‘아우다움’ 역시 형에게 받은 무한한 사랑을 감사하게 생각하며 진실한 마음으로 형을 존중하는 것이다.
그래서 초기 유학자들은 형과 아우 사이를 수직적인 관계로 설정하지 않는다. 그들은 형과 아우 사이를 사사로운 이기심이 배제된 이타심이 무한히 발현되는 다정한고나계로 설정한다.
형과 아우 사이의 관계에 관한 그들의 이러한 논리는 오늘날 형과 아우 사이에 발생하는 이기심에 의한 다양한 갈등현상을 극복하는 하나의 사상적 대안이 될수 있다.
<토론거리>
1. 간통죄는 사라져야 하나?
2. 공동체 윤리와 가정윤리가 상충될때 공동체 윤리를 따라야 하나 가정 윤리를 따라야 하나?
추천자료
’부모-자녀간의 진로문제 갈등‘에 대한 개입에는 심리사회 모델을 이용한 개입 [가계도, 생태...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다문화가정을위한부모자녀통합교육
부모자녀관계 가계도
맞벌이가족에서의 부모자녀관계
재혼가족, 동성애가족, 국제결혼가족의 부모자녀관계
아동학대가족에 대한 개입) 피해아동에 대한 개별치료와 부모집단 프로그램 및 부모-자녀 통...
[부모자녀관계론] 나의 가족 생활 주기 Plan
토마스 고든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12가지 걸림돌
현대사회에서 부모-자녀간 관계향상을 위한프로그램을 제안하고 그 이유에 대한 설명
청소년기 부모자녀간 갈등 해결방안에 대해 기술하시오
부모-자녀간의 인간관계에 대하여 논해 봅시다
영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발달단계별 특징과 이를 바탕으로 한 부모자녀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다문화가정의 개념과 유형 및 문제점, 다문화가정의 부모자녀관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제
아동기 부모-자녀관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