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생긴다.
-칭찬받기 위해 의도하지 않은 행동을 억지로 할 수 있다.
8. 욕설, 조롱
"이 울보야"
"그래 너 잘났구나"
-자신이 가치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인간으로 비하한다.
-자아 정체감형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종종 말대꾸를 유발한다.
9. 분석, 진단
"무엇이 잘못되었느냐 하면..."
"네가 진정 말하고자 하는 것은 그것이 아닐꺼야"
"아마 너는 단지 회피하고 싶은 것일꺼야."
-위협과 좌절을 줄 수 있다.
-아이는 긍지에 몰리고 노출되고 불신당했다고 느낀다.
-이해받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대화를 단절 할 수 있다.
10. 동정, 위로
"걱정하지 마."
"앞으로 좋아질거야."
"기운 내."
-부모에게 이해받지 못하고 있다고 느낀다.
-강한 적개심을 나타낼 수 있다. (말이야 쉽지!)
11. 캐묻기와 심문
"왜?" "누가"
"무슨 일이 있었나?"
-질문에 답을 하면 종종 비판이나 해결책이 따르므로 회피하거나 거짓말을 한다.
-퍼붓는 질문은 문제의 촛점을 흐리고 방향을 잃게 된다.
12. 화제 바꾸기, 빈정거림, 후퇴
"즐거운 이야기나 하자."
"그래, 세상일에 다 개입해 보시지"
"야, 네 머리스타일 좋네..."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려는 의지보다 회피하는 방법을 암시하게 된다.
-아이의 문제가 사소한 것이거나 쓸모없는 것이라는 느낌을 준다.
-아이가 어려움에 처해도 찾아오지 않고 침묵하며 진지한 대화를 피한다.
그동안 우리아이들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하기위한 조언, 충고들이 되려 걸림돌이 되지않았나, 한번 되돌아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칭찬받기 위해 의도하지 않은 행동을 억지로 할 수 있다.
8. 욕설, 조롱
"이 울보야"
"그래 너 잘났구나"
-자신이 가치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인간으로 비하한다.
-자아 정체감형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종종 말대꾸를 유발한다.
9. 분석, 진단
"무엇이 잘못되었느냐 하면..."
"네가 진정 말하고자 하는 것은 그것이 아닐꺼야"
"아마 너는 단지 회피하고 싶은 것일꺼야."
-위협과 좌절을 줄 수 있다.
-아이는 긍지에 몰리고 노출되고 불신당했다고 느낀다.
-이해받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대화를 단절 할 수 있다.
10. 동정, 위로
"걱정하지 마."
"앞으로 좋아질거야."
"기운 내."
-부모에게 이해받지 못하고 있다고 느낀다.
-강한 적개심을 나타낼 수 있다. (말이야 쉽지!)
11. 캐묻기와 심문
"왜?" "누가"
"무슨 일이 있었나?"
-질문에 답을 하면 종종 비판이나 해결책이 따르므로 회피하거나 거짓말을 한다.
-퍼붓는 질문은 문제의 촛점을 흐리고 방향을 잃게 된다.
12. 화제 바꾸기, 빈정거림, 후퇴
"즐거운 이야기나 하자."
"그래, 세상일에 다 개입해 보시지"
"야, 네 머리스타일 좋네..."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려는 의지보다 회피하는 방법을 암시하게 된다.
-아이의 문제가 사소한 것이거나 쓸모없는 것이라는 느낌을 준다.
-아이가 어려움에 처해도 찾아오지 않고 침묵하며 진지한 대화를 피한다.
그동안 우리아이들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하기위한 조언, 충고들이 되려 걸림돌이 되지않았나, 한번 되돌아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추천자료
체계론적 관점에서의 가족치료
부모, 청소년 자녀관계 연구 - 갈등의 원인과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조사론-한부모가족의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이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자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가족치료 개념과 목표
[부모와 자녀][부모와 자녀의 관계][부모와 자녀의 대화][부모와 자녀의 갈등][부모와 자녀의...
부모와 자녀의 대화, 나 전달법, 공감적 경청, 효과적인 의사소통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의 이해
부모 자녀의 의사소통
[가족상담 및 치료] 가족갈등 - 가족갈등이란 무엇이며, 가족의 중요성이 약화되는 원인, 가...
가족 간의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제출
가족생활 영역 중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대표 사례라 할 수 있는 2가지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