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론적 관점에서의 가족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체계의 구성

2. 체계와 하위체계

3. 전체성

4. 경계, 개방체계와 폐쇄체계

5. 사이버네틱스

6. 직선적 인과관계와 순환적 인과관계

7. 가족체계에서 본 가족개념

8. 가족체계에서 본 문제행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려주는 중요한 지표가 되기도 한다.
(7) 부모화
부모화란 어떤 자녀가 가족 내에서 부모나 배우자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화된 아이는 체계가 잘 기능하는 가족에서 자신의 나이 이상으로 책임감, 능력, 자율성 등을 발전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부모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는 자녀는 정서적, 지적, 신체적으로는 부모의 역할을 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역할이나 책임감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는 대부분 자신들에게 기대되는 역할이 그 자녀가 아이로서 가지고 있는 욕구와 서로 상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구는 그가 가진 능력으로서는 달성할 수 없을 때도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심리적 압박감을 느끼게 되며 아이가 달성해야 할 다른 측면의 발달과업은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위험성을 가진다.
8. 가족체계에서 본 문제행동
우리는 문제행동 그 자체를 보고 있는 것이 아니다. 사실은 문제의 증상을 보고 있는 것이다. 증상이란 문제행동의 표현이다. 어떤 사물을 표현한 말이 사물 자체가 아니듯이 증상도 문제행동 그 자체라고 할 수 없다. 체계론적으로는 체계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관계의 변화가 문제행동이며, 증상은 체계사이에 나타나는 상호관계 변화의 표현이다.
문제행동은 체계사이에서 작용하는 상호관계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는 입장에서 봤을 때, 상호관계를 에너지와 정보의 교환, 즉 의사소통이라고 정의하면 치료를 통해 치유한다는 것은 변화된 의사소통을 원래의 자리로 되돌리고 새로운 평형상태를 추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의 증상행동은 환경 속에서 전개되기 때문에 항상 모든 환경체계에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문제를 나타내는 개인이 소속하고 있는 체계의 어디까지를 치료대상으로 삼을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교거부라는 문제의 경우를 생각해봤을 때 우울증, 제멋대로의 성격, 대인관계, 학교체계, 한국교육, 종교적 관점 등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가족치료에서는 이중의 어떤 것이 진실인가를 밝히려 하지 않는다. 그것은 모든 것이 정답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아이는 우울상태이며 과보호되어 제멋대로이며, 부모의 부부관계에 문제가 있으며 학교에서는 집단 따돌림이 있으며, 한국의 교육은 잘못되어 있고 모든 것은 하나님의 섭리인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체계의 변화를 어디에서 구하는가는 상당히 임의적이며 그것을 규정하는 것은 가족치료자에게 달려 있는 셈이다.
정리한다면 문제행동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 또는 보다 넓은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때로는 적극적으로 문제행동을 구조의 신호로도 볼 수 있다. 그것은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생각하면 이러한 체계는 여러 가지 기능을 하면서 체계로서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자기조정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자신들의 조정능력으로는 균형을 이루지 못하겠다고 판단될 때, 외부의 원조를 요청하는 것이 여러 가지 문제행동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가족치료, 김유숙 저, 학지사, 1999년
가족과 가족치료, 송성자 저, 1995년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07.13
  • 저작시기200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4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