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유민주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의 화합을 도모하였으나, 철저한 공산주의자인 박헌영은 자신들의 주장만을 내세우며 우리와 뜻을 함께하지 않았다. 그는 남한 사회가 공산화되기만을 원하였으며, 무리한 요구들만을 하여 좌우합작의 여러 움직임에서 항상 빠지고는 했다.
박헌영은 나와 비슷한 점도 있는데, 남한과 북한에서 모두 꺼리는 인물이라는 점이다. 나는 제법 큰 입지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양쪽에서 모두 받아들이는 것을 내키지 않았고 괴한에 의해 사망하였다. 박헌영은 남한에서 활동하던 공산주의자로서, 남한에서는 미군정의 위협을, 북한에서는 김일성에게 위협을 받고 결국 제거되었다.
조만식: 나는 공산주의자는 아니지만 북한에 남아 우리민족이 하나가 되는 것을 바라며 노력하였다. 박헌영이 남한에서 사회주의 운동을 주도하긴 하였지만, 그것은 민족이 하나되기보다는 사회주의국가를 건설하려는 노력이었다. 박헌영은 너무나 완고한 공산주의자였고, 우리민족이 하나되는 것에 큰 방해가 되었던 인물인 듯하다. 나는 김일성과 소련의 압박속에 북한에서 결국 죽게 되었는데, 김일성에 의해 노골적으로 제거된 박헌영에 대해서는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
3. 나의 생각
박헌영은 우리나라 최고의 공산주의자, 최고의 혁명가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 그는 평생 줄곧 철저한 공산주의 사상을 고집해왔으며, 조선의 공산화에 힘썼다. 심지어 그는 6·25를 통하여 적화 통일을 이룰 수 있다는 꿈에 부풀어 있었다. 그의 사상은 한국 근대 사회사상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너무나도 고집 센 공산주의자였고, 우리민족의 통일에 오히려 방해가 되었다. 민족의 통일을 위해서 힘쓰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던 것이 매우 아쉽다. 그는 김일성과의 정치적 다툼에서 밀려나 2인자로 밀려나고, 결국엔 처형당하였는데, 그가 살아있었더라면 지금 북한의 정세는 많이 다르지 않았을까 생각하며 아쉬움에 잠긴다. 그가 그의 입지를 더 강화시켜 놓고, 소련의 지지를 많이 얻어놓았다면 김일성에게 쉽게 밀리지 않았을 터인데 그렇지 못한 것이 안타깝고, 6·25전쟁을 주도하였다가 실패한 것이 결정적인 숙청의 계기가 아니었나 생각해 본다.
박헌영은 대단한 인물이었고, 한국 근현대사 최고의, 그리고 비운의 혁명가였다.
참고문헌
1. 해방 직후(1945.9-11) 정당협력운동의 실패와 이승만, 박헌영의 임정 견제
남광규, 한국국제정치학회 | 국제정치논총 | 2006 (PDF file / 22 pages)
2. 논문 : "교차와 대립" - 박헌영 사상의 위상 -
윤해동, 수선사학회 | 사림(성대사림) | 2005
3. 북한 정치 엘리트에 관한 연구 - 조만식,무정,박헌영,김일성을 중심으로 -
신형철,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구 영남국제정치학회) | 영남국제정치학회보 | 1998
4. 심층대담 / 박헌영의 딸과 아들 : 박 비비아나와 원경 스님 - " 아버지는 진정한 민주주의자였다 "
이미숙, 사회평론 | 월간 사회평론 | 1992
5. 세계사회주의 운동과 박헌영
김세균, 서울대 정치학과
박헌영은 나와 비슷한 점도 있는데, 남한과 북한에서 모두 꺼리는 인물이라는 점이다. 나는 제법 큰 입지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양쪽에서 모두 받아들이는 것을 내키지 않았고 괴한에 의해 사망하였다. 박헌영은 남한에서 활동하던 공산주의자로서, 남한에서는 미군정의 위협을, 북한에서는 김일성에게 위협을 받고 결국 제거되었다.
조만식: 나는 공산주의자는 아니지만 북한에 남아 우리민족이 하나가 되는 것을 바라며 노력하였다. 박헌영이 남한에서 사회주의 운동을 주도하긴 하였지만, 그것은 민족이 하나되기보다는 사회주의국가를 건설하려는 노력이었다. 박헌영은 너무나 완고한 공산주의자였고, 우리민족이 하나되는 것에 큰 방해가 되었던 인물인 듯하다. 나는 김일성과 소련의 압박속에 북한에서 결국 죽게 되었는데, 김일성에 의해 노골적으로 제거된 박헌영에 대해서는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
3. 나의 생각
박헌영은 우리나라 최고의 공산주의자, 최고의 혁명가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 그는 평생 줄곧 철저한 공산주의 사상을 고집해왔으며, 조선의 공산화에 힘썼다. 심지어 그는 6·25를 통하여 적화 통일을 이룰 수 있다는 꿈에 부풀어 있었다. 그의 사상은 한국 근대 사회사상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너무나도 고집 센 공산주의자였고, 우리민족의 통일에 오히려 방해가 되었다. 민족의 통일을 위해서 힘쓰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던 것이 매우 아쉽다. 그는 김일성과의 정치적 다툼에서 밀려나 2인자로 밀려나고, 결국엔 처형당하였는데, 그가 살아있었더라면 지금 북한의 정세는 많이 다르지 않았을까 생각하며 아쉬움에 잠긴다. 그가 그의 입지를 더 강화시켜 놓고, 소련의 지지를 많이 얻어놓았다면 김일성에게 쉽게 밀리지 않았을 터인데 그렇지 못한 것이 안타깝고, 6·25전쟁을 주도하였다가 실패한 것이 결정적인 숙청의 계기가 아니었나 생각해 본다.
박헌영은 대단한 인물이었고, 한국 근현대사 최고의, 그리고 비운의 혁명가였다.
참고문헌
1. 해방 직후(1945.9-11) 정당협력운동의 실패와 이승만, 박헌영의 임정 견제
남광규, 한국국제정치학회 | 국제정치논총 | 2006 (PDF file / 22 pages)
2. 논문 : "교차와 대립" - 박헌영 사상의 위상 -
윤해동, 수선사학회 | 사림(성대사림) | 2005
3. 북한 정치 엘리트에 관한 연구 - 조만식,무정,박헌영,김일성을 중심으로 -
신형철,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구 영남국제정치학회) | 영남국제정치학회보 | 1998
4. 심층대담 / 박헌영의 딸과 아들 : 박 비비아나와 원경 스님 - " 아버지는 진정한 민주주의자였다 "
이미숙, 사회평론 | 월간 사회평론 | 1992
5. 세계사회주의 운동과 박헌영
김세균, 서울대 정치학과
키워드
추천자료
듀이(John Dewey)에 대하여
르네상스(Renaissance)에 대하여
왓슨(John Broadus Watson)의 생애와 이론(행동주의, 고전적 조건반사이론, 빈도의 원리&...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생애와 약력,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의 교육목적, 페스탈로치(페...
(유아사회교육A형)유아의 사회성 이론들에 대하여
빌헬름 분트의 심리학적 철학에 대하여
[코메니우스교육]코메니우스의 생애 고찰과 코메니우스 교육사상(교육철학)의 배경, 코메니우...
[프로이트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
영아기 및 유아기의 발달특성 및 영양관리에 대하여 설명
여러분의 입장에서 평생교육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토론.
평생학습사회의 인재를 기르기 위한 공교육의 역할에 대하여 논하시오.
금오신화(金鰲新話) 연구 - 생애와 사상(유교, 불교, 도교사상), 만복사저포기(발원, 인연,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