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 (Wilhelm Maximilian Wundt 1832~1920)
2. 빌헬름 분트 생애
3. 분트의 업적
3. 실험심리학의 창시자 분트
4. 심리학의 이정표 역할을 한 분트
5. 과학적인 심리학의 출현 배경
6. 잊혀진 민족 심리학
7. 민족심리학과 사회심리학
2. 빌헬름 분트 생애
3. 분트의 업적
3. 실험심리학의 창시자 분트
4. 심리학의 이정표 역할을 한 분트
5. 과학적인 심리학의 출현 배경
6. 잊혀진 민족 심리학
7. 민족심리학과 사회심리학
본문내용
관찰 방법을 사용하고, 개인대신에 정신적 소산과 사회 조직을 연구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7. 민족심리학과 사회심리학
분트는 민족심리학적 방법이 원시사회에서의 정신작용을 관찰하고 종단적으로 발생적 단계를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족 심리학 분야가 일반적, 보편적, 객관적 관찰을 기도하는 심리학의 새로운 경지이며, 사회심리학이 이러한 것들을 짊어질 분야라고 주장했다. 그는 사회심리학에서도 내성법이 중요한 방법이 될 것으로 보았고, 또한 집단 생활속에서 발생하는 개개의 현상을 귀납적으로 분석해 원리를 찾는 방향으로 발전될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민족심리학적 방법은 최근에 들어 사회심리학, 비교문화심리학, 토착심리학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의식은 요소로 분리된다. 분트가 제안한 내성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험실에서 생기는 스스로의 경험을 내성을 통해 답변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내성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내성하고 결과를 보고할 수 있도록 철저한 훈련을 받아야한다고 여겨 적어도 만번이상의 자기관찰을 거치지 않고는 내성의 결과를 공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분트는 주로 직접 경험함으로써 나타나는 의식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고, 의식의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의식의 요소들을 탐구하여 의식의 결함방식이나 상호관계, 의식 형성의 과정 등을 연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분트의 심리학을 요소주의 심리학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단순 감각과 단순 감정이 복잡한 정신현상을 이룬다고 보아, 복잡한 정신현상도 단순히 감각과 감정으로 환원될수 있다고 생각하여, 그의 심리학을 환원주의라고도 한다.
7. 민족심리학과 사회심리학
분트는 민족심리학적 방법이 원시사회에서의 정신작용을 관찰하고 종단적으로 발생적 단계를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족 심리학 분야가 일반적, 보편적, 객관적 관찰을 기도하는 심리학의 새로운 경지이며, 사회심리학이 이러한 것들을 짊어질 분야라고 주장했다. 그는 사회심리학에서도 내성법이 중요한 방법이 될 것으로 보았고, 또한 집단 생활속에서 발생하는 개개의 현상을 귀납적으로 분석해 원리를 찾는 방향으로 발전될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민족심리학적 방법은 최근에 들어 사회심리학, 비교문화심리학, 토착심리학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의식은 요소로 분리된다. 분트가 제안한 내성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험실에서 생기는 스스로의 경험을 내성을 통해 답변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내성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내성하고 결과를 보고할 수 있도록 철저한 훈련을 받아야한다고 여겨 적어도 만번이상의 자기관찰을 거치지 않고는 내성의 결과를 공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분트는 주로 직접 경험함으로써 나타나는 의식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고, 의식의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의식의 요소들을 탐구하여 의식의 결함방식이나 상호관계, 의식 형성의 과정 등을 연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분트의 심리학을 요소주의 심리학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단순 감각과 단순 감정이 복잡한 정신현상을 이룬다고 보아, 복잡한 정신현상도 단순히 감각과 감정으로 환원될수 있다고 생각하여, 그의 심리학을 환원주의라고도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