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 호르몬
(1) 호르몬이란 무엇인가?
(2) 성욕은 왜 일어나는가?
(3) 남성 호르몬과 여성 호르몬의 기본적 기능
2. 성 호르몬의 생산 및 분비
(1) 생산기관 - 뇌하수체
(2) 생산 및 분비 기관 - 고환
(3) 생산 및 분비 기관 - 난소
3. 남성 호르몬
(1) 남성 호르몬이란?
(2) 남성 호르몬 - 안드로겐
(3) 남성 호르몬 - 테스토스테론
(4) 남성 호르몬의 기능
4. 여성 호르몬
(1) 여성 호르몬이란?
(2) 여성 호르몬 - 에스트로겐
(3) 여성 호르몬 - 프로게스테론
(4) 여성 호르몬의 기능
5. 결론
참고문헌
(1) 호르몬이란 무엇인가?
(2) 성욕은 왜 일어나는가?
(3) 남성 호르몬과 여성 호르몬의 기본적 기능
2. 성 호르몬의 생산 및 분비
(1) 생산기관 - 뇌하수체
(2) 생산 및 분비 기관 - 고환
(3) 생산 및 분비 기관 - 난소
3. 남성 호르몬
(1) 남성 호르몬이란?
(2) 남성 호르몬 - 안드로겐
(3) 남성 호르몬 - 테스토스테론
(4) 남성 호르몬의 기능
4. 여성 호르몬
(1) 여성 호르몬이란?
(2) 여성 호르몬 - 에스트로겐
(3) 여성 호르몬 - 프로게스테론
(4) 여성 호르몬의 기능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SH(여포자극호르몬)의 증가에 의하여 시작되는데, FSH가 난소에 작용하여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생성되고,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2차 성징의 발달을 촉진한다.
난은 일정 성숙단계가 되면 난소로부터 난세포가 배출되는데 난자가 난소를 이탈하는 이 과정을 배란이라 하고 이는 빛, 온도, 외부요인과 호르몬 등 체내요인이 서로 작용하여 조절된다. 또한, 사춘기에 이르면 난소의 호르몬 분비량이 28일을 주기로 변화하며 자궁내막구조가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매주기마다 혈액과 자궁내막구조가 외부로 분비되는 현상을 ‘월경'이라 한다.
황체호르몬 프로게스테론은 코너 알렌이 돼지 황체에서 처음 분리한 것으로 난소에서 분비되며 월경 후반기 동안에는 황체에서 분비된다. 이것은 배란 직전부터 출산때까지 다량으로 분비되며 임신 시에 농도가 증가하여 자궁수축력을 억제한다. 또한 발열작용을 하여 월경주기 중간쯤 체온을 상승시키고 에스트로겐 작용을 억제하며 피부에 색소를 침착시킨다. 그리고 결합조직을 연화시키므로 여성의 피부는 부드러우나 황체호르몬이 없는 남성은 여성에 비해 부드럽지 못한 것이다.
(4) 여성 호르몬의 기능
- 임신과정 : 임신 유지에 필요한 자궁구조와 기능의 변화는 분비량이 증가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작용으로써 이루어진다. 처음 2개월 동안 이들 호르몬은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황체로부터 공급되어진다. 임신 후 황체가 쇠퇴하지 않고 10~12주간 기능을 발휘하는 것은 태반에서 분비된 hCG가 황체를 계속자극하기 때문이다. 착상 직후 포배의 영양막 세포는 모체 혈액으로 hCG를 분비하기 시작하여 황체를 유지시킨다. 임신 초기에 hCG 분비는 급증하여 10주경에 최고도에 달하고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3개월 말부터는 낮은 상태로 임신기간 동안 일정히 유지된다. 태반에서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는데 태반이 발달함에 따라 그 분비량이 증가하여 황체가 기능을 잃는 10~12주경 임신 유지에 필요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충분히 공급할 정도가 된다. 따라서 임신 후반 6개월 동안에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공급은 거의 전적으로 태반에 의존한다.
- 분만 : 분만은 대략 수정 후 38주에 일어난다. 임신기간 동안 자궁경부는 태아의 보호를 위해 굳게 닫혀 있으나 분만 시기가 가까워지면 relaxin이라는 호르몬의 작용으로 자궁경부를 비롯한 산도가 부드러워진다. 출산 시점이 되면 자궁경부가 열리면서 규칙적인 자궁의 수축이 발생하고 그 빈도가 강도와 증가하여 분만이 시작된다. 분만을 일으키는 요인은 자궁 내에 있던 prostaglandin F2(PGF2)의 작용이다. PGF2는 임신기간 동안에 유지되던 프로게스테론의 자궁근 수축 억제작용을 제거시켜 자궁근의 수축을 시작하게 한다. 한편 자궁근 수축이 개시되어 태아의 머리가 자궁경부를 압박하면, 신경내분비 반사에 의하여 신경하수체로부터 옥시토신이 분비되어 분만 후기의 자궁수축을 주도하게 된다. 태아분만 후 수분 이내 제대혈관과 태반혈관들이 완전수축을 이루면서 태반으로의 혈류의 공급이 끊기고 태반 전체가 자궁벽으로부터 분리된다.
5. 결론
- 우리가 성호르몬의 존재를 느끼기 시작하는 시점은 얼굴에 여드름이 생기기 시작하는 사춘기부터일 것이다. 사춘기에 호르몬의 불균형 때문에 얼굴에 여드름이 생긴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남보다 여드름이 심한 사람은 그만큼 호르몬 분비가 왕성하거나 혹은 불규칙하다고 할 수 있다.
여성의 경우 또한 여드름이 심한 경우도 있는데 이시기에 호르몬 분비가 바뀌기 때문이다. 물론 사춘기 이후의 여드름 중에는 꼭 호르몬 분비 때문만은 아니다.
이런 호르몬은 태어나기 전 엄마 뱃속에서부터 남아는 남아의 모습 또 여아는 여아의 모습을 만들게 한다. 임신 초기에 외부생식기의 모습은 남성이나 여성이나 처음에는 다 같다. 그러한 외부의 모양은 태아가 자라는 동안 호르몬이라는 비료에 의해 서로 다른 모습으로 변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이 시기에 호르몬 분비의 장애가 있을 경우에는 외견상 전혀 다른 성을 갖고 태어나게 된다.
남자아이가 태내에서 남성 호르몬의 존재가 없을 경우 남성으로의 분화에 장애를 가져옴으로서 여성생식기의 모양을 하고 태어나게 되는 것이다. 즉 새싹은 남성호르몬이라는 존재가 없을 경우 무조건 여성의 모습을 하게끔 만들어져 있던 것이었다.
임신 중에 유산을 막고 임신을 유지하기 위하여 엄마가 호르몬치료를 받는 경우가 있다. 이런 치료를 받았던 엄마에서 태어난 여자아이의 성격이 마치 남자아이와 같은 행동을 하고 인형보다는 남자아이들과 어울려 거친 놀이를 더 좋아한다는 보고도 있다.
사춘기에 성호르몬의 분비에 의해 외모의 변화가 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남성의 경우는 근육질이 되기 시작하면서 성기가 커지고 수염이 나며 목소리도 변하게 된다. 여성의 경우는 유방과 엉덩이가 커지면서 굴곡 있는 몸매가 만들어지고 월경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이 성장함에 있어서 성 호르몬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부족하거나 또는 넘쳐서는 안되는 중요한 호르몬이다. 성장기 뿐 아니라 평생을 두고 건강관리를 통하여 성호르몬이 외부적 자극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 포유동물 생식 세포학 / 임경순 / 서울대학교출판부
- 생명 (생물의 과학) / Purves, Sadara, Orians, Heller Sinaver, Freeman / 교보문고
- 인체해부생리학 / 정영태, 정경아 / 청구문화사
- 생물학 / 이광웅 외 7명 / 을유문화사
- 비교 해부학 / 윤용달 외 17명 / 월드 사이언스
- 인체기행 / 권오길 / 지성사
- 생리학 / 이종삼 외 2인 / 대학서림
- 인체생물학 / 강성구 외 7명 / 아카데미 서적
- 인체생물학 / 강빈구 외 26명 / 정문각
- http://blog.daum.net/timon100/8360906
- http://blog.paran.com/ictop/3712545
- http://scheonh.blog.me/140122958944
- http://blog.daum.net/sevenfamilylove/16078798
난은 일정 성숙단계가 되면 난소로부터 난세포가 배출되는데 난자가 난소를 이탈하는 이 과정을 배란이라 하고 이는 빛, 온도, 외부요인과 호르몬 등 체내요인이 서로 작용하여 조절된다. 또한, 사춘기에 이르면 난소의 호르몬 분비량이 28일을 주기로 변화하며 자궁내막구조가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매주기마다 혈액과 자궁내막구조가 외부로 분비되는 현상을 ‘월경'이라 한다.
황체호르몬 프로게스테론은 코너 알렌이 돼지 황체에서 처음 분리한 것으로 난소에서 분비되며 월경 후반기 동안에는 황체에서 분비된다. 이것은 배란 직전부터 출산때까지 다량으로 분비되며 임신 시에 농도가 증가하여 자궁수축력을 억제한다. 또한 발열작용을 하여 월경주기 중간쯤 체온을 상승시키고 에스트로겐 작용을 억제하며 피부에 색소를 침착시킨다. 그리고 결합조직을 연화시키므로 여성의 피부는 부드러우나 황체호르몬이 없는 남성은 여성에 비해 부드럽지 못한 것이다.
(4) 여성 호르몬의 기능
- 임신과정 : 임신 유지에 필요한 자궁구조와 기능의 변화는 분비량이 증가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작용으로써 이루어진다. 처음 2개월 동안 이들 호르몬은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황체로부터 공급되어진다. 임신 후 황체가 쇠퇴하지 않고 10~12주간 기능을 발휘하는 것은 태반에서 분비된 hCG가 황체를 계속자극하기 때문이다. 착상 직후 포배의 영양막 세포는 모체 혈액으로 hCG를 분비하기 시작하여 황체를 유지시킨다. 임신 초기에 hCG 분비는 급증하여 10주경에 최고도에 달하고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3개월 말부터는 낮은 상태로 임신기간 동안 일정히 유지된다. 태반에서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는데 태반이 발달함에 따라 그 분비량이 증가하여 황체가 기능을 잃는 10~12주경 임신 유지에 필요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충분히 공급할 정도가 된다. 따라서 임신 후반 6개월 동안에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공급은 거의 전적으로 태반에 의존한다.
- 분만 : 분만은 대략 수정 후 38주에 일어난다. 임신기간 동안 자궁경부는 태아의 보호를 위해 굳게 닫혀 있으나 분만 시기가 가까워지면 relaxin이라는 호르몬의 작용으로 자궁경부를 비롯한 산도가 부드러워진다. 출산 시점이 되면 자궁경부가 열리면서 규칙적인 자궁의 수축이 발생하고 그 빈도가 강도와 증가하여 분만이 시작된다. 분만을 일으키는 요인은 자궁 내에 있던 prostaglandin F2(PGF2)의 작용이다. PGF2는 임신기간 동안에 유지되던 프로게스테론의 자궁근 수축 억제작용을 제거시켜 자궁근의 수축을 시작하게 한다. 한편 자궁근 수축이 개시되어 태아의 머리가 자궁경부를 압박하면, 신경내분비 반사에 의하여 신경하수체로부터 옥시토신이 분비되어 분만 후기의 자궁수축을 주도하게 된다. 태아분만 후 수분 이내 제대혈관과 태반혈관들이 완전수축을 이루면서 태반으로의 혈류의 공급이 끊기고 태반 전체가 자궁벽으로부터 분리된다.
5. 결론
- 우리가 성호르몬의 존재를 느끼기 시작하는 시점은 얼굴에 여드름이 생기기 시작하는 사춘기부터일 것이다. 사춘기에 호르몬의 불균형 때문에 얼굴에 여드름이 생긴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남보다 여드름이 심한 사람은 그만큼 호르몬 분비가 왕성하거나 혹은 불규칙하다고 할 수 있다.
여성의 경우 또한 여드름이 심한 경우도 있는데 이시기에 호르몬 분비가 바뀌기 때문이다. 물론 사춘기 이후의 여드름 중에는 꼭 호르몬 분비 때문만은 아니다.
이런 호르몬은 태어나기 전 엄마 뱃속에서부터 남아는 남아의 모습 또 여아는 여아의 모습을 만들게 한다. 임신 초기에 외부생식기의 모습은 남성이나 여성이나 처음에는 다 같다. 그러한 외부의 모양은 태아가 자라는 동안 호르몬이라는 비료에 의해 서로 다른 모습으로 변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이 시기에 호르몬 분비의 장애가 있을 경우에는 외견상 전혀 다른 성을 갖고 태어나게 된다.
남자아이가 태내에서 남성 호르몬의 존재가 없을 경우 남성으로의 분화에 장애를 가져옴으로서 여성생식기의 모양을 하고 태어나게 되는 것이다. 즉 새싹은 남성호르몬이라는 존재가 없을 경우 무조건 여성의 모습을 하게끔 만들어져 있던 것이었다.
임신 중에 유산을 막고 임신을 유지하기 위하여 엄마가 호르몬치료를 받는 경우가 있다. 이런 치료를 받았던 엄마에서 태어난 여자아이의 성격이 마치 남자아이와 같은 행동을 하고 인형보다는 남자아이들과 어울려 거친 놀이를 더 좋아한다는 보고도 있다.
사춘기에 성호르몬의 분비에 의해 외모의 변화가 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남성의 경우는 근육질이 되기 시작하면서 성기가 커지고 수염이 나며 목소리도 변하게 된다. 여성의 경우는 유방과 엉덩이가 커지면서 굴곡 있는 몸매가 만들어지고 월경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이 성장함에 있어서 성 호르몬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부족하거나 또는 넘쳐서는 안되는 중요한 호르몬이다. 성장기 뿐 아니라 평생을 두고 건강관리를 통하여 성호르몬이 외부적 자극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 포유동물 생식 세포학 / 임경순 / 서울대학교출판부
- 생명 (생물의 과학) / Purves, Sadara, Orians, Heller Sinaver, Freeman / 교보문고
- 인체해부생리학 / 정영태, 정경아 / 청구문화사
- 생물학 / 이광웅 외 7명 / 을유문화사
- 비교 해부학 / 윤용달 외 17명 / 월드 사이언스
- 인체기행 / 권오길 / 지성사
- 생리학 / 이종삼 외 2인 / 대학서림
- 인체생물학 / 강성구 외 7명 / 아카데미 서적
- 인체생물학 / 강빈구 외 26명 / 정문각
- http://blog.daum.net/timon100/8360906
- http://blog.paran.com/ictop/3712545
- http://scheonh.blog.me/140122958944
- http://blog.daum.net/sevenfamilylove/16078798
추천자료
청소년기와 생리적 변화
청소년기
청소년기의 발달과 사회환경
청소년기와 청년기
청소년기
[성병]성병 비임균성 요도염의 의미, 성병 비임균성 요도염의 분류, 성병 비임균성 요도염의 ...
여성 복지
성의생물학
[정신건강론] 청소년기의 발달과 청소년기의 심리적 부적응 및 부적응 행동, 청소년기의 사회...
사회복지사가 아동기의 클라이언트를 위해 해야 하거나 할 수 있는 일들을 논의해 봅시다., ...
인간의 발달단계에 있어서 특히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해 논하여 주세요.
청소년 성폭행에 관한 사회복지사 상담 및 문제 해결방안.
요즘 청소년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추어 토론해 봅시다
청소년기의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