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호장룡』과 오리엔탈리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와호장룡』과 오리엔탈리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있겠죠."
환상 속의 중국이 영화 속에는 펼쳐지는 것이다. 서양인에게 그려지는 청조 중국의 모습은 아름답고 우아하기만 하다. 빈민굴의 모습은 1,2초 사이에 등장할 뿐이다. 등장인물들은 신의, 우정, 사랑, 자유를 추구할 뿐 시대정신이나 역사의식으로 고민하지 않는다. 중국에서는 『와호장룡』이 서구적 오리엔탈리즘의 전형을 보여주는 영화라고 비판하면서 철저히 외면했다. 무협이라는 가상의 판타지로 헐리웃 판타지의 확장이라고 볼 수 있으며 자유, 사랑, 신의, 우정 등의 보편적인 정서를 담았을 뿐이다.
2) 외국어작품상의 숨겨진 의미
우리가 먼저 생각해 보아야 하는 것은 외국어작품상이라는 이 묘한 어휘의 뉘앙스를 지닌 상이다. 이 말은 영어가 아닌 말로 만들어졌지만, 영어로 만들어진 작품처럼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말이다. 약간 이론적 용어를 빌린다면 바깥에서 만들어졌지만, 안에서 만들어진 것처럼 받아들여질 수 있는 영화들을 선별하여 고르고 버리면서 그 안에서 대중적인 상품성을 골라내는 과정의 제도화이다. 같은 말이지만, 그것은 바깥의 안이면서 동시에 이미 안이 되어버린 바깥이다. 아카데미상은 미국이 만들어내는 문화적 허상과 할리우드가 전지구적으로 장악한 배급망의 토대가 서로 조응하여 만들어내는 권위 아래 우리와 서양인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면서 영화적인 타자들을 굴복시켜 온 제도적 방식인 것이다.
3) 헐리웃 제작에 의한 한계
요즘 외국어영화 부문상을 타려면 많은 돈 또는 영향력이 있어야 하고, 강력한 미국 배급사는 거의 필수이다. 대부분의 비용을 분담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시스템(텔레비전, 인터뷰 등)을 할리우드 수준에서 활용하고 다루기 위해서다. 외국어영화는 수상으로 이익을 보는 일이 적다. 출품국가의 영화업계를 알리고, 영화를 만든 이들의 자존심을 세워지는 일 외에는 이득이 없다. 주로 이익을 받는 쪽은 미국 배급사이다.
4) 오리엔탈리즘을 표방한 다른 영화들
2000년에 발표되어 전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와호장룡』. 이에 대해 거의 모든 나라가 걸작이라고 칭송했지만 중국은 철저히 외면했다. 그럼에도 이 영화의 엄청난 성공은 무협 영화의 종주국이자 배경인 중국에서 진정한 정통 무협 영화를 선보여야 한다는 압력으로 작용했다. 이에 제작진이나 출연진, 그리고 제작비 등에 있어서 중국 영화의 모든 역량을 집결해서 야심적으로 만들어진 영화가 바로 『영웅』이다. <영화읽기>, 영화진흥위원회 교재편찬위원회, 커뮤니케이션북스
『영웅』은 기저에 깔린 중화주의로 『와호장룡』보다 환영받게 되지만 여기에 고무된 장이모 감독의 『연인』은 헐리웃의 공산품, 중국형 블록버스터의 전략, 세계화에 대한 환상, 장이모의 상업주의 사기극이라는 혹평을 받게 된다.
이는 서양의 평가에 고무되어 동양의 감독들이 자기 환상, 즉 자기 오리엔탈리즘에 빠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주술이면서 또한 권력으로부터의 잠재적 승인이다. 참조틀로서의 서구는 이렇게 역사적, 인식론적으로 주변을 떠돌고 우리를 포획한다. 어떻게 서구지향적인 유령으로부터 몸을 빼낼 수 있을까? 그리고 어떻게 영화를 통해 새로운 역사와 인식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인가?
Ⅲ. 맺음말
『와호장룡』은 둘 중의 하나이다. 서구영화를 끌어들여 중국 무협소설의 장르 안에서 다시 해석한 것이거나, 아니면 중국 무협소설을 서구 영화의 장르 안에서 다시 만들어낸 것이다. 우리 3조는 기계적인 도식주의적 관점으로『와호장룡』이 중국문화의 할리우드 식민지화라고 말하고 싶지 않지만, 동시에 이러한 성공을 통해 할리우드의 지배질서 내에서 저항의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와호장룡』은 오리엔탈리즘을 적극적으로 끌어안으면서 그 안에 할리우드의 그림자를 배치하는 동조적인 영화이다.
"17세기 이후 서구는 동양 없이는 아무 상상도 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상상한 다음에 그것을 갖기 위해서 모든 노력을 항상 기울여 왔습니다. 거기에 동조하는 자들이 생겨나기 시작했죠."
에드워드 사이드의 말이다.
이처럼 서구의 동양에 대한 관심은 17~18세기 서구의 영토 확장으로 인한 식민지화 정책을 들 수 있다. 상상한 그 이상의 것을 얻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아시아 영토를 식민지화 했던 것과 같이 서구의 동양문화에 대한 최근의 관심은 서구의 동양문화에 대한 소유욕 혹은 침탈의 시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안은 본래의 원작에서 가장 적절한 포인트를 잡았고, 서양적인 시각에서의 오리엔탈리즘과 동양적 정서 사이의 어떤 교감점을 찾아내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동양적인 요소가 가미된『와호장룡』의 성공으로 고무된 아시아인들이 그 성공에 편향한 영화만을 양산해 낼 경우 -즉, 아시아인들보다 서구인들의 구미에 맞는 영화를 양산해 낼 경우- 동양문화에 대한 서구인들의 self 오리엔탈리즘을 확산시킬 뿐이며 서구에 의한 동양문화의 속박을 가속화 시킬 것이다.
와호장룡의 성공이후 무협영화에서 눈에 두드러지는 점은 바로, 최근의 중국 무협영화들이 협의 정신에 입각한 협객의 형상을 구현하는데 중점을 두는 무협영화 본연의 모습에 충실하기 보다는, 철저하게 상업적 코드를 내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즉 첨단기술을 총동원한 화려한 시각적 볼거리, 남녀의 애절한 사랑, 상상력의 실현으로 인한 대리만족 등등으로 무장하고 있다.
영화의 내용과 형식적인 뛰어남에 비추어 봤을 때『와호장룡』하나만으로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을 비판하기엔 과장된 면이 없지 않지만, 이후 양산되는 영화들 혹은 아류작들이 동양의 정서를 주체적으로 담지 못한다면 서구의 발전된 영화산업시스템에 지배당하는 문화식민지화를 면치 못할 것이라 조심스럽게 결론짓는 바이다.
*데릭엘리 버라이어티 기자
-“CTHD" 『와호장룡』영문 제목으로 “Crouching Tiger Hidden Dragon"의 약자
was actually financed by Hollywood-based Columbia Pictures, Through its Hong Kong arm. And for a foreign-language movie, the film was also a huge box-office success in the US.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3.13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7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