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아기의 자아중심적 언어
2. 집단적 독백의 사례 제시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유아기의 자아중심적 언어
2. 집단적 독백의 사례 제시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목소리로 중얼거렸다.
2. 집단적 독백의 사례 제시
가. 개념
유아는 주관과 객관의 미분화로 기인하여 타인의 시점에서 외계인지가 힘들다. 따라서 자기 시점에서만 외계를 인지하고 대상을 자기와 동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결과에 따라 언어행위에 있어서도 단순하게 자신의 즐거움을 위하여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마치 사고하는 것처럼 자신을 향해 독백을 하곤 한다. 이러한 독백 중에서도 집단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집단적 독백이라고 하는데, 집단적 독백은 타인에 대한 전달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다는 것에서 자아중심적 언어라고 불린다.
나. 사례
1) 집단 소개
만 4세 남아 병민이, 만 3세 여아 미주, 만 3세 남아 성진이
2) 집단적 독백의 사례 제시
병민이와 미주, 성진이는 모두 만 6세 이하로 피아제 언어발달이론 단계에서 감각운동기에 속한다. 이들 아이들은 자아중심적 사고를 바탕으로 여러 집단 독백을 종종 사용하고 있었는데, 주요 사례는 아래와 같다.
상황설명
병민이와 미주 성진이는 함께 놀이방에 모여 놀잇감을 가지고 놀고 있다.
놀이장소
00 놀이방
독백의 사례
병민 : (모형 자동차를 가지고 놀고 있다) 붕붕~~ 날아라~ 슝~~ 됐어 가지마 안돼
미주 : (비비 인형을 가지고 놀고 있다) 그래 알았어 언니가 옷 바꿔줄게. 이제 됐지? 아~~ 너무 이쁘다. 나도 너 사랑해~ 우리는 친구잖아.
성진 : (병민이가 가지고 노는 모형 자동차를 보고 있다) 안돼~ 자동차는 나는게 아닌데, 아프지? 많이 다쳤겠다.
병민 : 날아라 슈퍼맨~ 붕붕.. 빵빵 끼익~~
미주 : 난 이옷이 너 좋은데 넌 어떤 옷이 더 좋아? 그래? 난 하얀색 옷이 더 좋아.. 안돼.. 하얀색 옷 입어
성진 : (미주가 가지고 노는 비비 인형을 보고 있다) 부끄럽겠다. 옷을 벗었어. 미안해.
성진 : (옆에 있는 동화책을 만지작 거리면서) 비비야 동화책 읽어줄게, 난 이책 읽을 꺼야. 이거 재밌어
미주 : (인형의 옷을 갈아 입히고 있다) 알았어. 다음에 이옷으로 바꿔줄게. 대신에 이 옷은 지금 입어. 안돼.. 빨리 입어
병민 : 자동차~~ 아이스크림~~~ 나 아이스크림~~
성진 : (병민이에게) 시끄러워. 병민이 너무 시끄러워~
병민 : (성진의 소리가 들리지 않은냥 더 큰 소리를 지른다) 슈퍼맨~~ 안돼~~ 으악~~ 자동차 아이스크림~~ 빨리타 아이스크림이 녹는다고. 알았어~~~
Ⅲ. 결론
이처럼 유아기 아이들은 자아중심적 언어를 사용하면서 자신을 표현하게 된다. 비록 아이들의 자아중심적 언어가 타인지향적인 의사소통 과정은 아니지만, 동시에 아이들의 언어발달과 사회성 발달에 있어 긍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아이들의 언어발달에 있어 자아중심적 언어는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지 않나 생각해 보았다.
Ⅳ. 참고자료
사고와 언어 L.S. 비고츠키 저, 윤초희 역, 교육과학사, 2011.09.30.
효과적인 교수법 Gary D. Borich 저, 박승배 외 2명 역, 아카데미프레스, 2011.08.09
보육학개론 정옥분(교수) 저, 학지사, 2012.08.20
2. 집단적 독백의 사례 제시
가. 개념
유아는 주관과 객관의 미분화로 기인하여 타인의 시점에서 외계인지가 힘들다. 따라서 자기 시점에서만 외계를 인지하고 대상을 자기와 동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결과에 따라 언어행위에 있어서도 단순하게 자신의 즐거움을 위하여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마치 사고하는 것처럼 자신을 향해 독백을 하곤 한다. 이러한 독백 중에서도 집단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집단적 독백이라고 하는데, 집단적 독백은 타인에 대한 전달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다는 것에서 자아중심적 언어라고 불린다.
나. 사례
1) 집단 소개
만 4세 남아 병민이, 만 3세 여아 미주, 만 3세 남아 성진이
2) 집단적 독백의 사례 제시
병민이와 미주, 성진이는 모두 만 6세 이하로 피아제 언어발달이론 단계에서 감각운동기에 속한다. 이들 아이들은 자아중심적 사고를 바탕으로 여러 집단 독백을 종종 사용하고 있었는데, 주요 사례는 아래와 같다.
상황설명
병민이와 미주 성진이는 함께 놀이방에 모여 놀잇감을 가지고 놀고 있다.
놀이장소
00 놀이방
독백의 사례
병민 : (모형 자동차를 가지고 놀고 있다) 붕붕~~ 날아라~ 슝~~ 됐어 가지마 안돼
미주 : (비비 인형을 가지고 놀고 있다) 그래 알았어 언니가 옷 바꿔줄게. 이제 됐지? 아~~ 너무 이쁘다. 나도 너 사랑해~ 우리는 친구잖아.
성진 : (병민이가 가지고 노는 모형 자동차를 보고 있다) 안돼~ 자동차는 나는게 아닌데, 아프지? 많이 다쳤겠다.
병민 : 날아라 슈퍼맨~ 붕붕.. 빵빵 끼익~~
미주 : 난 이옷이 너 좋은데 넌 어떤 옷이 더 좋아? 그래? 난 하얀색 옷이 더 좋아.. 안돼.. 하얀색 옷 입어
성진 : (미주가 가지고 노는 비비 인형을 보고 있다) 부끄럽겠다. 옷을 벗었어. 미안해.
성진 : (옆에 있는 동화책을 만지작 거리면서) 비비야 동화책 읽어줄게, 난 이책 읽을 꺼야. 이거 재밌어
미주 : (인형의 옷을 갈아 입히고 있다) 알았어. 다음에 이옷으로 바꿔줄게. 대신에 이 옷은 지금 입어. 안돼.. 빨리 입어
병민 : 자동차~~ 아이스크림~~~ 나 아이스크림~~
성진 : (병민이에게) 시끄러워. 병민이 너무 시끄러워~
병민 : (성진의 소리가 들리지 않은냥 더 큰 소리를 지른다) 슈퍼맨~~ 안돼~~ 으악~~ 자동차 아이스크림~~ 빨리타 아이스크림이 녹는다고. 알았어~~~
Ⅲ. 결론
이처럼 유아기 아이들은 자아중심적 언어를 사용하면서 자신을 표현하게 된다. 비록 아이들의 자아중심적 언어가 타인지향적인 의사소통 과정은 아니지만, 동시에 아이들의 언어발달과 사회성 발달에 있어 긍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아이들의 언어발달에 있어 자아중심적 언어는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지 않나 생각해 보았다.
Ⅳ. 참고자료
사고와 언어 L.S. 비고츠키 저, 윤초희 역, 교육과학사, 2011.09.30.
효과적인 교수법 Gary D. Borich 저, 박승배 외 2명 역, 아카데미프레스, 2011.08.09
보육학개론 정옥분(교수) 저, 학지사, 2012.08.20
추천자료
[국문학] 방한림전과 여성의 자아실현
(아동상담및 실습)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아동상담및실습-자아존중감향상프로그램
[버지니아 M. 액슬린][딥스][자아를 찾는 아이][독후감][독서감상문][서평]버지니아 M. 액슬...
[딥스][자아를 찾는 아이][독후감][독서감상문][서평]딥스(자아를 찾는 아이)를 읽고, 딥스(...
[대화기법][학교][교사][어린이][자녀][해결중심][소크라테스]학교에서 대화기법, 교사의 마...
국어과 교육-정의_중심적_사고의_이해
[정신건강론]프로이드의 구조적이론(이드/자아/초자아)의 개념을 서술하고, 이드/자아/초자아...
[근대시][근대시 배경][근대시 형성][근대시 발생][근대시와 자아][근대시와 서구시][근대시...
인간특성 - 지능, 창의력, 동기, 성취동기, 자아개념, 자아효능감의 개념과 요인
무라카미 하루키 「해변의 카프카」레포트, 폭력과 자아의 훼손에 대한 극복을 중심으로
[생활지도와 상담] 학생생활을 지도하고 상담할 때 학생중심적인 태도를 위한 초등학교 교사...
유아기 정서발달 및 자아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