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계급의식과 한국진보정당
1. 계급의식의 흐름
2. 왜 라이히 인가?
3. 한국진보정당과 사회심리학
1. 계급의식의 흐름
2. 왜 라이히 인가?
3. 한국진보정당과 사회심리학
본문내용
계급의식과 한국진보정당
1. 계급의식의 흐름
(카우츠키)
(루카치)
(알튀세르) (그람시)
(라이히)
1. 계급의식의 흐름
카우츠키 (Karl Kautsky)
≪ 사 진 ≫
• 기계적, 통속적 유물론
•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계급의식은 경제적 발전에 완전히 종속
• 자본주의의 발전과 더불어, 자본주의의모순은 심화되며, 자연스럽게 노동자 계층의 계급의식이 발생하며,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발생.
1. 계급의식의 흐름
루카치( Lukacs Gyorgy)
≪ 사 진 ≫
사람들은 사회구조들이 그들 나름의 생명력을 갖는다고 믿게 되며 그 결과로 사회구조들은 객관적인 성격을 갖게 됨
(Marx의 물신주의 개념)
(루카치의 물화개념)
(법)(경제)(국가)
1. 계급의식의 흐름
루카치( Lukacs Gyorgy)
(루카치의 계급의식)
사회 내에서 동일한 계급적 지위를 점유하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신념체계
생산체계 내에서 유사한 위치를 점하는 사람들의 집단적인 속성
(허위 의식)
계급조건에 제약되어 자신들이 처한 사회역사적이고 경제적인 조건을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
자본주의 내의 계급들은 대게 그들의 진정한 계급적 이해관계를 분명히 인식하지 못하게 마련이다.
≪ … 중 략 … ≫
2. 왜 라이히 인가?
2. 왜 라이히인가?
• 지도부와 대중의 계급의식
라이히는 계급의식을 단일한 것이 아니라,
지도부의 계급의식과 대중의 계급의식으로 분리해야 된다고 주장
지도부의 계급의식 :인류의 존재를 지배하는 역사적인 혹은 경제적인 법칙에 관한 인식
대중의 계급의식 : 역사, 경제적 법칙이 아닌 자신의 일상과 관련된 의식
지도부의 계급의식
- 충분히 발전된 대중의 계급의식에서 자발적으로 성장할 총괄적 행동
1. 계급의식의 흐름
(카우츠키)
(루카치)
(알튀세르) (그람시)
(라이히)
1. 계급의식의 흐름
카우츠키 (Karl Kautsky)
≪ 사 진 ≫
• 기계적, 통속적 유물론
•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계급의식은 경제적 발전에 완전히 종속
• 자본주의의 발전과 더불어, 자본주의의모순은 심화되며, 자연스럽게 노동자 계층의 계급의식이 발생하며,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발생.
1. 계급의식의 흐름
루카치( Lukacs Gyorgy)
≪ 사 진 ≫
사람들은 사회구조들이 그들 나름의 생명력을 갖는다고 믿게 되며 그 결과로 사회구조들은 객관적인 성격을 갖게 됨
(Marx의 물신주의 개념)
(루카치의 물화개념)
(법)(경제)(국가)
1. 계급의식의 흐름
루카치( Lukacs Gyorgy)
(루카치의 계급의식)
사회 내에서 동일한 계급적 지위를 점유하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신념체계
생산체계 내에서 유사한 위치를 점하는 사람들의 집단적인 속성
(허위 의식)
계급조건에 제약되어 자신들이 처한 사회역사적이고 경제적인 조건을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
자본주의 내의 계급들은 대게 그들의 진정한 계급적 이해관계를 분명히 인식하지 못하게 마련이다.
≪ … 중 략 … ≫
2. 왜 라이히 인가?
2. 왜 라이히인가?
• 지도부와 대중의 계급의식
라이히는 계급의식을 단일한 것이 아니라,
지도부의 계급의식과 대중의 계급의식으로 분리해야 된다고 주장
지도부의 계급의식 :인류의 존재를 지배하는 역사적인 혹은 경제적인 법칙에 관한 인식
대중의 계급의식 : 역사, 경제적 법칙이 아닌 자신의 일상과 관련된 의식
지도부의 계급의식
- 충분히 발전된 대중의 계급의식에서 자발적으로 성장할 총괄적 행동
키워드
추천자료
선거제도 ; 한국과 독일의 사례
마르크스와 베버의 계급 이론 비교 ( 베버의 경우 계급은 주로 계층으로 대치될 수 있음 )
소득 양극화 현상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연구(한국사회문제)
부르주아 계급의 민주주의 혁명
공공성의 의미, 공공성의 이론, 공공성의 이해, 공공성과 공공재화, 공공성과 사회적 계급관...
(사회학개론) 계층과 계급 사회이동 계급의 중요성 보고서
[사회변동론] 한국노동계급의 형성
[여성학개론] 여성운동이란 무엇이며, 한국 여성운동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특징 및 사회·문화...
[계급투쟁][맑스주의(막스주의, 마르크스주의)][봉기][국가][체코슬로바키아][계급]계급투쟁...
톰슨의 『영국노동계급의 형성』에 대한 연구 (맑스주의 계급이론)
[문화재생산, 문화재생산 과정, 문화재생산 이론, 사회적 재생산, 교육, 계급문화]문화재생산...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한국 근대화의 잉여와 결핍 : 도시노동자에 대하여 _ 조세...
[현대시강독] <1940년대 한국시>
계급의 재생산이 오늘날에도 계속 현존한다고 생각하는지 자신의 의견을 쓰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