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후 재활운동 프로토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술 후 재활운동 프로토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Phase Ⅰ : Anti inflammatory phase
(염증회복시기, 소극적 관절가동범위 운동)

Phase Ⅱ : Protective strengthening phase
(소극적 근력 강화시기, 적극적 관절 가동범위운동)

Phase Ⅲ : Advanced strengthening phase
(적극적 근력 강화시기)

Phase Ⅳ : Functional conditioning phase
(기능적 강화 시기)

본문내용


무릎의 굴곡 범위가 90도를 넘어서고, 기본적인 근력이 회복되어 다리의 컨트롤이 가능해지면 고정자전거를 타기 시작한다. 시간은 10분부터 시작하여 늘여간다. 상체운동과 번갈아 가며 유산소 운동을 시행한다. 상황을 보아가면서 스테퍼, 트레드밀을 이용한 빠르게 걷기 등을 추가한다.
(3) 등척성 운동
등척성 운동은 초기 재활과정에 적응하고 나면 효과가 줄어든다. 대부분의 운동을 등장성 운동으로 전환한다.
(4) 등장성 운동 - 저항, 속도, 각도
스쿼트, 레그 프레스 등의 '폐쇄사슬형 운동(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CKC)' 위주의 하체 운동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처음에는 가벼운 저항으로 기본 자세를 익히는데 치중한 다음 천천히 저항을 증가시켜 나간다. 이어 레그 익스텐션, 레그 컬 등의 '개방사슬형 운동(Open Kinetic Chain Exercise: OKC)'을 섞은 다양한 등장성 운동이 추가된다. 상체 및 몸통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을 동시에 시행하여 전반적인 운동 능력을 증진 시킨다.
‘개방사슬형 운동’의 시작 시기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개방사슬형 운동을 ‘나쁜 운동’으로 분류하는 것은 잘못됐다. 폐쇄사슬형 운동과는 다른 면에서 근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운동이며, 시행하는 테크닉에 따라 영향이 달라진다.
등장성 운동 프로그램
- squat
- leg press
- leg extension/curl
- calf raise
- ankle pump (dorsiflexion/plantarflexion)
- multi-hip exercise
-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 모든 상체 운동
Phase III : Advanced strengthening phase
(적극적 근력 강화 시기) - 균형운동 : 수술 후 약 4주~8주
기본적인 근력이 회복 된 상태에서, 근 지구력, 심폐 지구력, 파워, 민첩성, 균형력, 협응력 등의 기능을 고루 향상시켜 나가는 시기이다. 기능 향상 수준에 따라, 원하는 종목에 대비한 '종목별 운동(sports specific exercise)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손상을 받은 인대를 제외한 신체의 모든 부분은 상해 전 보다 향상된 기능을 얻게 된다.
(운동 지침)
(1) 스트레칭
전신 스트레칭을 지속한다.
(2) 유산소 운동
각종 유산소 운동의 지속 시간을 증가시켜 나간다.
(3) 저항 운동
등장성 훈련 강도를 높여 최대 근력 발휘를 유도함으로써 본격적인 근매스 및 근력의 발달을 이루는 시기이다. Biodex 등의 등속성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등속성 근력 운동을 시행하고 측정한다. 부위별 스플릿, 서킷 트레이닝 등으로 훈련을 다양화 시켜 지속적인 근육 발달을 유도한다. 각종 고강도 프로그램의 사용이 가능하다.
(4) 인터벌 트레이닝(interval training)
지구력 증진을 위한 인터벌 트레이닝을 시행한다.
(5) 기능형 운동(functional training)
종목별 특성에 맞춘 각종 기능형 운동들이 다양하게 시행한다.
- 플라이오메트릭(plyometrics): 박스, 메디슨 볼 등을 이용
- 균형력/협응력 운동(balance/coordination exercise): 트렘폴린, 에어백 등 이용
- 스피드/순발력/민첩성 운동(speed/agility/quickness exercise): 사다리, 콘 등 이용
Phase Ⅳ: Functional conditioning phase
(기능적 강화 시기) : 수술 후 약 8주~12주
일상으로 완전 복귀를 준비하는 시기이다. 기존에 해 오던 고강도 근육 트레이닝을 지속하면서, 동작을 연습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상해 부위는 상해 전 상태로, 나머지 부위는 상해 전 보다 더 강하게 만들어 나간다.
최종적으로는 재 상해 방지를 위한 교육을 시행한다. 상해 예방에 대한 검증된 자료를 몸과 머리로 익혀 언제든지 닥칠 수 있는 재 상해에 대비한다.
이런 마무리 과정을 거친 후에 완전히 일상으로 복귀한다. 개인차가 있고, 여러 가지 변수가 작용하지만 일반적으로 수술 후 4개월~6개월 정도의 시기가 된다.
참 고 문 헌
William E. Prentice.(2007). 스포츠 재활총론. EPUBLIC.
나영무.(2006). 스포츠 의학(손상과 재활치료). 한미의학.
Scott K. Powers.(2008). 운동생리학 (파워). 라이프사이언스.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12.03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2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