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과 트레이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활과 트레이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스포츠 재활

■ 재활트레이닝의 성공비결

■ 재활 치료의 목표

■ 신체 부위별 재활 트레이닝
■ 목손상
■ 어깨 손상
■ 허리손상
■ 팔꿈치 손상
■ 무릎손상
■ 발손상

■ 재활 후 복귀

■ 참고(근육의 명칭)

본문내용

근력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근력이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는 선수가 실시하는 방법으로 처치자는 양발 앞끝으로 서기, 한쪽 앞 발끝으로 서기, 바벨을 들고 앞발끝으로 서기 등으로 강화시킨다.
③ 내반근군 근력 강화운동
처치자는 강화가 요구되는 하체를 아래로 하여 옆으로 눕는다. 이때 다른 한쪽 다리는 지지할 수 있도록 치료대 끝에 대고 발등으로 고정한다. 이후 강화시킬 다리 부분에 튜브를 걸고 운동을 실시한다.
이때 다리가 치료대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한다.(A) 보조자를 이용할 경우에는 옆으로 누운 자세로 하체를 고정하고 저항을 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B)
④ 외반근군 근력 강화운동
강화시킬 하체를 위로 하여 옆으로 눕게 하고 발에 튜브를 걸어 운동을 실시한다.
이때 허리가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엉덩이에 힘을 주고 실시한다. 또한 보조자를 활용할 경우에는 옆으로 누운자세로 하체를 고정하고 발의 외측부를 지지하여 저항을 가하는 운동을 반복 실시한다.(B)
■ 재활 후 복귀
◎ 재활운동 후 스포츠 복귀
스포츠 손상에 대한 재활 치료의 목표는 빠른 스포츠 복귀 즉 현장 복귀를 의미한다. 기능적 완전회복과 함께 현장으로 조기복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운동기능이 부상 전과 같은 수준으로 회복되어야 하지만 실제로 완전한 회복하기 위한 처치가 스포츠 재활에서는 실패로 끝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한다.
특히 일상생활 수준으로의 회복은 가능하더라도 많은 신체활동에서 요구되는 스포츠 현장에서 요구되는 100%회복은 많은 시간 그리고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재활운동에 의해 어느 정도까지의 회복이 이루어지면 운동수행과 함께 기능적 완전회복을 위한 재활치료 운동을 서서히 진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정 즉 완전 회복은 아니지만 현장으로의 조기 복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운동재활은 매우 중요한 단계이며 신중하게 결정하지 않으면, 다시 동일 손상이나 다른 손상으로 재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손상을 입은 사람은 개별성의 원칙에 유의하여 손상부위를 빨리 회복시키고 체력회복에 부합된 재활운동을 체계적으로 계획, 실시해야 한다.
1. 재활운동에서 스포츠 트레이닝 전환
재활운동이나 트레이닝은 기본적으로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공통된 목표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대상에 있어 재활은 얼마간의 상해를 가진 사람이 기능회복을 위해 실시하는 운동이고 트레이닝은 손상이 없는 사람이 현재 보다 높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운동과정이다.
따라서 재활운동은 안전성이나 상해예방을 무시해서는 안되며,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많은 목표중 어느 것에 우선을 둘 것인가를 생각하고 실시하여야 한다.
재활운동은 상해를 입은 환부나 전신의 운동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안전성에 최대 주의를 기울이면서 운동기능 회복에 힘써야 한다. 이때 1차적으로 기능이 일반적·평균적 수준까지 회복할 수 있게하고 향후 자연스럽게 스포츠 트레이닝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재활운동은 대상이 인간이기 때문에 이때의 운동방법은 대부분 트레이닝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므로 트레이닝과 명확히 구분하여 생각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평균 운동능력이 있으면 스포츠 트레이닝을 실시하고, 국소적일지라도 평균 수준이하이면 재활운동으로 이해하면 쉬울 것이다.
손상을 입은 사람이 재활운동후 기능회복 수준을 비교할 때에는 다른 동료와 비교할 수 있으나 예전 측정결과가 있다면 자신의 손상전 결과와 비교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때 평균이하의 기능 수준이 이루어지면 병원→병원 재활→스포츠 재활→스포츠 트레이닝 과정에 의해 회복을 위한 재활운동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2. 점진적 재활 방법
점진적 방법이라는 것은 운동 부하량(중량, 시간, 거리, 강도, 난이도 등)을 계단식으로 조금씩 증가시켜 나가는 방법으로 트레이닝 원리중 하나이다. 이 원리는 트레이닝뿐만 아니라 재활운동시 반드시 적용되어야 한다. 신체의 병적인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재활 치료법도 기본적으로 신체의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스포츠 트레이닝의 원리도 운동 부하에 대한 신체의 적응능력으로서 체력 향상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양자 모두에서 안전하고 유효하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점진적 부하와 운동 원리가 이용되어야 한다.
1) 운동의 질적 점진법
운동의 질이라는 것은 운동의 종류와 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재활운동 뿐만 아니라 스포츠 트레이닝에서도 운동의 질 선택은 중요하다. 이는 올바른 지도와 함께 성공률 높은 과학적 재활운동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 이를 운동 처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운동의 질을 처방할 때에는 운동요소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쉬운 동작에서 어려운 동작으로 전개 이는 단순에서 복합, 쉬운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운동을
계획하는 것으로 보행의 예를들면 다음과 같이 계획할 수 있다.
① 1단계:평지 보행
② 2단계:비탈길 보행(오르내림)
③ 3단계:계단 보행
④ 4단계:요철지 보행
⑤ 5단계:지그재그 보행
⑥ 6단계:전·후, 좌·우 방향으로의 보행
⑦ 7단계:강가나 모래밭 등의 자연상황에서 보행의 순서를 힘든 과정으로 점차 운동의 질을 높힌다.
운동의 양적 점진법 이것은 운동량과 관련된 요소로서 시간, 거리, 중량 등을 포함하며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증가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양적으로 운동량을 증가하는 관련요인을 소개
하면 다음과 같다.
① 운동시간(시, 분)
② 거리(m, km)
③ 속도(m/min)
④ 높이(cm)
⑤ 무게의 중량(kg)
⑥ 반복 횟수(rep.)
⑦ 운동 에너지량(kcal)
이중 ⑦번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는 재활운동시 운동효과 정도에 따라 점증적 증가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요소들이다.
점진적 재활 운동처방
운동손상이 발생되면 선수에게 적용하는 재활운동 과정중 기능회복을 위한 실제적 운동처방으로 서기→걷기→달리기→점프하기 동작으로 난이도를 점차 증가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체의 경우, 투구 거리, 속도, 횟수 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현장에서 사용하는 실제적 운동량 증가법이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9.04.24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7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