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아버지 양육의 개념
가. 아버지 양육 개념
나. 아버지 양육의 효용
2)본인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아버지 양육의 실례들
3.결론
4.참고자료
2.본론
1)아버지 양육의 개념
가. 아버지 양육 개념
나. 아버지 양육의 효용
2)본인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아버지 양육의 실례들
3.결론
4.참고자료
본문내용
찮기 때문에 말하는 변명에 불과하다. 설령 가르치기 어렵더라도 아이와 함께 머리를 맞대고 풀어가는 과정 자체가 더 중요한 것이다. 즉, 무엇인가 가르쳐 줄 의무감이나 부담감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만약 학습지도가 어려워 보인다면, 점진적으로 해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예를 들면 매주 하루(주말 중 1일)를 선택하고, 그날은 일정 시간(1시간 정도) 동안 아이와 함께 공부하는 날과 시간으로 정하는 식으로 가볍게 시작해본다. 그럼 아버지와 함께 하고 싶은 아이들은, 이날을 위해 나머지 시간 동안 아버지께 물어보고 싶은 것들을 나름대로 생각하고 정리도 할 것이다. 이런 방식이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시간이나 날 수를 조금씩 늘이며 아버지 양육을 늘려가는 것이다. 이런 과정이 결국 아이와 아버지의 자연스러운 소통이 되는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본론을 통해 아버지 양육의 개념과 함께 바람직한 아버지 양육의 실제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핵심적인 부분을 다시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아이가 지적, 감정적, 도덕적으로 균형이 잡힌 사회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양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깊이 인식하고, 아버지 양육을 통해 어머니의 양육을 보다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고 보완해주어야 한다. ”
다만, 바람직한 아버지 양육은 아버지 한 사람의 몫이 아니라는 사실을 간과해선 안 된다. 이는 아버지 양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경제, 사회적인 여건 내지 환경을 제도적, 법적으로 조성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관련 전문가들의 주장처럼, 근로자의 근무여건을 개선함으로써 아버지가 가족과 보낼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고, 시간제 근무, 재택근무 등 고용형태의 탄력성 강화 및 아버지의 육아휴직·부모휴가가 가능한 직장문화를 수립해야 한다. 그리고 여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기업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회적 인정과 보상이 주어지도록 동기를 제공해야 한다. 아울러 정부 차원에서도 아버지의 양육기술을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4. 참고자료
마이클 램 편저, 아버지 역할과 아동발달. 이화여자대학 출판부, 1996
ROSS D.PARKE, 아버지의 어린이양육, 곽덕영 옮김, 학문사, 1997
변수정,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명지대, 2004
부모교육론, 정갑순, 창지사, 2006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2
만약 학습지도가 어려워 보인다면, 점진적으로 해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예를 들면 매주 하루(주말 중 1일)를 선택하고, 그날은 일정 시간(1시간 정도) 동안 아이와 함께 공부하는 날과 시간으로 정하는 식으로 가볍게 시작해본다. 그럼 아버지와 함께 하고 싶은 아이들은, 이날을 위해 나머지 시간 동안 아버지께 물어보고 싶은 것들을 나름대로 생각하고 정리도 할 것이다. 이런 방식이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시간이나 날 수를 조금씩 늘이며 아버지 양육을 늘려가는 것이다. 이런 과정이 결국 아이와 아버지의 자연스러운 소통이 되는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본론을 통해 아버지 양육의 개념과 함께 바람직한 아버지 양육의 실제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핵심적인 부분을 다시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아이가 지적, 감정적, 도덕적으로 균형이 잡힌 사회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양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깊이 인식하고, 아버지 양육을 통해 어머니의 양육을 보다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고 보완해주어야 한다. ”
다만, 바람직한 아버지 양육은 아버지 한 사람의 몫이 아니라는 사실을 간과해선 안 된다. 이는 아버지 양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경제, 사회적인 여건 내지 환경을 제도적, 법적으로 조성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관련 전문가들의 주장처럼, 근로자의 근무여건을 개선함으로써 아버지가 가족과 보낼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고, 시간제 근무, 재택근무 등 고용형태의 탄력성 강화 및 아버지의 육아휴직·부모휴가가 가능한 직장문화를 수립해야 한다. 그리고 여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기업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회적 인정과 보상이 주어지도록 동기를 제공해야 한다. 아울러 정부 차원에서도 아버지의 양육기술을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4. 참고자료
마이클 램 편저, 아버지 역할과 아동발달. 이화여자대학 출판부, 1996
ROSS D.PARKE, 아버지의 어린이양육, 곽덕영 옮김, 학문사, 1997
변수정,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명지대, 2004
부모교육론, 정갑순, 창지사, 2006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