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 - 힉스입자에 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물리학 - 힉스입자에 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힉스란 무엇인가?
1) 힉스의 발견
2) 힉스의 의의

본론
2. 작은 입자들
1) 우리가 알고 있는 작은 입자
2) 표준모형과 소립자
3. LHC와 CERN
1)힉스의 발견과정
2)힉스에 관한 실험

결론
4. 힉스의 미래
1) 또 다른 입자

본문내용

따라 접지 상태의 양극판으로 이동하면서 이온사태를 유발한다. 이온사태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적 요동은 전극 밖에 놓인 신호에 미세한 영상전하를 형성한다.
ATLAS검출기 또한 힉스 입자가 붕괴 할 때 생성되는 뮤온 입자를 분광기형식으로 검출해 내는 방법이다. 뮤온 입자가 방출해 내는 빛의 진동을 기록하여 측정하는 방식이다.
결론
4. 힉스의 미래
LHC에서 발견한 물질이 힉스가 맞다고 하지만 아닐 수도 있는 것은 어디까지나 과학의 모순이다. 이번 실험으로 발견된 입자를 힉스와 비슷한 입장에서 새로운 입자를 발견했거나 스핀이 0인 스칼라 입자이긴 하지만 이론적인 힉스와 다른 특징을 가질 수도 있다고 많은 학자들은 말한다. 시대에 따라 LHC는 발전하면서 더 많은 데이터양을 축적하고 우연의 일치를 줄여나가면 새로운 입자를 힉스 입자라고 정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어쩌면 지금까지 물리학은 기지개를 편것에 불과 할 것이다. 힉스의 발견이 초대칭 이론에 부합 할 수 있다면 21세기의 위대한 발견이 될 것이다. 20세기에 아이슈타인에 의해 상대성이론이 발견되었고 상대성이론이 에너지와 질량과 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혀냈다면 초대칭 이론은 만물의 근본과 힉스 메커니즘, 게이지 대칭성에 대한 열쇠가 될 것이다.
1) 또 다른 입자
‘신의 입자’라 불리는 힉스가 빅뱅시기에 나왔지만 힉스를 포함한 모든 입자는 빅뱅 직 후 방출된 4%의 물질 밖에 되지 않는다. 우주의 나머지는 74%의 암흑 에너지와 22%의 암흑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암흑 물질은 빛과 상호작용을 하지 않으면서 질량을 가지는 물질이다. 암흑 물질이 분포하는 곳에는 빛이 굽거나 은하의 운동을 교란되기도 한다. 아이슈타인은 팽창하는 우주가 붕괴되지 않기 위해 우주의 진공 공간 속에 암흑 에너지가 분포하고 있어서 인력과 척력이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했고 그의 생각은 우리 은하 외 다른 은하가 있다는 게 밝혀지면서 그의 이론은 받아 들여 졌다.
이 암흑 물질은 입자가속기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하지만 확실한 암흑 물질이 아니라 암흑 물질의 후보 물질인 초대칭 입자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때 만들어진 물질이 암흑 물질인지 초대칭 입자인지는 확인 할 수가 없다. 그 이유는 다른 물질과 상호작용을 약하게 해서 입자 검출기에서 검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암흑 물질은 탄생과 동시에 입자 검출기를 통과하고 땅 속을 통과하여 우주로 날아 갈 수도 있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1.27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52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