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지도] 듣기에 관련된 언어활동의 실제를 제시하고 목표와 자료, 방법을 제시하시오 [듣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지도] 듣기에 관련된 언어활동의 실제를 제시하고 목표와 자료, 방법을 제시하시오 [듣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듣기의 중요성

2. 듣기에 관련된 언어활동의 실제

3. 듣기에 관련된 언어활동의 목표

4. 듣기에 관련된 언어활동의 자료

5. 듣기에 관련된 언어활동의 방법

6.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할 때는 반응을 보이면서 들어야 하고, 여러 사람이 의견을 나눌 때는 모든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의견의 일치를 끌어낼 줄도 알도록 지도한다. 교실 분위기를 따뜻하고 허용적인 분위기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또 교실 분위기는 대체로 한 번에 한 사람씩만 말하게 하는 것도 중요하며, 반드시 말하는 사람을 쳐다보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가능하다면 듣기에 불필요한 잡음들이 많이 들리지 않도록 해 주는 것이 좋다. 그러나 아동은 그러한 잡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듣고자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여 듣기의 좋은 습관을 지니도록 지도해야 한다.
6. 시사점
듣기 의미는 다양한 변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재승(1997)은 1950년대 이전에는 듣기의 핵심을 정보의 기억으로 보고 듣기를 인지적인 기능과 연결시키지 않은 독립적 기능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다 1960년대 중반부터 듣기를 인지적 사고 작용으로서 기술이 아닌 능력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Barker(1971)는 듣기를 주의해서 듣고, 이해하고, 기억한 청각적 기호를 선택하는 과정으로 보았고, Weaver(1972)는 청각적으로 받아들여진 자료에 대한 선택과 보유가 듣기라고 하였다. Lundsteen(1979)은 듣기 능력이란 음성화한 언어가 청자의 머릿속에서 언어가 의미로 전환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과정이란 듣기가 단순히 말소리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들려오는 말소리를 받아들이고, 그것들에 주의를 기울여 의미를 구성하고, 마침내 메시지를 이해하고 반응하는 과정적 활동이란 뜻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듣기에 관련된 언어활동의 실제를 제시하고 목표와 자료, 방법을 제시해 보았다. 듣기는 화자, 청자, 메시지, 상황 맥락의 네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일련의 언어활동이다. 이러한 요인을 가지기 때문에 듣기는 청각적 예민성, 학습의 경험과 배경지식, 듣는 환경, 청자의 태도, 말의 내용, 화자의 어조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훌륭한 청자가 되기 위해서는 화자가 의도하는 바를, 청자는 현재의 상황과 화자의 상황 모두를 고려하여 듣도록 해야 하고 듣기의 특징을 알고 효과적인 듣기가 되도록 한다.
참고문헌
박홍자 외(1996). 언어활동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김정희 (2002). 단계별 듣기 교육.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고은영 (2009). 유아 듣기 발달 및 듣기교육 연구 동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키워드

듣기,   언어,   언어활동,   방법,   목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2.07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57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