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북한의 행동 변화를 우선조건으로 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은 북한의 강경 기조 일색으로 인해 실질적인 ‘평화’구축을 위한 ‘논의’조차 이루어지지 못하여 유일하게 남북한 간에 장관급회담 한 번 하지 못한 정부라는 오명을 남겼다. 또한, 정책주체들의 정책의 성공을 너무 확신하여 정책실패 시 취할 대책을 미리 마련하지 않았기에 대북정책의 실패를 촉진하였다.
추천자료
북한과 한국 사회의 직업에 대한 보고서
(가정복지)재혼가족에 대한 이해와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북한 의식주][북한 장례][북한 제례][북한 대중교통][남북한 자연환경][남북한 생활문화][남...
[북핵문제][북한핵문제][대북정책][핵정책][핵위기][한반도위기]한반도핵문제(북핵문제)에 따...
[북한여성][북한여성의 지위][북한여성의 정체성]북한여성의 삶과 의식, 북한여성의 지위변화...
[남한과북한비교][남북비교][주거생활][식생활][경제생활][교통]남한과 북한의 주거생활비교,...
북한의 대외정책과 국제사회와의 관계
해방공간의 북한 - 정치세력의 변화와 사회경제부문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의 구성요소에 대한이해.ppt
[공업][공업입지][계면활성제공업]공업과 공업입지, 공업과 중화학공업, 공업과 계면활성제공...
[자폐][전반적 발달장애][자폐아동]자폐(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의 특성, 반향어, 자폐(...
사회행동과 관련 개념의 이해 : 사회행동과 관련 개념의 이해
[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삶과 질과 행복
청소년기 (청소년의 개념, 청소년의 일반 발달적 특징, 사회적 측면에서의 특징, 청소년의 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