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몽타주
2.쿨레쇼프 효과 (=레프 쿨레쇼프 효과)
3.에이젠슈타인
4.푸토프킨
5.전함 포템킨
6.에이젠슈타인의 몽타주 기법
7.전함 포템킨 오데사 계단 장면
2.쿨레쇼프 효과 (=레프 쿨레쇼프 효과)
3.에이젠슈타인
4.푸토프킨
5.전함 포템킨
6.에이젠슈타인의 몽타주 기법
7.전함 포템킨 오데사 계단 장면
본문내용
전함 포템킨의 가장 유명한 신이다. 그리고 이 오데사 계단에서 벌어진 민간인 학살 장면에서 몽타주 기법이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러시아의 10월 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다룬 영화이지만 오데사 계단 장면은 실재사건이 아니다. 에이젠슈타인은 강압적인 당대의 정치적 상황을 표현하기 위해 오데사 계단 장면을 연출했다고 했다. 계단 장면은 약 6분정도이다. 등장하는 배우의 대부분도 전문 연기자가 아닌 아마추어 이다. 세트가 아닌 실제 장소에서 촬영 된 장면이라 지역의 이름을 따 ‘프리모르스키 장면’이라고도 종종 불리운다.
오데사 계단 장면에서는 흰 제복을 입은 군인들이 열을 맞춰 계단을 내려간다. 그 군인들은 모두 총을 가지고 있었고 총구는 민간인, 군중을 향해 겨누어 졌다. 한편 계단의 아래편에는 말을 탄 기병대가 포진 된 상황이라 시민들은 빠져나갈 구멍이 없었다. 그러다 유모차를 잡고 있던 검은 두건을 쓴 여자가 죽게 되면서 잡고 있던 유모차는 계단의 아래쪽으로 굴러간다. 이때부터 굴러가는 아이가 탄 유모차와 군인들의 모습이 교차되어 보인다. 이것은 어트랙션 몽타주의 예이다. 이 장면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기법이었고 이후 많은 감독들이 오마주를 하기도 했다.
오데사 계단 장면에서는 흰 제복을 입은 군인들이 열을 맞춰 계단을 내려간다. 그 군인들은 모두 총을 가지고 있었고 총구는 민간인, 군중을 향해 겨누어 졌다. 한편 계단의 아래편에는 말을 탄 기병대가 포진 된 상황이라 시민들은 빠져나갈 구멍이 없었다. 그러다 유모차를 잡고 있던 검은 두건을 쓴 여자가 죽게 되면서 잡고 있던 유모차는 계단의 아래쪽으로 굴러간다. 이때부터 굴러가는 아이가 탄 유모차와 군인들의 모습이 교차되어 보인다. 이것은 어트랙션 몽타주의 예이다. 이 장면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기법이었고 이후 많은 감독들이 오마주를 하기도 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