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능적 음성장애(functional voice disorders)의 정의
2. 기능적 음성장애(functional voice disorders)의 원인
3. 기능적 음성장애(functional voice disorders)의 증후
4. 기능적 음성장애(functional voice disorders)의 분류
2. 기능적 음성장애(functional voice disorders)의 원인
3. 기능적 음성장애(functional voice disorders)의 증후
4. 기능적 음성장애(functional voice disorders)의 분류
본문내용
소리를 지르거나 성대 외상을 유발 시키는 음성 행동을 하는 그 당시에 심하게 나타나는데, 이 때 성대의 크기와 무게는 상당히 증가
- 과기능적 성대 행동이 장기간 계속 되면, 일시적이었던 부종이 영구적으로 폴리포이드 비대가 될 수 있으며 이 폴리포이드 비대는 가끔 성대 폴립이나 성대 결절로 발전 (4) 치료
- 비특정 후두염의 확실한 치료방법: 가능하다면 언제든지 성대를 자극하는 요소를 제거
- 절대적인 음성휴식
- 속삭이는 음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 ( 많은 성대 움직임을 요하며, 각 성대의 접 촉면이 부딪침으로 여전히 성대에 자극을 줄 수 있음.)
11) 가성대 발성장애
- dysphonia plicae ventricularis 또는 가성대발성(false fold phonation)
(1) 원인
- false cord phonation
- 진성대에 심한 질환(암, 심한 유두종, 큰 폴립)이 있을 때 대체로 사용
- 기능적인 오용
(2) 음성증후
- 이중음성 : 가성대가 진동하기 때문
- 낮은음도 : 가성대의 진동 조직이 무겁거나 진성대와 가성대 조직이 연결되어 진동 부 위가 무겁기 때문
- 목쉰소리 : 가성대는 전체적으로 적절하고 견고하게 접촉되지 않기 때문
(3) 치료
- 성대에 질환이 있을 경우에는 그에 대한 조치
- 원인에 대한 치료접근: 감기로 인한 경우 음성휴식 등
- 음성치료(흡기 발성, 기식적인 음성치료 등)
12) 발성일탈
(1) 원인
- 과도한 성대 사용 후 일시적으로 나타남 (일시적인 음성 상실)
- 음성 상실은 일반적으로 특정 상황 하에서 발생하며 대개 장시간 성대를 과도하게 사 용한 후 나타남
- 후두를 긴장하거나 부적절하게 조절
(2) 특징
- 발성 일탈 환자들은 음성 평가 시에는 거의 발성 일탈을 보이지 않음
(3) 치료
- 심하게 기침하는 행동이나 지나치게 목청을 가다듬는 부적절한 성대 행동을 제거
- 성대의 과기능을 줄이기 위한 테크닉을 이용한 치료접근
13) 음도일탈
(1) 원인
- 발달기적 음도 일탈 : 사춘기 소년에게 주로 나타남
- 성대 과기능, 부적절한 음도 사용으로 인한 음도 일탈
→ 전반적인 성대 피로로 인한 음도가 일탈 될 수 있음.
(2) 특징
- 후두가 성장 하는 여러 해 동안 소년은 일시적으로 목쉰 소리가 나며, 가끔 음도 일탈 이 나타남
- 부적절한 음도 수준으로 말할 때 한 옥타브 위로 또는 아래로 음성 일탈이 나타남.
- 부적절하게 낮은 주파수로 말할 때는 한 옥타브 높은 곳에서 음성이 일탈되는 경향이 있고 너무 높은 수준에서 말하면 한 옥타브 낮은 데서 음성이 일탈 될 수 있음.
(3) 치료
- 일시적인 음성휴식(2~3일정도)
- 성대 프라이, 하품-한숨법과 같은 부드럽게 발성하는 테크닉 이용한 치료
오늘의 학습을 정리하면?
1. 대부분의 음성장애는 성대의 과기능과 관련된다.
2. 지나친 음성사용은 실성증과 음성장애를 유발시킨다.
3. 성대 과기능으로 발생한 음성장애는 기능적 장애로 분류되고, 성대 비대, 결절 혹은 폴립으로 진행할 수 있다.
- 과기능적 성대 행동이 장기간 계속 되면, 일시적이었던 부종이 영구적으로 폴리포이드 비대가 될 수 있으며 이 폴리포이드 비대는 가끔 성대 폴립이나 성대 결절로 발전 (4) 치료
- 비특정 후두염의 확실한 치료방법: 가능하다면 언제든지 성대를 자극하는 요소를 제거
- 절대적인 음성휴식
- 속삭이는 음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 ( 많은 성대 움직임을 요하며, 각 성대의 접 촉면이 부딪침으로 여전히 성대에 자극을 줄 수 있음.)
11) 가성대 발성장애
- dysphonia plicae ventricularis 또는 가성대발성(false fold phonation)
(1) 원인
- false cord phonation
- 진성대에 심한 질환(암, 심한 유두종, 큰 폴립)이 있을 때 대체로 사용
- 기능적인 오용
(2) 음성증후
- 이중음성 : 가성대가 진동하기 때문
- 낮은음도 : 가성대의 진동 조직이 무겁거나 진성대와 가성대 조직이 연결되어 진동 부 위가 무겁기 때문
- 목쉰소리 : 가성대는 전체적으로 적절하고 견고하게 접촉되지 않기 때문
(3) 치료
- 성대에 질환이 있을 경우에는 그에 대한 조치
- 원인에 대한 치료접근: 감기로 인한 경우 음성휴식 등
- 음성치료(흡기 발성, 기식적인 음성치료 등)
12) 발성일탈
(1) 원인
- 과도한 성대 사용 후 일시적으로 나타남 (일시적인 음성 상실)
- 음성 상실은 일반적으로 특정 상황 하에서 발생하며 대개 장시간 성대를 과도하게 사 용한 후 나타남
- 후두를 긴장하거나 부적절하게 조절
(2) 특징
- 발성 일탈 환자들은 음성 평가 시에는 거의 발성 일탈을 보이지 않음
(3) 치료
- 심하게 기침하는 행동이나 지나치게 목청을 가다듬는 부적절한 성대 행동을 제거
- 성대의 과기능을 줄이기 위한 테크닉을 이용한 치료접근
13) 음도일탈
(1) 원인
- 발달기적 음도 일탈 : 사춘기 소년에게 주로 나타남
- 성대 과기능, 부적절한 음도 사용으로 인한 음도 일탈
→ 전반적인 성대 피로로 인한 음도가 일탈 될 수 있음.
(2) 특징
- 후두가 성장 하는 여러 해 동안 소년은 일시적으로 목쉰 소리가 나며, 가끔 음도 일탈 이 나타남
- 부적절한 음도 수준으로 말할 때 한 옥타브 위로 또는 아래로 음성 일탈이 나타남.
- 부적절하게 낮은 주파수로 말할 때는 한 옥타브 높은 곳에서 음성이 일탈되는 경향이 있고 너무 높은 수준에서 말하면 한 옥타브 낮은 데서 음성이 일탈 될 수 있음.
(3) 치료
- 일시적인 음성휴식(2~3일정도)
- 성대 프라이, 하품-한숨법과 같은 부드럽게 발성하는 테크닉 이용한 치료
오늘의 학습을 정리하면?
1. 대부분의 음성장애는 성대의 과기능과 관련된다.
2. 지나친 음성사용은 실성증과 음성장애를 유발시킨다.
3. 성대 과기능으로 발생한 음성장애는 기능적 장애로 분류되고, 성대 비대, 결절 혹은 폴립으로 진행할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학습장애][학습장애치료][학습장애아교육]학습장애의 정의, 학습장애의 원인과 학습장애의 ...
[시각장애][시각장애인][시각장애아][시각장애아동][시각장애학생][시각장애아교육]시각장애...
[언어장애][언어장애치료][언어장애인]언어장애의 정의, 언어장애의 원인과 언어장애의 분류 ...
[청각장애][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청각장애학생][청각장애인][청각장애아교육]청각장애(...
[장애][장애인][장애발생원인][장애유형][장애인 현황][장애인 생활실태][장애인복지][장애인...
[청각장애][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청각장애아교육][청각장애 특성][청각장애 종류][청각...
[장애][장애인][장애인재활][장애인복지][장애인문제][한국 장애인]장애(장애인)의 개념, 장...
[언어장애][언어장애 원인][언어장애 종류][언어장애 특성][장애][장애인][장애분류]장애의 ...
[정신장애][정신질환][정신분열][정신병][정신장애인][정신질환자]정신장애의 정의, 정신장애...
[장애인고용][장애인취업]장애인고용 관련 법률, 장애인권리의 보장, 장애인고용의 필요성, ...
[장애인직업재활][장애인직업재활정책][직업재활]장애인의 개념과 특성, 장애인직업재활의 기...
[장애인고용][장애인고용제도][장애인고용촉진법][장애인고용정책]장애인고용, 장애인고용제...
[장애인직업재활이념][직업재활][정신장애인직업재활서비스][청각장애인직업재활서비스]장애...
[장애인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필요성, 장애인통합교육의 조직, 장애인통합교육의 체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