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 종묘제례악의 가치와 구성 ; 종묘제례악의 절차와 특징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 종묘제례악의 가치와 구성 ; 종묘제례악의 절차와 특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종묘제례악이란?
2. 종묘제례악의 역사
 1) 조선 전기 종묘제례악
 2) 조선 후기 종묘제례악
 3) 현행 종묘제례악
3. 종묘제례악의 사상적 배경
4. 종묘제례악의 가치
 1) 문화재적 가치
 2) 예학적 가치
 3) 예술적 가치
5. 종묘제례악의 구성
 1) 음악
 2) 악장(樂章)
 3) 일무
6. 종묘제례의 의식 절차와 음악
 1) 영신
 2) 전폐
 3) 진찬
 4) 초헌
 5) 아헌
 6) 종헌
 7) 철변두
 8) 송신

참고자료

본문내용

성된다. 편종, 편경 등 타악기가 황종을 치고 태평소등 관악기는 장2도 아래인 무역(無射)을 부는 등 매우 독특한 음악이다.
악장은 5언4구로되어있고 매구의 끝 박에 박을 치며 일무도 정대업지무를 춘다.
소무(昭武)가 연주되는 동안 아헌관이 제1실의 준소에 가서 감작한다. 집사가 소무가 끝나고 둘째곡인 독경으로 들어갔음을 알리면 집례는 아헌관에게 제1실의 신위 앞으로 나가라 명한다. 아헌관이 제1실 태조고황제실에 들어가 술잔을 올리는 절차는 초헌례와 같다. 아헌이나 종헌에는 축문이 없기 때문에 독경부터 시작하여 탁정, 선위, 신정, 분웅, 순응, 총유, 정세, 혁정까지 계속 끊이지 않고 연주하며 아헌관이 마지막 제19실에서 의식을 마치고 나오면 집사는 등을 높이 들어 인출영관(引出永觀)을 연주하게 한다.
아헌관이 제자리로 돌아오면 집사는 영관이 끝나기를 기다려 음악을 그치게 한다.
독경부터 혁정까지 계속 연주하는데 의식이 짧으면 중간에도 그칠 수 있고 또 의식이 길어서 혁정까지 연주해도 모자랄 경우에는 다시 독경부터 반복연주하게 되는데 이 경우 분웅을 또 연주하게 되면 태평소는 쉰다. 음악이 어느 곡을 연주하고 있던지 간에 집사가 등을 높이 쳐들면 곧 영관을 연주한다.
6) 종헌
연주되는 음악과 춤은 아헌과 같다. 다만 종헌을 시작 할 때 진고 3통(三通)한 후에 박을 쳐서 음악을 시작 한다. 제례의식이 끝나고 종헌음악을 그칠 때에는 진고와 함께 대금 10차(大金十次)를 쳐서 악(樂), 가(歌), 무(舞)를 모두 끝내게 한다.
7) 철변두
집례가 등가에서 옹안지악(擁安之樂)을 연주하라 명하면`철변두 음악을 한번 연주하는데 이 음악은 진찬이다. 집사는 진찬악이 끝나기를 기다려 음악을 그치게 한다.
8) 송신
집례가 헌가에서 흥안지악(興安之樂)을 연주하라 명하면 송신 음악을 연주하는데 이 음악도 역시 진찬이다. 헌관이하 모두 4번 절한 다음 집사는 진찬악이 끝나기를 기다려 음악을 그치게 하면 모든 예(禮)가 끝난다.
그러나 현행 종묘대제는 시간 관계로 생략하거나 의식을 축소하여 행하는 경우가 많다. 종묘제례악의 절차와 주악위치, 악곡이름, 일무 등은 아래의 표와 같다.
종묘제례악 등가와 헌가의 주악절차
악명
절차
주악위치
악곡 이름
일무
편 성 악 기
보태평
영신
헌가
희문 9성(9회 반복)
문무
편종, 편경, 방향, 당피리, 대금, 해금, 장고, 진고, 축, 박
보태평
전폐
등가
전폐희문
문무
영신과 같고 해금대신 아쟁, 진고 대신 절고를 사용함
풍안지악
진찬
헌가
진찬곡
없음
영신과 같음
보태평
초헌
등가
희문, 기명, 귀인, 형
가, 집녕, 융화, 현미, 용광정명, 중광, 대유, 역성
문무
전폐와 같음
정대업
아헌
헌가
소무, 독경, 탁정, 선
위, 신정, 분웅, 순응, 총유, 정세, 혁정, 영관
무무
영신과 같으며 태평소와 대금(大金)이 더 편성됨
정대업
종헌
헌가
아헌과 같음
무무
아헌과 같음
옹안지악
철변두
등가
진찬곡
없음
전폐와 같음
흥안지악
송신
헌가
진찬곡
없음
영신과 같음
위에서 살펴 본바와 같이 종묘제례악은 세종31년에 회례악무로 창제 되었다. 창제 당시에는 정대업 15곡, 보태평 11곡이었는데 세조대에 개작되고 축소되었다. 이와 같이 세종 때 회례악으로 만든 정대업과 보태평이 약간의 개정을 거쳐 세조10년(1464)년 이후로 종묘제례악으로 사용 되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세조조 이후 선조조의 임진왜란 때 많이 약화된 음악이 광해군 때 다시복구 되었고 인조조의 병자호란(丙子胡亂)으로 인하여 10여 년 동안 종묘제례악이 끊겼었지만 장악원은 악공과 악생으로 하여금 봄과 가을에 한 달씩 차례로 연습시킴으로써 명맥을 유지하고 인조25년(1647)1월 종묘춘향(宗廟春享)에 다시 음악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병자호란의 피해가 계속 되었지만 장악원은 조선 초기의 전통을 지키려고 갖은 노력을 아끼지 않았고 그 결과 영조 때 이르러 병자호란 이전에 못지않은 규모로 종묘제례악이 복구 될 수 있었다.영조 41년(1765)에는 9성(成=曲)을 넘은 보태평에서 중광장을 그대로 두고 용광(龍光)과 정명(貞明)을 하나로 합치고 신제악장을 보태평이나 정대업에 추가 하지 않도록 결정함에 따라 보태평과 정대업은 인조(1623년-1649)이후 현재 까지 더 변천하지 않고 전승 될 수 있었으며 이것이 오늘날 전해지는 종묘제례악 22곡이다.
음계를 살펴보면 세종 때의 보태평은 임(林), 남(南), 황(黃), 태(太), 고(姑)의 5음계이고 정대업은 남(), 황(黃), 태(太), 고(姑), 임(林)의 5음계이다. 세조 때의 보태평은 황(黃), 태(太) ,중(仲), 임(林), 남(南)의 5음계이고 정대업의 음계는 황(黃), 협(夾), 중(仲), 임(林), 무(無)이며 철변두, 송신, 진찬의 음악은 황(黃), 태(太), 고(姑), 중(仲), 임(林), 남(南), 무(無)의 7음계로 되어있으며 모두 현행까지 이어져왔다.
이처럼 세조대에 개작되어 제향음악으로 채택된 보태평과 정대업은 이후 500년이 넘는 역사를 거치며 오늘에 이르고 있는 음악이며 병자호란 등의 전란이 있으면 수 년여 동안 연주를 못하기도 하고 일무나 악장 가사, 또는 악기편성 등의 변화가 있었으며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그 명맥을 이어오다가 광복이후 중단되었다.
그 이후 1964년 무형문화재 1호로 지정되면서 제향에만 사용되던 음악이 연주회장으로 그 연주 영역을 넓히게 되었으며 2001년 5월18일에 유네스코“세계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정됨으로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자료
김재영, '속악원보'의 격도법연구, 한국음악사학보 제23집, 한국음악사학회, 1999.
대한건축학회 편, 한국건축사 , 기문당, 2000.
성경린, 국악의 뒤안길, 관재 선생님구순기념, 은하출판사, 2000.
오용록, 음반 '조선아악정수' 중 종묘제례악의 분석적 연구, 한국음악연구 제36집, 한국국악사학회. 2004.
이정희,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종묘제례악 고찰, 국악교육연구, 2013.
전인평, 새로운 한국음악사, 현대악보 출판사, 2000.
지두환, 세계문화유산 종묘이야기 , 집문당, 2005.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5.02.22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70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