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묘대제는 시간 관계로 생략하거나 의식을 축소하여 행하는 경우가 많다. 종묘제례악의 절차와 주악위치, 악곡이름, 일무 등은 아래의 표와 같다.
종묘제례악 등가와 헌가의 주악절차
악명
절차
주악위치
악곡 이름
일무
편 성 악 기
보태평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묘제례 절차 중 진찬, 철변두, 송신에는 보태평과 정대업이 아닌 진찬악이 연주되는데 이는 아악이어서 7음계로 되어 있고 음악적 특징이 정대업·보태평과 다르다. 진찬악은 세조 9년 보태평과 정대업이 제례악으로 채택된 이후 만들어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종묘제례악이란
2. 종묘제례악 역사
3. 음악 『보태평· 정대업』
4. 악기 『등가와 헌가』
5. 음악적 특징
6. 춤 『일무』
7. 노래『악장』 및 장단
8. 의식의 절차와 사용음악
*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례악(文廟祭禮樂)
1. 역사
1) 문묘제례
2) 팔음
2. 음악적 특징
3. 등가와 헌가
1) 음려
2) 양률
4. 문무와 무무
5. 의식의 절차와 음악
Ⅲ.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1. 역사
2) 영녕전
3) 용광정명
2. 정대업과 보태평
3. 등가와 헌가
4.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묘제례 절차 중 진찬례와 종헌례 이후의 철변두, 송신례 절차에서는 보태평, 정대업이 아닌 진찬악을 연주한다. 진찬악은 세조 9년 보태평과 정대업이 제례악으로 채택된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세조가 새로 짓고 최항이 가사를 썼으며, &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