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묘대제는 시간 관계로 생략하거나 의식을 축소하여 행하는 경우가 많다. 종묘제례악의 절차와 주악위치, 악곡이름, 일무 등은 아래의 표와 같다.
종묘제례악 등가와 헌가의 주악절차
악명
절차
주악위치
악곡 이름
일무
편 성 악 기
보태평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의 절차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절차
악공명
악명
주악위치
일무
의식 절차의 내용
영신
영신희문
보태평
헌가
문무
신을 불러 들이는 것
전폐
전폐희문
보태평
등가
문무
폐백(幣帛)을 드리는 것
진찬
진찬
풍안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례악과 종묘제례악의 비교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음악
아악
향악(중국적요소는 보임)
음계
7음 음계
5음 음계
종결방식
주음 → 주음으로 끝난다
순차적 하강 종지형
음역
12율 4청성
자유롭다
악기
아악기
향악기 (+당악기 +아악기)
리듬
1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0.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례음악으로 각각 중요 무형문화재 제56호와 제1호로 지정되어 보존전승되고 있다.
종묘제례는 충효(忠孝)사상을 근간으로한 유교적 절차에 따라 행해지는 왕실 제례의식으로 엄숙함과 웅장함이 돋보이고, 종묘제례악은 조선시대의 기악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묘제례는 원구제와 사직제가 갖는 상징성과 함께 곧 국가의 기본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사직 종묘가 곧 국가라는 인식이다.
청대 진혜전이 정리한 『오례통고』에 보면 ‘의식에 관해서는 어떠한 것도 제사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제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