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광물(mineral)
(1) 광물의 정의
(2) 광물의 분류
(3) 조암 광물
(4) 광물의 성질
2. 암석
(1) 화성암
(2) 퇴적암
(3) 변성암
(1) 광물의 정의
(2) 광물의 분류
(3) 조암 광물
(4) 광물의 성질
2. 암석
(1) 화성암
(2) 퇴적암
(3) 변성암
본문내용
의 : 퇴적물이 고화 작용을 받아서 된 암석
② 종류
㉠ 쇄설성 퇴적암 : 역암, 사암, 셰일, 응회암 등
㉡ 화학적 퇴적암 : 석회암, 석고, 암염, 처트 등
㉢ 유기적 퇴적암 : 석회암, 처트, 규조토 등
③ 퇴적 구조 : 퇴적 환경을 알려 주며, 지층의 상하 판단에 이용
㉠ 층리 : 퇴적할 때 입자의 크기, 색, 모양 등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는 무늬
㉡ 점이 층리 : 깊은 물밑 환경, 저탁류에 의해 형성, 위로 갈수록 세립 → 저탁암
㉢ 사층리 : 유수와 바람의 방향을 나타냄
㉣ 연흔 : 물결 모양, 얕은 물밑 환경
㉤ 건열 : 건조한 기후, 성층면의 융기
[퇴적암의 종류]
(3) 변성암
① 정의 : 고체 상태를 유지하면서 압력이나 열에 의해 조직이나 성분이 변한 암석
② 변성 작용의 종류
㉠ 접촉 변성 작용 : 마그마 관입시 열에 의한 변성, 좁은 지역에서 나타난다. → 혼펠스, 입상 변정질 조직
<예> 셰일 -> 혼펠스, 석회암 -> 대리암
㉡ 광역 변성 작용 : 요인은 열과 압력이고, 넓은 지역에서 나타난다. → 엽리, 편리, 편마 구조
<예> 셰일 → 슬레이트 → 천매암 → 편암 → 편마암,
화강암 → 화강 편암 → 화강 편마암
② 종류
㉠ 쇄설성 퇴적암 : 역암, 사암, 셰일, 응회암 등
㉡ 화학적 퇴적암 : 석회암, 석고, 암염, 처트 등
㉢ 유기적 퇴적암 : 석회암, 처트, 규조토 등
③ 퇴적 구조 : 퇴적 환경을 알려 주며, 지층의 상하 판단에 이용
㉠ 층리 : 퇴적할 때 입자의 크기, 색, 모양 등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는 무늬
㉡ 점이 층리 : 깊은 물밑 환경, 저탁류에 의해 형성, 위로 갈수록 세립 → 저탁암
㉢ 사층리 : 유수와 바람의 방향을 나타냄
㉣ 연흔 : 물결 모양, 얕은 물밑 환경
㉤ 건열 : 건조한 기후, 성층면의 융기
[퇴적암의 종류]
(3) 변성암
① 정의 : 고체 상태를 유지하면서 압력이나 열에 의해 조직이나 성분이 변한 암석
② 변성 작용의 종류
㉠ 접촉 변성 작용 : 마그마 관입시 열에 의한 변성, 좁은 지역에서 나타난다. → 혼펠스, 입상 변정질 조직
<예> 셰일 -> 혼펠스, 석회암 -> 대리암
㉡ 광역 변성 작용 : 요인은 열과 압력이고, 넓은 지역에서 나타난다. → 엽리, 편리, 편마 구조
<예> 셰일 → 슬레이트 → 천매암 → 편암 → 편마암,
화강암 → 화강 편암 → 화강 편마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