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과학지도] 실내, 실외에서 할 수 있는 부모자녀간에 할 수 있는 과학활동 2가지이상 서술하고 이유도 제시하시오 [과학활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과학지도] 실내, 실외에서 할 수 있는 부모자녀간에 할 수 있는 과학활동 2가지이상 서술하고 이유도 제시하시오 [과학활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의 과학활동이란

2. 실내, 실외에서 할 수 있는 부모자녀간에 할 수 있는 과학활동
1) 염색놀이
2) 바람놀이
3) 미로놀이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발견적 탐색놀이
구슬의 움직임을 살펴본다.
- 구슬이 어느 방향으로 굴러가고 있니?
여러 가지 재질과 크기의 구슬 움직임을 비교해 본다.
- 어떤 크기의 구슬이 더 잘 구르니?
여러 개의 나무 타일 위에 구슬을 놓고 굴러 본다.
- 이 타일 위에 구슬을 올려놓으면 어떻게 될까?
원하는 방향으로 구슬을 굴리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생각해본다.
- 어느 쪽으로 구슬을 굴리고 싶니?
나무 판 위에 나무타일을 놓고 타일 위로 구슬을 굴려보며 비교한다. 구슬이 움직이는 방향등을 예측하고, 결과를 비교, 실험해 본다.
- 어떤 구슬이 타일 위를 잘 구르니?
- 어떻게 해야 구슬이 잘 구를까?
유아가 원하는 대로 길을 만들어 그 위로 구슬을 굴려보고, 다른 색 구슬도 굴려본다. 미로 모양을 다르게 구성하여 구슬을 굴려본 후 비교한다.
■ 적용단계 : 확장적 통합놀이
커다란 쟁반 바닥에 흰 도화지를 붙인다.
구슬에 무칠 물감을 준비한다. 커다란 쟁반에 물감을 무친 구슬을 넣고 쟁반을 움직여 구슬 그림을 그린다.
- 쟁반에 구슬을 올려놓고 구슬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려진 그림을 떼어 그림의 제목을 정한다.
- 구슬그림 제목은 어떤 것이 좋을까?
구슬그림을 교실에 전시한다.
- 그림을 어디에 놓으면 좋겠니?
3. 시사점
최근 현대사회는 급변하는 지식기반 사회라고 특징지을 수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특징으로 인해 유아들에게 과학에 대한 이해와 창의력 관련 능력이 중요시 되고, 이에 대한 교육 역시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현대사회는 과학, 기술, 사회가 밀접하게 연결된 세계로 체계적인 과학교육을 통하여 형성된 과학적 소양을 갖춘 인간상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는 과학적 소양을 갖춘 인간을 교육하기 위하여 일상적 생활 경험 속에서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탐구하는 즐거움을 발견할 수 있는 생활 중심의 과학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유아교육에서도 유아과학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들이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도록 기초과학교육 내실화를 기여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유아과학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것은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문제해결력의 향상일 것이다. 즉, 유아교육현장에서 과학교육은 과학지식 위주로 편성되어 있는 내용을 지양하고, 될 수 있는 한 유아들이 감각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과학적 지식과 태도를 형성하고, 탐색과 문제 해결의 과정을 통해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신장시켜 급변하는 지식기반 사회에 주도적인 인간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어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실내, 실외에서 할 수 있는 부모자녀간에 할 수 있는 과학활동 2가지 이상 서술하고 이유도 제시해 보았다. 현대적 관점에서의 유아과학교육에서는 유아의 본성을 과학자의 특성과 비슷하다고 보는데, 그 이유는 유아는 태어나면서부터 주변 세계와 사물에 대해 끝없는 호기심을 갖고 탐구하려는 본능적인 탐구자로 보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유아의 본성은 주변세계에 대한 탐색과 문제 상황에 직면하게 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스로 세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관찰·분류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에 대하여 교사나 또래 유아들과 의사소통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은 유아의 타고난 호기심을 활발하게 유지하도록 돕고, 호기심을 격려해 주고 유아 자신이 살고있는 세계에 대해 즐겁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경민(2004). 유아과학교육. 정민사.
홍혜경(2003). 과학적 문제해결 활동. 유아교육.
황의명 외(2001). 탐구능력증진을 위한 유아 과학 교육. 정민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2.24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7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