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피크닉 (ピクニック / Picnic) 1996』 읽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피크닉 (ピクニック / Picnic) 1996』 읽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놉시스

2. 스토리 구성에서의 상징적 의미 (Symbolic Meaning) 읽기

3. 영화 속에 그려지는 신화(Theology) 읽기

4. 일본 대중문화로서 영화 ⌜피크닉⌟의 특징

본문내용

세계이다. 담 위의
세계는 자유가 존재하고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는 중립적인 공간이라고 볼 수 있다. 단절과 단절을 이어주기도 하고, 새로운 세계로 나가는 길이 되어주기도 한다.
담이 단순히 경계의 의미가 아니라 새로운 공간의 개념으로 존재하는가?
사토루가 죽기 직전까지 검은색의 옷과 검은색의 우산의 코코, 검은 깃발과
하얀 옷의 츠무지, 하얀 옷과 하얀 깃발의 사토루의 의상을 살펴보면 그들이
3가지의 검은 색과 3가지의 하얀색의 요소가 어느 한쪽의 치우침이 없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모습이 드러난다.
: 흑, 백 어느 한 쪽만 존재하면 결국 세상에 존재 할 수 없다 라고 하는 이분법적
이데올로기를 지양하는 것이 읽혀지는가?
억압주의와 자유주의의 대립이 읽혀지는가?
코코는 경계인 정신병원 밖의 담벼락을 앞에 두고 머뭇거리는 츠무지와 사토루에게
(“담 밑으로 내려가지만 않으면 돼. 담 위는 괜찮아”)
라고 말하며 조금의 지체도 없이 경계를 넘어선다.
: 안정과 포괄성을 상징하는 정신병원의 담 벽이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당의정이
‘보호’이겠지만 코코는 그 이면에 감춰진 은밀한 ‘제약’을 거부한다. 병원이 제도의
억압을 상징하는 것이라면 담 밖의 세상은 자유를 상징하는 것이 읽혀지는가?
종교적 색채를 읽을 수 있는가?
츠무지와 코코가 성당 앞 담 위에 서 있을 때, 신부의 대사 (“그렇다면 천사가
내려왔나?”) 츠무지와 코코가 떠난 후 신부의 대사 (“검은 날개의 천사인가?”)
: 천사라는 구원의 존재를 통해 기독교에서 말하는 구원의 의미가 느껴지는가?
이 부분에서는 두 가지를 느낄 수가 있는데 종교적인 것과 그 종교적 요소를 통해
우리가 항상 천사는 흰 색이라고 생각하는 이분법적 이데올로기를 깨트리려 한다.
츠무지와 코코는 성당 앞 담 위에서 신부에게 성경책을 받고 츠무지는 성경을
읽으며 구원을 얻으려 한다. 성경을 읽은 후 츠무지의 대사 (“난 벌써 구원 받았어.
믿는 자는 구원 받는다.”)
: 내면의 불안을 종교적 요소에 기대어 심리적 안정을 얻고자 함이 느껴지는가?
츠무지와 코코는 지구의 멸망을 보기 위해 바닷가로 향한다. 이때 이들은 도시락을
꺼내어 먹고, 코코는 자살한다. 코코의 마지막 대사 (“역시 내가 죽지 않으면 안될 것
같아. 네가 진 죄, 내가 전부 씻어줄게”)
: 츠무지와 코코의 모습을 통해서 예수의 모습이 그려지는가?
츠무지와 코코는 바닷가에서 마지막 만찬을 가지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음으로써
사람들의 죄를 사하였던 것처럼 코코는 자신이 죽음으로써 츠무지의 죄를 사한다.
4. 일본 대중문화로서 영화 피크닉의 특징
이분법적 이데올로기를 지양(止揚)하려는 의도
어둠과 밝음, 순수와 非순수, 삶과 죽음이라는 구분 자체가 무용
'병원'이라는 감옥의 담을 넘은 세 인물이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절대 자유를 찾아
여행을 떠나는 것처럼 정상성과 非정상성, 제도와 非제도, 담장 안과 바깥을 희롱하는
소요객들의 여정은 감독이 꿈꾸는 관습과 질서에 의해 포획되지 않은 자유분방한
해방구를 만든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2.25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75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