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본론
♣ 고전적 공포영화 분석
1. 고전적 공포영화
2. 공포영화에서 공포를 주는 요인의 분석
3. 고전적 공포영화의 한계
♣ 여고괴담 분석
1. <여고괴담> 분석
2. <여고괴담>에서 공포를 주는 요인
3. 고전적 공포 영화와의 차이점
♣ 식스 센스 분석
1. 단절과 소통
2. 기존 공포영화와 <식스 센스>의 차이점
3. 내 주위에 존재하는, 누구나 느낄 수 있는 소외
- 결론
- 본론
♣ 고전적 공포영화 분석
1. 고전적 공포영화
2. 공포영화에서 공포를 주는 요인의 분석
3. 고전적 공포영화의 한계
♣ 여고괴담 분석
1. <여고괴담> 분석
2. <여고괴담>에서 공포를 주는 요인
3. 고전적 공포 영화와의 차이점
♣ 식스 센스 분석
1. 단절과 소통
2. 기존 공포영화와 <식스 센스>의 차이점
3. 내 주위에 존재하는, 누구나 느낄 수 있는 소외
- 결론
본문내용
이 공존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 구체적 사상은 바뀌기도 하지만 이러한 상태는 변함이 없다고 본다. 또한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늘 자신에게 불안감을 주는 요소들을 본능적으로 알고 싶어하고 때로는 영화를 통해 그것들을 부정해버리고 싶어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사람들이 계속해서 공포영화를 찾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고전적 공포영화는 이러한 배경으로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그것을 비판하는 시각으로 서술하지는 못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는 점을 찾게 되었다. 반면 <여고괴담>에서는 학교의 부정적 현실을 전형적으로 나타내는 인물을 설정하고 그들로부터 소외당했던 존재가 그들을 죽임으로 부정적 현실에 대한 고발, 비판의식까지 나타내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여고괴담>에서는 소외당하던 존재와 소외시키는 존재의 구별이 확연했다. 그것이 <식스 센스>와 어떤 점에서 비교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식스 센스>에서는 소외를 시키는 존재와 소외를 받는 존재가 결국 같을 수 있다는 결론을 보임으로 보다 범위가 넓은 소외의 개념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는 이번 텍스트를 분석하면서 텍스트의 선택부터 해석까지 기존의 이론을 먼저 결정하여 그것에 작품 해석을 맞추는 방식을 택하지 않았다. 단지 공포영화 그 자체만을 가지고 토론과 함께 분석을 하였고 그를 통한 사회학적 의미 발견에 주력하였다. 그 결과 공포를 주는 요인의 존재가 결국 사회적으로 소외당하던 존재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또한 공포영화의 발전 단계와 더불어 사회학적 개념 중에 하나인 '소외'를 보다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었다.
사회과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외 개념은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힘없음, 의미 없음, 규범 없음, 문화적으로 낯설음, 사회적 고립, 자기로부터의 분리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분리의 원인은 개인 내부에 있거나, 일, 정치, 사회 규범, 또는 사회전체에 존재한다.
) 김종덕, '방송과 소외의 문제'
http://www.kyungnam.ac.kr/ebrm/jdk/article/alienation.htm
이렇듯 소외는 사회의 지배이데올로기를 수용한 큰 집단에 의해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개인과 개인의 커뮤니케이션의 단절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그리고 현대 사회 내에서 그것은 존재 자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되어 사람들에게 불안감을 유발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불안감은 공포영화라는 영상매체를 통해 직접적으로 다가온다는 현상을 여러 차례에 걸친 토론과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참고문헌
남인영,「목 없는 살인마가 들려주는 공포괴담」, 《씨네21》 146호, 한겨레신문사, 1998
수유연구실, 「철학극장, 욕망하는 영화기계」, 소명출판, 2002
아더 아서버거, 「대중매체비평의 기초」, 이론과 실천, 1990
여성문화예술기획 http://www.femiart.co.kr
한국영화비평웹진 '뿔' http://www.kofilm.com/
문화연대 홈페이지 http://www.cncr.or.kr/
수고하셨습니다 *^-^*
이처럼 고전적 공포영화는 이러한 배경으로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그것을 비판하는 시각으로 서술하지는 못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는 점을 찾게 되었다. 반면 <여고괴담>에서는 학교의 부정적 현실을 전형적으로 나타내는 인물을 설정하고 그들로부터 소외당했던 존재가 그들을 죽임으로 부정적 현실에 대한 고발, 비판의식까지 나타내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여고괴담>에서는 소외당하던 존재와 소외시키는 존재의 구별이 확연했다. 그것이 <식스 센스>와 어떤 점에서 비교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식스 센스>에서는 소외를 시키는 존재와 소외를 받는 존재가 결국 같을 수 있다는 결론을 보임으로 보다 범위가 넓은 소외의 개념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는 이번 텍스트를 분석하면서 텍스트의 선택부터 해석까지 기존의 이론을 먼저 결정하여 그것에 작품 해석을 맞추는 방식을 택하지 않았다. 단지 공포영화 그 자체만을 가지고 토론과 함께 분석을 하였고 그를 통한 사회학적 의미 발견에 주력하였다. 그 결과 공포를 주는 요인의 존재가 결국 사회적으로 소외당하던 존재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또한 공포영화의 발전 단계와 더불어 사회학적 개념 중에 하나인 '소외'를 보다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었다.
사회과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외 개념은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힘없음, 의미 없음, 규범 없음, 문화적으로 낯설음, 사회적 고립, 자기로부터의 분리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분리의 원인은 개인 내부에 있거나, 일, 정치, 사회 규범, 또는 사회전체에 존재한다.
) 김종덕, '방송과 소외의 문제'
http://www.kyungnam.ac.kr/ebrm/jdk/article/alienation.htm
이렇듯 소외는 사회의 지배이데올로기를 수용한 큰 집단에 의해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개인과 개인의 커뮤니케이션의 단절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그리고 현대 사회 내에서 그것은 존재 자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되어 사람들에게 불안감을 유발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불안감은 공포영화라는 영상매체를 통해 직접적으로 다가온다는 현상을 여러 차례에 걸친 토론과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참고문헌
남인영,「목 없는 살인마가 들려주는 공포괴담」, 《씨네21》 146호, 한겨레신문사, 1998
수유연구실, 「철학극장, 욕망하는 영화기계」, 소명출판, 2002
아더 아서버거, 「대중매체비평의 기초」, 이론과 실천, 1990
여성문화예술기획 http://www.femiart.co.kr
한국영화비평웹진 '뿔' http://www.kofilm.com/
문화연대 홈페이지 http://www.cncr.or.kr/
수고하셨습니다 *^-^*
추천자료
신학적 교회론을 읽고
재활대상자의 심리&#8228;사회적 특성과 대처
스포츠 대체의학 - 운동과 건강
경영의 교양을 읽는다 (현대편) 독후감
집단따돌림 현상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정책)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A+
사회기술훈련의 등장배경과 개념 및 특성, 이론적 접근방법, 사회기술훈련과정
[낭만주의][낭만주의 배경][낭만주의 시대적조건][낭만주의와 과학기술][낭만주의와 루소]낭...
노인 의료 보장 정책
[사회복지] 정신분석모델 적용 사례분석
노원평생학습관 기관방문 (기관소개, 조직도, SWOT분석, 평생교육경영학)
[문학의이해공통형] 중국인거리(유년의뜰) 다음 소설 작품 중 한 편을 골라, 교재 123~131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