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Platon)의 국가론(Politeia)』 정리 및 해석 (제1권~제10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라톤(Platon)의 국가론(Politeia)』 정리 및 해석 (제1권~제10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권 정의의 이익
제 2권 국가의 탄생
제 3권 수호자들을 위한 교육
제 4권 정의로운 삶
제 5권 공산사회와 남녀평등
제 6권 철학자와 통치자
제 7권 선의 이데아와 이상국가
제 8권 잘못된 국가 체제
제 9권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왕국
제 10권 시인 추방론과 영혼 불멸설

본문내용

된다. 부자들은 늘 불만에 싸여 자위책을 세우기에 골몰하지만, 그럴 때마다 지배자와 결탁한 민중이 무서워 눈치를 보곤 한다. 착취에 시달리던 부자들은 과거의 과두체제를 그리워하며 변혁을 모색하고 이를 핑계로 소위 민중의 지도자라고 하는 자들과 결탁하게 되어 참주가 탄생한다.
3) 민중계급 : 재산도 별로 없어 손수 밥벌이를 하는 사람들, 이들은 돈과 권력도 없지만 힘을 합치면 무서운 세력이 된다.
4. 참주 체제: 잘못된 국가 체제
참주의 등장은 화려하다. 그는 민중의 지지를 업고 등극한 군주처럼 행세하면서 누구에게나 환심을 사려고 노력한다. 친절하고 인자한 미소를 띠며 자신이 폭군이 아니라는 것을 각인시키려고 애쓴다. 참주는 민중들이 눈치 못 채게 조금씩 적대세력을 제거하면서 자신의 세력을 강화하고, 급기야 민중을 탄압하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권력이 확고해질수록 감시가 심해지고 군대를 야성하고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고 민중을 협박하고 재물을 갈취하게 된다.
제 9 권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왕국
- 가장 불행한 인간 : 참주
폭군으로서 큰 불행에 빠지게 된다. 자기 자신도 지배할 수 없는 자가 많은 사람을 지배하게 되면서 생긴 비극. 충족할 수 없는 욕망 때문에 그는 늘 가난하고 고통의 연속을 경험하게 된다.
- 가장 행복한 인간 : 지혜를 사랑하는 자
우리의 영혼이 갖고 있는 세 가지 부분에 대한 증명
(지식을 얻는 것, 분노를 느끼는 것, 욕구를 느끼는 것)
1) 지식을 얻는 것: 인간의 이성적인 부분과 관련. 배움을 좋아하고 지혜를 사랑하는 성향. - 지혜를 사랑하는 자
2) 분노를 느끼는 것: 기백 열정 같은 기질과 관련. 지배욕이나 명예욕이 해당, 그래서 투쟁적이고 야심 많은 성향을 띤다. -명예를 사랑하는 자
3) 욕구를 느끼는 것은 일반적인 욕망에 해당하는 것으로, 금전욕이나 애욕처럼 실리나 쾌락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돈을 사랑하는 자
- 순수하면서 진실한 것 : 지혜를 사랑하는 자의 쾌락
지혜를 사랑하는 자의 쾌락 외에는 어떠한 쾌락도 순수하지 못하며 진실하지 못하다. 쾌락과 고통 사이는 일종의 휴식 상태와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순수한 쾌락은 고통과 상관없이 일어난다.
- 이상국가 :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의 왕국
현명한 인간이라면 자신의 고귀한 목적을 위해 평생을 바칠 것이다. 학문을 귀히 여겨 심신을 바로 닦고 야만성을 길들여 사악한 즐거움에 빠지지 않도록 절제한다. 재물을 취할 때도 분에 넘치지 않도록 주의하고 세상의 그릇된 찬사에도 휩쓸리지 않을 것이다. 그는 늘 자신의 세계를 관조하며 살 것이다. 무질서나 태만이 침입하지 않도록 경계하며 혼란을 방비한다.
제 10 권 시인 추방론과 영혼 불멸설
- 시인 추방론
시를 짓는 데 있어 모방은 치명적이어서 청중에게 독이 된다. 이 독은 진리라는 약에 의해서만 해독될 수 있다. 모든 것엔 세 가지 기술, 즉 사용하는 기술과 만드는 기술 그리고 모방하는 기술이 있다.
모방자는 그 모방 대상에 대해 그것이 아름다운지 그렇지 않은지. 선악에 대해 진정한 지식을 갖고 있지 못하다. 모방은 장난이고 유희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시인은 최고의 모방자이다.
모방을 일삼는 인간의 시선은 같은 것을 다르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수학적 원리는 그러한 실수를 하지 않는다. 지혜의 영역은 자신하여 이성을 맞아들이지만. 그렇지 못한 정신의 영역은 감정에 휘둘린다.
- 영혼 불멸설
영혼이든 다른 무엇이든 그것 자체에 악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면 그로 인한 소멸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내재돼 있는 영혼의 악이 영혼을 죽일 수 없다면, 그 영혼은 한결같이 있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 죽지 않아야 한다.
  • 가격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3.10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89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