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도예사 - 한국 도자기의 역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도예사 - 한국 도자기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된다.
16C에는 백자의 발달이 더욱 촉진되며 양질의 백자와 청화백자가 만들어지는 가운데 임진왜란이 일어나 많은 도공들이 일본으로 끌려가게 된다.
17C 초에는 임진왜란의 피해를 복구도 하기 전에 병자호란이 발발하여 정치.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였다.
특히 재료를 수입해서 만드는 청화백자는 그 재료를 구하기가 어려워 현재 남아있는 예가 거의 없다.
이때의 백자는 시대의 어려운 상황을 반영하듯 어두운 회색 회백자의 백자로 거칠게 구워졌다.
17C후반에는 사회가 안정되어가며 백자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사용되었으며 철화백자가 제작되었다. 철화백자는 달 덩어리 같은 둥근 항아리에 굵은 필치로 자유롭게 그려진 구름과 용이 주로 등장하는 백자이다.
18C 는 문화의 전성기로 백자에 있어서 고전적인 유백색(乳白色), 설백색(雪白色)의 백자와 간결한 청화백자가 제작되었다.
조선시대의 백자는 검소하고 질박한 우리의 조상의 평범한 모습이며 그러한 평범 이야말로 사람의 마음에 공감을 가지게 함을 느낄 수 있다.
조선의 백자는 조선 사대부의 생각이 스민 청초하고 간결하면서도 기품 있는 당시 중국, 일본과 뚜렷이 대비되는 독특한 품격을 나타낸다. 그러면서 다양한 형태의 가장 조선사회의 특징적 모습을 갖고 여러가지 상징적 의미를 갖는 문양 용, 모란, 당초, 소나무, 매화, 학등을 여백을 살리며 간결하게 표현되는 양식은 그것을 바라보면 마치 자연과 마주한 듯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것이 조선백자의 특징이다.
한국 도자기의 퇴보
후에 일제 강점기하에서 한국의 도자기는 퇴보하였고, 기형은 지극히 평범하여 자연히 기교가 없어졌으며, 시유방법까지 간편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그야말로 막사발의 분위기가 역력한 그릇이 되었다. 그러나 평범하기 그지없는 막사발들은 조선시대와 현대의 도자기를 이어 주는 가교역할을 하였다.
8·15광복과 6·25전쟁을 겪는 동안 크게 발달하지 못한 한국의 도자기 공업은 60년대를 시발점으로 급속히 진전되어 현대적 공장이 속속 건설되고, 국내 수요는 물론 수출산업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현재에는 전통적인 도자기 기법이 다시 복원되어 현대화된 도자기로 재탄생되었으며 국책산업으로 지정 육성되고 있다.
우리 도자기의 우수성
고려청자 조선 분청사기와 백자를 만든 도자공예 기술은 가히 세계적이라고 할 만큼 빼어났다.
왕실과 같은 특정계층의 특수한 목적을 위해 제작된 도자기뿐만 아니라, 일반 서민들이 일상적인 생활용구로 제작한 도자기까지 지금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는 도자공예 문화유산은 한국인의 미의식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중국 일본도자기에 비하여 기형에 있어서는 단순하고 색에 있어서는 조용한 색을 선호한 우리도자기의 아름다움은 수많은 세계의 도자기 중에서도 뚜렷한 성격을 지니는 존재가 되었고, 그 하나하나가 지니는 미술적 가치 역시 높게 평가된다.
또한 우리의 도자기는 도자기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한국문화를 이해했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문화유산으로 남아있는 도자기의 수도 매우 많고 신석기의 빗살무늬 질그릇부터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와 백자에 이르기까지 전 시대에 걸쳐 남아있으며 지배층이나 피지배층 도시나 시골 등 전 계층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만들어진 장소도 전국에 걸쳐있다
16C 중반에는 순청자와 막백자등이 일본에 전해졌는데 일본인들이 그것을 신과 같이 여겨 신기(神器)로까지 부르고 거기에 절을 하는 둥 애지중지 했다.
또한 이런 사발들이 조선에는 많다고 하여 보물을 찾으러가자 하여 임진왜란을 일으키는 하나의 계기가 된다.
도자기의 명칭
호(壺) : 항아리 / 입구가 굽의 크기랑 비슷하고 손이 들어갈 만한 크기를 가진 둥근형의 도자기를 말한다.
병(甁) : 항아리 / 크기에 상관없이 입구에 손이 들어가지 않고 부어서 사용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병이라함.
완() : 사발 / 20센티 이하의 발같은 형태의 그릇.
발(鉢) : 높은 사발 / 약 20센티 이상되는 지름의 깊이가 있는 위가 넓고 밑이 좁은 형태의 삼각형태의 그릇.
매병(梅甁) : 입구가 좁은 병 / 상부가 볼록하고 허리가 들어가며 바닥이 치마처럼 퍼진 형태.
수병(水甁) : 물병
주자(注子) : 주전자
대접(大) : 넓은 사발.
장군- 병 / 옆으로 긴 형태의 병
향로(香爐) : 향을 담는 그릇
합(盒) : 뚜껑있는 납작한 그릇
잔(盞) : 술을 담는 작은 그릇
연적(硯滴) : 벼루에 사용할 물 담는 용기
정병(靜甁) : 불교의 보살이 손에 쥐는 물병.
편병-양 부분이 납작하고 입구가 좁은 것.
명- 접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3.13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6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