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욕구단계설(hierarchy of needs theory)
1. 욕구단계설의 의미
2. 욕구단계설의 종류와 설명
3. 욕구단계설의 의의
4.욕구단계설의 가정
5. 이론의 시사점과 비판
5. 매슬로우(Abraham H. Maslow)
6. 결론
1. 욕구단계설의 의미
2. 욕구단계설의 종류와 설명
3. 욕구단계설의 의의
4.욕구단계설의 가정
5. 이론의 시사점과 비판
5. 매슬로우(Abraham H. Maslow)
6. 결론
본문내용
reshness of appreciation)
주위의 사물을, 평범한 것일지라도, 놀라움으로 바라볼 수 있다.
14) 창의적이다 (creativeness)
창의적이고 독창적이며 발명가적 기질이 있다.
15) 최대한 많은 것을 알고 경험하려 한다 (peak experiences)
6. 결론
인간의 욕구는 위계적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하위 단계의 욕구 충족이 상위 계층 욕구의 발현을 위한 조건이 된다는것이 욕구단계이론의 결론이다. 매슬로는 인간의 욕구는 우성 계층(hierarchy of prepotency)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보았다. 즉, 어떤 욕구는 다른 욕구보다 우선권을 가진다는 것인데, 이러한 욕구의 위계적 계층은 고정되어 있다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서 하위 계층의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면 상위 계층의 욕구가 나타난다. 욕구 피라미드의 하단에 위치한 4개 층은 가장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욕구로 구체적으로는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애정과 소속의 욕구, 그리고 존중의 욕구이다. 이 네 가지 욕구는 충분히 충족되지 않거나 부족할 경우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매슬로는 이들을 ‘결핍 욕구(deficiency needs)’, 혹은 줄여서 ‘d 욕구(d-needs)’로 명명했다.
이러한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고 나서야 사람들은 부차적인 혹은 상위 단계의 욕구에 대해 강한 열망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매슬로는 기본적인 욕구 충족을 넘어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의 동기를 상위 동기(메타 동기,
metamotivation)라는 용어로 설명했다.
경영자들은 욕구단계이론, ERG이론, 2요인이론 등 여러 가지 조직행동에 관련된 이론들을 배워 실무에서 어떤 식으로 작용하는가를 주의 깊게 봐야한다. 하지만 맹목적인 수용보다는 비판적인 자세로 받아들이되 적절한 취사선택을 통하여 조직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
<참고자료>
핵심조직행동론, Stephen P.Robbins, Timothy A.Judge 공저, PEARSON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0231&cid=1137&categoryId=113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04150&cid=40942&categoryId=31531
http://ask.nate.com/qna/view.html?n=3065372
주위의 사물을, 평범한 것일지라도, 놀라움으로 바라볼 수 있다.
14) 창의적이다 (creativeness)
창의적이고 독창적이며 발명가적 기질이 있다.
15) 최대한 많은 것을 알고 경험하려 한다 (peak experiences)
6. 결론
인간의 욕구는 위계적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하위 단계의 욕구 충족이 상위 계층 욕구의 발현을 위한 조건이 된다는것이 욕구단계이론의 결론이다. 매슬로는 인간의 욕구는 우성 계층(hierarchy of prepotency)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보았다. 즉, 어떤 욕구는 다른 욕구보다 우선권을 가진다는 것인데, 이러한 욕구의 위계적 계층은 고정되어 있다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서 하위 계층의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면 상위 계층의 욕구가 나타난다. 욕구 피라미드의 하단에 위치한 4개 층은 가장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욕구로 구체적으로는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애정과 소속의 욕구, 그리고 존중의 욕구이다. 이 네 가지 욕구는 충분히 충족되지 않거나 부족할 경우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매슬로는 이들을 ‘결핍 욕구(deficiency needs)’, 혹은 줄여서 ‘d 욕구(d-needs)’로 명명했다.
이러한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고 나서야 사람들은 부차적인 혹은 상위 단계의 욕구에 대해 강한 열망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매슬로는 기본적인 욕구 충족을 넘어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의 동기를 상위 동기(메타 동기,
metamotivation)라는 용어로 설명했다.
경영자들은 욕구단계이론, ERG이론, 2요인이론 등 여러 가지 조직행동에 관련된 이론들을 배워 실무에서 어떤 식으로 작용하는가를 주의 깊게 봐야한다. 하지만 맹목적인 수용보다는 비판적인 자세로 받아들이되 적절한 취사선택을 통하여 조직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
<참고자료>
핵심조직행동론, Stephen P.Robbins, Timothy A.Judge 공저, PEARSON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0231&cid=1137&categoryId=113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04150&cid=40942&categoryId=31531
http://ask.nate.com/qna/view.html?n=3065372
추천자료
아지리스의 미성숙. 성숙 이론 -맥그리거의 X .Y이론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 - 생존 관계...
매슬로우의 5단계 욕구위계이론(동기이론) 정리 - 생리적, 안전, 사회적, 자아존경, 자아실현...
동기 개념과 역할, 동기부여(모티베이션) 목표설정이론, 동기부여(모티베이션) 공평성이론, ...
[인간관계이론] 메이요(E. Mayo)의 인간관계이론, 매슬로우(A. Maslow)의 계층적 욕구론, 허...
[개인동기와 문화차이] 욕구단계이론,동기위생이론,성취동기이론과 문화
동기부여이론) 욕구이론과 직무특성모형
동기부여 이론, 맥그리거의 XY 이론 , Maslow의 욕구단계 이론
자원봉사자의 동기와 권리 : 자원봉사 동기, 자원봉사자의 권리와 책임, 동기부여이론 : 이론...
[동기부여] 동기부여이론 - 내용이론(매슬로우(Maslow)의 욕구단계이론, 허즈버그(Herzberg)...
행동과학(behavioral science)이론 - 메이요의 호손연구, 인간관계운동(맥그리거의 XY이론, ...
[교육학개론] 동기이론 {동기의 정의, 성질, 속성, 유형 행동표출 유형, 동기과정, 매슬로(Ma...
동기부여(동기유발) 내용이론 - 매슬로우(Abraham H. Maslow) 욕구계층이론 & 앨더퍼(Cla...
학습동기 관한 이론 {매슬로우 욕구위계,허즈버그 동기ㆍ위생,맥그리거 X-Y,합리적경제적인간...
인간관계론_본인이 경영자라고 가정하고 종업원들의 동기부여를 위해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