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한문] 지하철 8호선 9호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용한문] 지하철 8호선 9호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8호선 노선도
2. 한자로 변환하기
3. 노선도 각 역의 한자 훈음 적기
4. 각 역의 유래 및 정보 파악
5. 9호선 노선도
6. 9호선 한자 노선도
7.노선도 각 역의 한자 훈음 적기
8. 각 역의 유래 및 정보 파악

본문내용

에 국보, 보물급 문화재 다수
⑤지명 유래 : 동쪽의 여의도동, 서쪽의 양평동, 남쪽의 영등포동과 경계를 이루고, 북쪽은 한강을 경계로 마포구 합정동과 접한다. 동 이름은 마을 언덕 에 당(堂)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졌다.
⑥연계 노선 : 수도권 전철 2호선과 연계
14)국회의사당역(國會議事堂驛)
①위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제물포길 57 (여의도동 17-1)
②면적 : 8.40㎢
③인구 : 3만 3247명
④문화재 : 없음
⑤지명 유래 : 인근 국회의사당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⑥연계 노선 : 없음
15)여의도역(汝矣島驛)
①위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3
②면적 : 8.40㎢
③인구 : 3만 3247명
④문화재 : 없음
⑤지명 유래 : 동 이름은 홍수로 섬이 잠길 때 지금의 국회의사당이 있는 양말산만은 잠기지 않고 머리를 내밀고 있는 것처럼 보여 부근 사람들이 그것을 ' 나의 섬', '너의 섬'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한다.
⑥연계 노선 : 수도권 전철 5호선과 연계
16)샛강역
①위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②면적 : 8.40㎢
③인구 : 3만 3247명(2008)
④문화재 : 없음
⑤지명 유래 : 근처의 샛강종합생태공원에서 따 명명되었다.
⑥연계 노선 : 경부선
17)노량진역(鷺梁津驛)
①위치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
②면적 : 2.23㎢
③인구 : 5만 1371명(2008)
④ 문화재 : 사육신묘(서울유형문화재 8)
⑤지명 유래 : 이 근처에 있던 나루터를 노들나루라고 불렀는데, 이를 한자로 바꾼 것이 바로 노량진(鷺梁津)이다
⑥연계 노선 : 없음
18)노들역
①위치 : 서울특별시 동작구 본동 148
②면적 : 0.75㎢
③인구 : 1만 4068명(2001)
④문화재 : 용양봉저정(서울유형문화재 제6호)
⑤지명 유래 : 노들의 의미는 '백로가 노닐던 징검돌' 이라는 뜻으로, 지금의 노량진 주변을 이야기한다.
⑥연계 노선 : 없음
19)흑석역
①위치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
②면적 : 1.68㎢
③인구 : 3만 3679명(2008)
④문화재 : 달마사(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에 있는 사찰로 고려대장경 출판본을 봉 안한 장경도량이다.)
⑤지명 유래 : 인근에 위치한 중앙대학교와 역명 제정에 관한 논쟁이 있었던 역이며, 역명은 흑석으로 제정되었다가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 재차 변경 결정 하여 부역명으로 중앙대입구(中央大入口)를 병기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대신 개통과 동시에 7호선의 상도역에서 부역명으로 쓰이던 "중앙 대앞"이라는 병기역명은 공식적으로 삭제하기로 결정하였다.
⑥연계 노선 : 없음
20)동작역
①위치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16 (동작동 121-5)
②면적 : 2.48㎢
③인구 : 2만 1928명(2001)
④문화재 : 창빈안씨신도비부묘소(서울유형문화재54), 지장사철불좌상(서울유형문화 재75)
⑤지명 유래 : 부역명은 현충원(Seoul National Cemetery)으로, 인근에 국립서울현 충원이 있다.
⑥연계 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21)구반포역
①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본동 1053
②면적 : 6.01㎢
③인구 : 9만 4348명(2008)
④문화재 :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가 있었으나 도시계획으로 훼손됨.
⑤지명 유래 : 본래 서울시에 의해 예정된 역명은 '개울물이 서리서리 굽이쳐 흐른 다'는뜻의 '서릿개'였다. 그러나 역 일대 주민 6,700여명은 서명 운동 을 통해, 서릿개라는 명칭이 구반포 지역에서 쓰인 적이 전혀 없으며 오히려 인근의 '서래마을'과 혼동될 수 있다는 점, 또한 서릿개란 단 어가 남의 밭에서 농작물을 절도하는 행위인 '서리'를 떠올리는 등 부 정적 어감을 가진다는 이유를 들어 역명을 '구반포' 혹은 '반포본동'으 로 변경 요청했고, 서울시메트로9호선은 논의 끝에 이를 수용하여 ' 구반포'로 확정하였다.
⑥연계 노선 : 없음
22)신반포역
①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14-1
②면적 : 6.01㎢
③인구 : 9만 4348명(2008)
④문화재 :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가 있었으나 도시계획으로 훼손됨.
⑤지명 유래 : 본래 서울시에 의해 예정된 역명은 '개울물이 서리서리 굽이쳐 흐른 다'는 뜻의 '서릿개'였다. 그러나 역 일대 주민 6,700여명은 서명 운 동을 통해, 서릿개라는 명칭이 구반포 지역에서 쓰인 적이 전혀 없으 며 오히려 인근의 '서래마을'과 혼동될 수 있다는 점, 또한 서릿개란 단어가 남의 밭에서 농작물을 절도하는 행위인 '서리'를 떠올리는 등 부정적 어감을 가진다는 이유를 들어 역명을 '구반포' 혹은 '반포본동' 으로 변경 요청했고, 서울시메트로9호선은 논의 끝에 이를 수용하여 '구반포'로 확정하였다. 때문에 이와 구별하기 위해 ‘신반포’라 이름지 었다.
⑥연계 노선 : 없음
23)고속터미널역
①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1동 162
②면적 : 6.01㎢
③인구 : 9만 4348명(2008)
④문화재 :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가 있었으나 도시계획으로 훼손됨.
⑤지명 유래 : 서울고속터미널이 위치하고있어 고속터미널역이라 이름지었다.
⑥연계 노선 : 3호선 교대 방면으로 쭉 가면 3-7호선 환승이 가능하다. 3호선-9호 선은 잠원 방면, 7호선에서는 반포 방면, 9호선에서는 사평방면의 끝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24)사평역
①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30
②면적 : 6.01㎢
③인구 : 9만 4348명(2008)
④문화재 :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가 있었으나 도시계획으로 훼손됨.
⑤지명 유래 : 사평리 주위에는 작은 천이 흐르는데 천 주변에 모래밭이 있어 사평 이라 이름지었다.
⑥연계 노선 : 7호선 반포역
25)신논현역
①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102 (논현동 800)
②면적 : 2.72㎢
③인구 : 5만 996명(2008)
④문화재 : 없음
⑤지명 유래 : 공사 당시에는 역명이 신강남역 (新江南驛)이었고, 신논현역은 현재 의 926 정거장의 임시 역명이었다.
⑥연계 노선 : 2014년 서울 지하철 9호선 2단계 개통으로 분당선과 환승예정인 삼 릉공원 네거리를 지나서 2호선 종합운동장역까지 노선이 신설될 예 정이다.
  • 가격1,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3.15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0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