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본 론
결론
참고문헌
본 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학생들은 최소한의 지식도 가지지 못한 체 다음 학년으로 진학 계속해서 알지도 못하는 수업을 들어야 한다. 현행 교육과정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을 채택하여 보충학습을 시행한다고는 하지만 그 보충학습과정도 이수하지 못하고 다음 학년으로 진학하는 학생이 생겨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교사가 학생 한명 한명을 모두 고려하여 수업을 할 수도 없고, 다수의 학생을 위한 수업이기에 그런 소수의 학생들은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다. 수학 같은 과목에서는 이 같은 일이 더욱더 빈번히 일어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 과목별 유급제를 8차 교육과정에서 시행하였으면 한다. 수학같이 전 학년의 교육내용을 알고 있어야 다음 학년으로 넘어갈 수 있는 과목에 대하여서는 과목 유급제를 도입하여 1학년 과정에서의 수학 최하목표를 이수하지 못하면 학년은 올라가도 그 과목에 대하여서는 유급제를 도입해 평소과목은 학급에서 같이 수업 듣고 유급한 과목에 대하여서는 따로 다시 1학년 수업을 듣게 하는 방법이다. 이 역시 시행하기위해서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고 현재의 교육여건상 여의치 않겠지만 유급제는 필요한 방안이 아닌가 생각한다.
⑸정보화 교양 과정
예전과는 달리 지금의 학생들은 지식을 얻는 곳이 학교 뿐만은 아니다. 가정 학원 등 많은
곳 에서 정보지식을 접하게 된다. 그중 가장 가깝게 다가설 수 있는 곳이 인터넷이다. IT강국이라는 나라답게 인터넷이 설치되지 않은 집이 없고, 인터넷을 접하지 않은 학생들이 없다. 하지만 우리의 인터넷 예절은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익명이라는 점을 이용하여 남을 비난하고 남의 것을 도용하는 등 정보화 시대에 맞는 교양예절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이다. 이같이 웹상에서의 무법성은 학교교육에서 정보매체의 사용방법만 알려줬을 뿐 올바른 사용 방법과 그 필요성을 알리지 않은 이유도 있다. 인터넷상에서 흔히 리플이라고 하는 다른 사람이 쓴 글이나 게시물에 꼬 릿말을 다는 것을 보면 웹상에서의 예절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또한 남의 저작권을 훔치는 것 또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음악, 영화 등 많은 문화상품들이 피해를 보고 있고 우리문화산업 성자의 저해를 가져오고 있다. 이 같은 웹상에서의 무법성을 바로 잡기위한 교육이 학교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직 옳고 그름의 구분이 명확치 않은 어린 시절에 이 같은 일을 자꾸 하게 된다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 계속 하게 되겠지만, 어린 시절 옳지 못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면 하지 않게 될 것이다. 앞으로 우리 삶은 더욱더 정보화에 가까워지고 모든 것이 컴퓨터로 이루어질지도 모릅니다. 그런 미래사회에 대한 준비로서도 정보화 시대에 맞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8차 교육과정이 편성된다면 정보화시대의교양 과목이 신설되어 올바른 인터넷 문화가 이뤄졌으면 한다.
결 론
우리는 이 조사연구에서 국가수준 각 교육과정의 개정과정에 나타난 교육내용의 성격을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문서에서 추구된 바람직한 교육내용의 기반이 되었던 교과와 경험, 학문에 기반 한 앎의 의미는 어떠한 것인지를 알아보고 또 비판점을 찾아내었다. 수차례의 개정을 거듭하면서도 교육내용의 기초로서의 교과의 의미가 무엇인지, 경험과 학문에 기반 한 교육내용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부족했던 것이 실패하였거나 만족치 못했던 성과를 가져온 교육과정의 원인이었으리라 생각된다.
아직까지 피교육자인 입장에 있는 우리가 현재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감히 자신 있게 이해한다고 자부하기는 힘들 것 같다. 과제를 하면서 지금 시행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에서 이미 문제점으로 파악된 사안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에 대해서는 시의 적절한 조정이 절실히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즉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8차 교육과정 개정안을 엿 볼 수 있었다.
학교교육을 통해 지식인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교육내용의 원천 중 어떤 측면이 중심이 되어 다른 측면들을 통합해 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란 생각이 든다.
교육의 효과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가장 강력한 교육적 영향을 발휘하는 교육과정은 교사에 의하여 실천, 전개되는 학급 수준에서의 교육과정 운영일 것이다. 국가나 교육부, 학교장이 아무리 교육과정 계획을 잘 수립하고 제대로 운영하려 해도 각 교사에 의해서 행해지는 교육과정 운영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면 의도된 교육과정의 이념이나 목표는 달성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과정 운영의 성공 여부는 서의 교사에 의해 결정되고, 이러한 의미에서 교사야말로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느냐, 수행되지 않느냐를 결정하는 핵심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미래의 교사가 되고자 하는 학생들로서 단순히 변경된 교육과정의 숙지만이 아닌 교육과정의 역점사항과 실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교사의 책임과 의무가 막중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명심하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운영에서 전문성과 자율성을 최대한 발휘되도록 정진하는 것이 교사로서의 의무가 아닐까한다.
참고문헌
김재춘,부재율 외.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전영은, 조언진. 교과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1.
윤병희 저 교육과정 : 이론과 실제 양서원(2002)
http://www.kfta.or.kr/ Internet 한국 교원단체 총 연합회
http://www.kncis.or.kr/ Internet 교육과정 정보 서비스
이미숙 , 김경자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에 반영되어 온 교육내용의 성격
이화여대 교육과학연구소&초등교육과 논문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강현석 주동범 공저)
네이버 카페 - 학점은행제로 학사편입하기- 7차 교육과정에 관한 게시물
(http://cafe.naver.com/hakjumopen.cafe)
네이버 지식인 7차 교육과정의 실태에 관한 글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3&docid=157323)
교육인적자원부 7차 교육과정 홍보자료
(http://www.moe.go.kr/educurri/course_sub1_1.htm)
그래서 그 대안으로 과목별 유급제를 8차 교육과정에서 시행하였으면 한다. 수학같이 전 학년의 교육내용을 알고 있어야 다음 학년으로 넘어갈 수 있는 과목에 대하여서는 과목 유급제를 도입하여 1학년 과정에서의 수학 최하목표를 이수하지 못하면 학년은 올라가도 그 과목에 대하여서는 유급제를 도입해 평소과목은 학급에서 같이 수업 듣고 유급한 과목에 대하여서는 따로 다시 1학년 수업을 듣게 하는 방법이다. 이 역시 시행하기위해서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고 현재의 교육여건상 여의치 않겠지만 유급제는 필요한 방안이 아닌가 생각한다.
⑸정보화 교양 과정
예전과는 달리 지금의 학생들은 지식을 얻는 곳이 학교 뿐만은 아니다. 가정 학원 등 많은
곳 에서 정보지식을 접하게 된다. 그중 가장 가깝게 다가설 수 있는 곳이 인터넷이다. IT강국이라는 나라답게 인터넷이 설치되지 않은 집이 없고, 인터넷을 접하지 않은 학생들이 없다. 하지만 우리의 인터넷 예절은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익명이라는 점을 이용하여 남을 비난하고 남의 것을 도용하는 등 정보화 시대에 맞는 교양예절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이다. 이같이 웹상에서의 무법성은 학교교육에서 정보매체의 사용방법만 알려줬을 뿐 올바른 사용 방법과 그 필요성을 알리지 않은 이유도 있다. 인터넷상에서 흔히 리플이라고 하는 다른 사람이 쓴 글이나 게시물에 꼬 릿말을 다는 것을 보면 웹상에서의 예절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또한 남의 저작권을 훔치는 것 또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음악, 영화 등 많은 문화상품들이 피해를 보고 있고 우리문화산업 성자의 저해를 가져오고 있다. 이 같은 웹상에서의 무법성을 바로 잡기위한 교육이 학교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직 옳고 그름의 구분이 명확치 않은 어린 시절에 이 같은 일을 자꾸 하게 된다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 계속 하게 되겠지만, 어린 시절 옳지 못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면 하지 않게 될 것이다. 앞으로 우리 삶은 더욱더 정보화에 가까워지고 모든 것이 컴퓨터로 이루어질지도 모릅니다. 그런 미래사회에 대한 준비로서도 정보화 시대에 맞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8차 교육과정이 편성된다면 정보화시대의교양 과목이 신설되어 올바른 인터넷 문화가 이뤄졌으면 한다.
결 론
우리는 이 조사연구에서 국가수준 각 교육과정의 개정과정에 나타난 교육내용의 성격을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문서에서 추구된 바람직한 교육내용의 기반이 되었던 교과와 경험, 학문에 기반 한 앎의 의미는 어떠한 것인지를 알아보고 또 비판점을 찾아내었다. 수차례의 개정을 거듭하면서도 교육내용의 기초로서의 교과의 의미가 무엇인지, 경험과 학문에 기반 한 교육내용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부족했던 것이 실패하였거나 만족치 못했던 성과를 가져온 교육과정의 원인이었으리라 생각된다.
아직까지 피교육자인 입장에 있는 우리가 현재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감히 자신 있게 이해한다고 자부하기는 힘들 것 같다. 과제를 하면서 지금 시행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에서 이미 문제점으로 파악된 사안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에 대해서는 시의 적절한 조정이 절실히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즉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8차 교육과정 개정안을 엿 볼 수 있었다.
학교교육을 통해 지식인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교육내용의 원천 중 어떤 측면이 중심이 되어 다른 측면들을 통합해 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란 생각이 든다.
교육의 효과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가장 강력한 교육적 영향을 발휘하는 교육과정은 교사에 의하여 실천, 전개되는 학급 수준에서의 교육과정 운영일 것이다. 국가나 교육부, 학교장이 아무리 교육과정 계획을 잘 수립하고 제대로 운영하려 해도 각 교사에 의해서 행해지는 교육과정 운영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면 의도된 교육과정의 이념이나 목표는 달성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과정 운영의 성공 여부는 서의 교사에 의해 결정되고, 이러한 의미에서 교사야말로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느냐, 수행되지 않느냐를 결정하는 핵심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미래의 교사가 되고자 하는 학생들로서 단순히 변경된 교육과정의 숙지만이 아닌 교육과정의 역점사항과 실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교사의 책임과 의무가 막중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명심하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운영에서 전문성과 자율성을 최대한 발휘되도록 정진하는 것이 교사로서의 의무가 아닐까한다.
참고문헌
김재춘,부재율 외.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전영은, 조언진. 교과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1.
윤병희 저 교육과정 : 이론과 실제 양서원(2002)
http://www.kfta.or.kr/ Internet 한국 교원단체 총 연합회
http://www.kncis.or.kr/ Internet 교육과정 정보 서비스
이미숙 , 김경자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에 반영되어 온 교육내용의 성격
이화여대 교육과학연구소&초등교육과 논문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강현석 주동범 공저)
네이버 카페 - 학점은행제로 학사편입하기- 7차 교육과정에 관한 게시물
(http://cafe.naver.com/hakjumopen.cafe)
네이버 지식인 7차 교육과정의 실태에 관한 글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3&docid=157323)
교육인적자원부 7차 교육과정 홍보자료
(http://www.moe.go.kr/educurri/course_sub1_1.htm)
추천자료
수학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의 목표와 특징, 수학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의 편...
과학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 의미와 의의, 과학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 실태와...
단계형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개념과 목표, 단계형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운...
수준별학습(수준별교육과정, 수업)의 개념과 도입배경, 수준별학습(수준별교육과정, 수업)의 ...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 개념과 성격,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이론적 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의 의미와 필요성,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의 연구...
수준별수업(수준별교육과정, 학습) 개념과 유형, 수준별수업(수준별교육과정, 학습) 도입배경...
과학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의 정의와 특징, 과학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 교수...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수업)의 의미와 목적,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수업)의 교육부...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준별수업)의 의미와 기본유형,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준별수업)의 ...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 개념과 필요성,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설치와 ...
수준별학습(수업, 수준별교육과정) 개념과 종류, 수준별학습(수업, 수준별교육과정) 이론적 ...
수준별학습(수준별수업, 교육과정)의 종류와 도입이유, 수준별학습(수준별수업, 교육과정) 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