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감상문]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서감상문]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의 제기

2. 통계표의 의미- 중국과 서양의 과학기술의 발달 비교


3. 근대 과학기술의 순환가속기제- 과학기술 가속발전(순환가속기제)의 내적 조건은?


4. 근대 과학기술 구조- 순환 가속의 기술구조 형성을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5. 중국 전통 과학기술의 특징- 중국의 과학기술과 사회구조와의 관계

6. 원시과학구조와 그 사회화

7. 사회화의 지름길: 패러다임 기능

8. 패러다임 기능의 한계: 원시과학구조 사회화의 장애


9. 문명 내에서의 과학의 확산: 스콜라철학과 대통일 기술의 영향

10. 부정성의 확대: 과학사회화의 특수 기제

11. 상호보완 함정

12. 위대한 실험과 사회화의 장애

13. 결론

본문내용

형성하지 못한 중국의 당대 사회와 서양의 사회 구조를 계속 비교해나가는 데, 나는 그 과정에서 서양의 중세 암흑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다. 예전까지는 중세의 암흑기라고 하면, 중세 사회의 여러 방면에 절대 좋은 영향을 미치지 않은, 무섭고 암울한 시대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그와 더불어 과도한 신에 대한 숭배로 인해, 광신도들의 집단이라는 이미지가 떠올라 섬뜩하기까지 했다. 그러한 중세의 암흑기가 원시과학기술의 사회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은 무척 흥미로운 것이었다. 저자는 <소단원 9. 문명 내에서의 과학의 확산>에서 기독교를 고대그리스의 과학구조를 교리 속에 흡수함으로서 과학의 전문성에 수반되게 마련인 한계 상황을 극복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평가한다. 기독교의 교리 상으로나마 신 앞에서의 평등을 들어 노예제가 폐지되고, 그 덕분에 장인과 학자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었다. 또한 기독교로 인한 사회공동체가 형성되어, 원시과학구조의 패러다임 기능이라는 사회적 포양의 측면에서 볼 때, 상당히 유리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었다. 또,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한 스콜라철학은 종교의 힘이 막강했던 시대에도, 과학이 큰 핍박을 받지 않고 사회에 적응할 수 있었다. 그와 더불어 아랍인들에 의한 중국 대통일 기술의 전파는, 통신수단의 결핍이라는 문제를 손쉽게 해결해주었다. 이러한 서양사회의 구조와 대토일 기술로 인해, 중세 후반기에는 원시과학구조의 패러다임 기능이 크게 증강할 수 있었다.
이 책은 과학사의 연구를 내부적 연구와 외부적 연구로 크게 구분하여 설명함으로서, 중국 과학기술의 낙후 현상을 조명하였다. 내부적으로는 과학 지식 체계 자체의 발전 요건을 연구했고, 외부적으로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당대 사회적 조건을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저자는 ‘중국의 봉건적 사회구조를 고치지 않는 한, 근대과학의 수립을 위한 조건을 만족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 책을 읽는 과정에서 크게 깨달은 것 중의 하나는 과학의 발전과 사회구조가 밀접한 내적 연계에 있다는 것이다. 오랜 옛날부터 지속되어온 중국의 봉건사회 구조가 현재 중국의 과학기술의 낙후 원인이라는 점은 무척 안타까운 것이었다. 하루아침에 사회의 구조를 바꿀 수는 없는 것이겠지만, 과거의 역사를 발판삼아서 또 다른 과학기술의 진보를 꾀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앞으로의 중국이 서양의 과학 발전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기를 바란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3.16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05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