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집단의 장점
(2) 시간제 등록
(3) 특수장애아 등록
(4) 일과 계획하기
(5) 공간 구성
(6) 교육 과정 계획
(7) 흥미끌기
(8) 안전한 배지
(9) 사용하지 않는 자료 보관
(10) 이용하기 쉽게 보관하기
(11) 중분한 놀이 공간
(12) 영유아와 공간의 균형잡기
(13) 영유아 관찰하기
(14) 부모와 협력하기
(2) 시간제 등록
(3) 특수장애아 등록
(4) 일과 계획하기
(5) 공간 구성
(6) 교육 과정 계획
(7) 흥미끌기
(8) 안전한 배지
(9) 사용하지 않는 자료 보관
(10) 이용하기 쉽게 보관하기
(11) 중분한 놀이 공간
(12) 영유아와 공간의 균형잡기
(13) 영유아 관찰하기
(14) 부모와 협력하기
본문내용
의 수를 세어 보면 활동 공간의 수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발 자전거 두 대, 그네 두 대, 퍼즐 두 세트가 있다면 모두 여섯 개의 놀이 활동 공간이 있는 것이다. 적절한 활동 공간의 수는 영유아들 수의 1.5배가 적당하다. 즉, 영유아들이 16명이 있으면 활동 공간의 수는 최소한 24개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어야 영유아들에게 선택의 자유가 있다(Wilsom. 1990).
사회적 공간이란 영유아가 소속감을 느끼는 주변의 공간을 말한다. 보육시설의 보육 환경은 활동 공간으로 구성된다. 전체 영유아가 이용 가능한 놀이 공간의 수는 영유아들이 서로 얼마나 가깝게 지내느냐를 결정하는 것, 즉 영유아들이 얼마나 많은 사회적 공간을 확보하는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보육시설의 일반적인 규준은 미술 영역, 모래놀이 영역 등과 같은 활동 공간이 영유아들이 원하는 한 사용하고 활동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특정한 활동 공간에 많은 영유아들이 모여 있어 공간 밀도가 높으면 문제 행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교사는 적절한 중재를 행하고 공간의 활용도를 재분석해 보아야 한
(12) 영유아와 공간의 균형잡기
영유아들이 활동할 수 있는 적절한 인원수를 고려하여 활동영역과 학습 환경을 배치한다.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략 한 활동에 참여하는 인원수가 4, 5명일 때 가장 많은 것들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간을 배열할 때 교사는 책상 하나에 4, 5개의 의자를 배치하도록 한다. 책상에 빈 의자가 더 이상 배치되어 있지 않았다면 아이들은 그 활동을 하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다른 활동을 한다.
(13) 영유아 관찰하기
각 영유아의 행동과 욕구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얻으려고 할 때에는 영유아를 관찰한다. 관찰을 하면 영유아의 행동과 관련된 기본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다.
(14) 부모와 협력하기
영유아의 전체적인 경험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보육 지도 전략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받기 위해 부모와 협의한다. 부모와 교사는 영유아의 생활에 대해 서로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재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 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정정옥, 김광자 저, 최신 보육학 개론(영유아 교사를 위한), 교육아카데미 2012
윤은종 저, 보육학개론(영유아를 위한), 동문사 2014
이순형, 이혜승 외 저, 보육학개론, 학지사 2013
사회적 공간이란 영유아가 소속감을 느끼는 주변의 공간을 말한다. 보육시설의 보육 환경은 활동 공간으로 구성된다. 전체 영유아가 이용 가능한 놀이 공간의 수는 영유아들이 서로 얼마나 가깝게 지내느냐를 결정하는 것, 즉 영유아들이 얼마나 많은 사회적 공간을 확보하는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보육시설의 일반적인 규준은 미술 영역, 모래놀이 영역 등과 같은 활동 공간이 영유아들이 원하는 한 사용하고 활동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특정한 활동 공간에 많은 영유아들이 모여 있어 공간 밀도가 높으면 문제 행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교사는 적절한 중재를 행하고 공간의 활용도를 재분석해 보아야 한
(12) 영유아와 공간의 균형잡기
영유아들이 활동할 수 있는 적절한 인원수를 고려하여 활동영역과 학습 환경을 배치한다.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략 한 활동에 참여하는 인원수가 4, 5명일 때 가장 많은 것들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간을 배열할 때 교사는 책상 하나에 4, 5개의 의자를 배치하도록 한다. 책상에 빈 의자가 더 이상 배치되어 있지 않았다면 아이들은 그 활동을 하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다른 활동을 한다.
(13) 영유아 관찰하기
각 영유아의 행동과 욕구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얻으려고 할 때에는 영유아를 관찰한다. 관찰을 하면 영유아의 행동과 관련된 기본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다.
(14) 부모와 협력하기
영유아의 전체적인 경험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보육 지도 전략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받기 위해 부모와 협의한다. 부모와 교사는 영유아의 생활에 대해 서로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재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 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정정옥, 김광자 저, 최신 보육학 개론(영유아 교사를 위한), 교육아카데미 2012
윤은종 저, 보육학개론(영유아를 위한), 동문사 2014
이순형, 이혜승 외 저, 보육학개론, 학지사 2013
키워드
추천자료
보육학개론-영아와 유아의 차이
보육학개론-유아교육기관에서 운용하는 다양성의_가치를_존중하는_영유아_프로그램-
보육학개론_과제
[보육학개론] 보육 프로그램 - 레지오에밀리아 프로그램과 뱅크스트리트 프로그램 (이론적 배...
[보육학개론] 평가인증이란 무엇이며 왜 하는지를 아래의 입장에서 설명하고 자신의 생각을 ...
[보육학개론] 보육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해 알아보고 전문성 있는 교사가 되기 ...
[보육학개론] 보육(保育)의 개념에 대하여
[보육학개론] 영아嬰兒를 위한 보육 환경의 영역별 구성 (기저귀 가는 곳, 수유 및...
[보육학개론(保育學槪論)] 걸음마 유아를 위한 보육 환경의 영역별 구성 (기저귀 가는 곳, 식...
[보육학개론 保育學槪論] 유아기(幼兒期)의 발달과 보육(3세~5세) (신체 및 운동 발달, 사회...
[보육학개론] 현대 아동중심 보육사상에 영향을 미친 페스탈로치(Johann Heinrich Pestalozzi...
[보육학개론]17-20세기 여러 보육사상가들의 아동중심사상을 찾아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