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2. 지능의 발달
3. 사고의 발달
1) 자아중심적 사고
2) 직관적 사고의 발달
4. 개념의 발달
1) 보존개념
2) 분류
3) 서열화
5. 기억의 발달
참고문헌
2. 지능의 발달
3. 사고의 발달
1) 자아중심적 사고
2) 직관적 사고의 발달
4. 개념의 발달
1) 보존개념
2) 분류
3) 서열화
5. 기억의 발달
참고문헌
본문내용
없는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5. 기억의 발달
아주 어린 영아기부터 기억 능력이 발달한다. 영아의 기억은 습관화 현상을 통하여 연구되는데, 5개월된 영아에게 사람의 얼굴 형상을 2분 정도만 보여 주어도 2주 후에 그 얼굴의 몇 가지 요소를 기억하였고(Fagan, 1979), 1세경의 영아들은 물건을 만짐으로써 기억하는 '촉각적인재인기억’ 능력을 보여 주었다.
재인은 유아기부터 나타나는 초보적인 기억 능력이다(Gottfield & Ross, 1980). 재인의 능력은 회상보다 일찍 발달하며, 2세는 수개월, 3세는 1년, 4세는 1년 이상의 간격인 것도 기억할 수 있다고 한다. 브라운과 그의 동료들(Brown & Campione. 1972 : Brown & Scott. 1971)의 연구에 의하면 4세 아동은 친숙한 대상의 색채 그림에 대하여 정확한 단기 재인 능력을 나타냈다고 한다.
회상은 기억의 단서가 없기 때문에 재인보다 복잡한 기억 능력이다. 정보처리이론에 의하면 기억의 책략 역시 연령 증가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한다고 한다. 기억의 책략으로는 반복 시연, 조직화, 범주화, 연상 등이 있다.
기억 책략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2세 유아들에게서도 초보적인 기억 책략이 관찰된다고 한다. 어린 유아들은 주로 비언어적인 책략이나 운동적 책략을 사용하고, 상위 연령의 아동들은 언어적인 책략을 사용한다(Brown 등, 1978 . Kail. 1979).
시연이란 기억해야 할 정보를 말로 되풀이해 보는 것으로 5세 유아들의 경우 자발적인 시연은 하지 못하였으나 시연을 통해 기억할 수 있었고, 8세 이후에는 자발적인 시연이 가능하였다고 한다.
유아들의 기억 특징을 보면 우선 정서적 영향이 커서 즐거웠던 일이나 슬펐던 일은 쉽게 기억을 하고, 불안정한 상황에서는 잘 기억을 하지 못한다. 3세 이전에는 직접 경험한 구체적인 사물을 기억할 수 있고. 3세 이후에는 추상적인 것이나 언어로 표현된 것을 기억할 수 있다. 유아의 기억은 전체적이어서 노래를 배울 때 한 소절씩 기억하지 않고 전체로서 기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노래의 중간부터 시작하기가 곤란하다.
참고문헌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 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정정옥, 김광자 저, 최신 보육학 개론(영유아 교사를 위한), 교육아카데미 2012
윤은종 저, 보육학개론(영유아를 위한), 동문사 2014
이순형, 이혜승 외 저, 보육학개론, 학지사 2013
5. 기억의 발달
아주 어린 영아기부터 기억 능력이 발달한다. 영아의 기억은 습관화 현상을 통하여 연구되는데, 5개월된 영아에게 사람의 얼굴 형상을 2분 정도만 보여 주어도 2주 후에 그 얼굴의 몇 가지 요소를 기억하였고(Fagan, 1979), 1세경의 영아들은 물건을 만짐으로써 기억하는 '촉각적인재인기억’ 능력을 보여 주었다.
재인은 유아기부터 나타나는 초보적인 기억 능력이다(Gottfield & Ross, 1980). 재인의 능력은 회상보다 일찍 발달하며, 2세는 수개월, 3세는 1년, 4세는 1년 이상의 간격인 것도 기억할 수 있다고 한다. 브라운과 그의 동료들(Brown & Campione. 1972 : Brown & Scott. 1971)의 연구에 의하면 4세 아동은 친숙한 대상의 색채 그림에 대하여 정확한 단기 재인 능력을 나타냈다고 한다.
회상은 기억의 단서가 없기 때문에 재인보다 복잡한 기억 능력이다. 정보처리이론에 의하면 기억의 책략 역시 연령 증가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한다고 한다. 기억의 책략으로는 반복 시연, 조직화, 범주화, 연상 등이 있다.
기억 책략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2세 유아들에게서도 초보적인 기억 책략이 관찰된다고 한다. 어린 유아들은 주로 비언어적인 책략이나 운동적 책략을 사용하고, 상위 연령의 아동들은 언어적인 책략을 사용한다(Brown 등, 1978 . Kail. 1979).
시연이란 기억해야 할 정보를 말로 되풀이해 보는 것으로 5세 유아들의 경우 자발적인 시연은 하지 못하였으나 시연을 통해 기억할 수 있었고, 8세 이후에는 자발적인 시연이 가능하였다고 한다.
유아들의 기억 특징을 보면 우선 정서적 영향이 커서 즐거웠던 일이나 슬펐던 일은 쉽게 기억을 하고, 불안정한 상황에서는 잘 기억을 하지 못한다. 3세 이전에는 직접 경험한 구체적인 사물을 기억할 수 있고. 3세 이후에는 추상적인 것이나 언어로 표현된 것을 기억할 수 있다. 유아의 기억은 전체적이어서 노래를 배울 때 한 소절씩 기억하지 않고 전체로서 기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노래의 중간부터 시작하기가 곤란하다.
참고문헌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 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정정옥, 김광자 저, 최신 보육학 개론(영유아 교사를 위한), 교육아카데미 2012
윤은종 저, 보육학개론(영유아를 위한), 동문사 2014
이순형, 이혜승 외 저, 보육학개론, 학지사 2013
추천자료
(A+, 교육심리) 지능이론 및 기억발달
(A+, 교육심리) 지능이론 및 기억발달
아동의 사고, 인지발달 이론 및 기독교적인 관점으로 본 인지발달 이론, 하나님 인지발달
지능의 역사적 발달 단계 [지능 이론 2요인설]
발달심리학[발달심리학의 학문적 특성,지능 및 기억발달 1] 제1장 발달심리학의 학문적 특성 ...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 중 전조작기(2~7세) 발달단계와 전조작기의 사고의 특성을 서술
언어와 사고와의 관계를 언어발달의 상호작용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아동의 사고와 논리의 발달 과정에 대한 가장 유력한 이론은 삐아제의 인지발달 4단계 이론인...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유아기의 발달 (幼兒期 發達) - 신체의 발달, 인지의 발달(...
아동의 사고와 논리의 발달과정에 대한 가장 유력한 이론은 삐아제의 인지발달 4단계 이론인...
[아동발달] 아동기 인지발달(아동기 사고의 특성, 아동기 주의발달 및 기억발달)
[지능이론] 지능에 대한 이론적 접근(이요인 이론, 다요인 이론, 지능구조모형, 유동성 지능...
[아동안전관리] 영유아의 신체, 인지, 정서 발달적 특성과 안전사고를 관련지어 설명하고 ...
[영아발달검사] 영아 발달평가 - 베일리 영아발달검사 게젤발달검사 덴버발달선별검사 카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