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사고, 인지발달 이론 및 기독교적인 관점으로 본 인지발달 이론, 하나님 인지발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의 사고, 인지발달 이론 및 기독교적인 관점으로 본 인지발달 이론, 하나님 인지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동의 사고란 무엇인가?․․․․․․․․․․․․․․․․․․․․․․․․․․․․․․․․․․․․․․․․․․․․ 2 ~ 3
1) 인지의 개념
2) 아동의 사고란 무엇인가?
3) 인지발달의 이론

2. 유아의 인지발달 이론 ․․․․․․․․․․․․․․․․․․․․․․․․․․․․․․․․․․․․․․․․․․․․․․ 4 ~ 12
1)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2) Vygotsky의 인지발달 이론
3) bruner의 인지발달이론
4) Rudolf Steiner의 인지발달이론

3. 기독교적인 관점으로 본 인지발달 이론․․․․․․․․․․․․․․․․․․․․․․․․․․․․․․․ 13 ~ 43
1) Piaget
2) Williams와 Elkind 의 신앙발달이론
3) Goldman 의 종교적 사고발달 이론
4) Rudolf Steiner
5) 노만 웨이크필드 - 아동과 신학적 개념
6) Fowler의 신앙 발달이론

4. 유아의 하나님 인지발달 시기 연구 ․․․․․․․․․․․․․․․․․․․․․․․․․․․․․․․․․․․․ 44 ~ 52
5. 결론 ․․․․․․․․․․․․․․․․․․․․․․․․․․․․․․․․․․․․․․․․․․․․․․․․․․․․․․․․․․․․․․․․ 53 ~ 55
6. 참고문헌 ․․․․․․․․․․․․․․․․․․․․․․․․․․․․․․․․․․․․․․․․․․․․․․․․․․․․․․․․․․․․ 56

본문내용

가 난다”고 대답한다. “주 예수 내 맘에 오심”이라는 찬송을 들으면 어린이들은 걱정을 하게 된다. ‘어떻게 예수님이 조그마한 나의 몸에 들어오실까’라고 구체적으로 생각한다.
(3) 어린이의 종교는 의식적이다.
어린이에게 하나님이 계시다는 것을 가르치기는 쉽다. 그러나 어른처럼 어떤 종교적 감정을 주로 하여 종교 생활을 하게 하기는 어렵다. 교회에 와서 소리 질러 찬송 부르고 기도하는 것 자체가 종교라고 생각한다. 성경구절을 되풀이해서 외운다든가, 생각은 어떻든 눈감고 머리를 곱게 숙이는 것만으로도 종교인이 된 것처럼 생각한다.
(4) 어린이의 종교는 범신적이다.
문턱에 걸려 넘어졌을 때 어머니는 문턱을 때리면서 우는 아이를 달랜다. 그러면 아이가 울음을 그친다. 유치원 나이까지에는 모든 사물이 다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들은 애완동물과 친구가 되고 자기의 세계를 애완동물의 세계로 쉽게 옮겨 놓아보기도 한다. 이때에 도깨비 유령 이야기를 듣게 되면 실제로 믿고 무서워하기도 한다.
- 어린이들의 영적인 특성들
(1) 단순한 성경 개념들을 이해한다.
만 4-5세의 어린이들은 더 어린 어린이들보다 더욱 발전된 성경 개념을 배울 수 있다. 그들은 인격으로서 성부, 성자, 성령에 대하여 더 잘 배울 수 있다. 이 개념들은 성경 이야기와 다른 방법들을 가지고 가르칠 수 있다. 어떤 어린이들은 충분한 교육만 이루어진다면, 구원에 대하여 반응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어린이가 질문을 할 때 진실한 대답을 하도록 하라. 당신은 어린이들의 질문에 정확하게 답변할 수 있도록 성경 배경이 충실해야 한다. 때때로 이런 답변을 하는 것이 좋다. “선생님도 알지 못해요. 성경에서 하나님이 말씀하시지를 않으셨어요. 언젠가 우리가 하늘나라 갈 때에는, 아마도 가르쳐 주실 거예요.”
(2) 하나님을 실제의 사람으로 생각 한다
만 4-5세의 어린이들 하나님이 계시다는 사실을 수긍한다. 그들은 한 인간으로서의 예수님을 잘 알지 못하는 데도 불구하고, 주님께서는 어린이들에게 특히 중요하신 존재다.
어린이들은 예수님을 특별한 사람으로 생각하고, 주님에 대하여 배운 그대로를 순수하게 믿는다. 당신이 일상생활 속에서 행동으로 사랑을 보이는 방법에 의해 어린이들은 주님께 대한 사랑을 깨달을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을 하늘에 계신 아버지로 믿고,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로 믿는다. 신학적인 개념들을 좀 더 깊이 가르칠 수 있다.
만 4-5세의 어린이들은 하나님은 아버지시고, 창조주심을 믿는다. 그리고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믿는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창조하신 모든 것을 사랑하신다는 사실들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어린이들은 예수님을 그들의 구주로 영접할 준비가 되어 있을 수 있다.
(3) 수용력이 강하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하나님과 예수님께 대한 단순한 신앙과 신뢰를 가지고 있다. 아동들이 하나님을 실제 사람으로 생각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또 하나님이 계심을 쉽게 믿는다. 또 교회에서 배운 데로 그대로 생활에 적용하고 이야기한다. 순진한 신앙심으로 수용력이 강하다. 아동들은 자기의 집에서 가족들을 사랑하는 것처럼 하나님을 사랑할 수 있다. 아동들은 창조주요, 주권자로서 하나님을 충분히 이해할 수 없을지라도 감사와 사랑을 체험할 수 있고 표현할 수도 있다.
(4) 영적 개념이 성장 한다
성경은 하나님과 예수님에 관하여 말해주는 책이고 우리가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또 하나님을 하늘 아버지시며, 창조주시고, 예수님은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하시는 아들이라는 등의 의미 있는 영적 개념들을 이해하게 된다. 잘못했을 때는 사과하며 하나님께 용서를 구하기 시작한다.
어린이들은 영적인 진리를 배워 나갈 수 있다. 어린이들이 어떻게 가르쳐지는가에 따라 학습의 결과가 좌우된다. 부모와 교사는 어린이들이 형성기를 거치는 동안에 남은 생애를 형성하는 영적 기초를 세우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크리스천 교사의 가장 중요한 책임중의 하나가 성경적 진리를 본으로 보이는 것이다. 어른들의 행동과 태도는 자세히 관찰되고 있다. 그러므로 부모와 교사들의 생활은 어른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고 본을 받는 시기인 취학 전 단계에서 특히 중요하다.
<<6.참고문헌 >>
- 강순복. 「 삐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기독교교육」 서울 : 장로회 신학대학 출판부, 1980.
- 강호순.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 의 인지학에 대한 기독교적 함의」,
서울 :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5
- 김인재. 「아동의 하나님 표상 연구」. 서울 :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3.
- 송은영. 「교회학교 유아의 예수님에 대한 개념 연구」 . 서울 :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3
- 신명희 박명순 권영심 강소연 공저, 「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 : 학지사, 2005
- 윤선영, 「발도르프 유아교육의 첫걸음」, 서울 : 문음사, 2002.
- 전풍자, 「교회교육 지도자들을 위한 전문지」,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1984.
- 정갑순. 「주여! 이 아이를 어떻게 기르오리이까?」. 서울 : 총신대학교 출판부 . 2003.
- 정윤경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과 발도르프학교」, 서울 : 내일을 여는 책, 2000.
- Berk, Laura E, 「어린이들의 학습에 비계 설정(Scaffolding)」 : 비고스키와 유아교육’. 홍용희 역. 서울 ; 창지사, 1995.
- Clark, Robert. 「교회의 아동교육」.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9
- Cully, Iris V. 「아동 성장과 기독교 교육」서울 : 보이스사, 1988.
- Dorothy G. singer. Tracey A. Revenson 「아이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김복영김유미 옮김 서울 : 양서원 1995
- Flavell, John H, 「인지발달」, 정명숙 역, 서울 : 나남출판, 1999.
- R.S.시에글러. 「아동사고의 발달」박영신 옮김. 서울: 미리내. 1995
- William Crain. 「발달의 이론」. 송길연 유봉헌 역.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05.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56페이지
  • 등록일2011.12.14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0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