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 아동기 인지발달(아동기 사고의 특성, 아동기 주의발달 및 기억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발달] 아동기 인지발달(아동기 사고의 특성, 아동기 주의발달 및 기억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아동기 사고의 특성
1. 보존개념
2. 조망수용능력
3. 유목화
4. 서열화

II. 아동기의 주의와 기억발달
1. 주의발달
2. 기억발달

III. 인지양식
1. 수렴적 사고와 확산적 사고
2. 장의존성과 장독립성
3. 사려성과 충동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elaboratim), 집착성(Persistence) 등이 확산적 사고에 포함되는 능력이다.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은 창의성의 구성요소이다. Guilford는 창의성은 확산적인 사고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한다.
(2) 장의존성과 장독립성
장의존성(Field dependence)과 장독립성(Field independence)개념은 개인이 사물을 인식할 때 그 사물을 둘러싼 배경, 즉 장(Field)의 영향을 많이 받거나 받지 않는 인지양식을 말한다. 개인이 환경에 대처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신의 내적단서(inner clue)에 의존하는 사람은 장독립적이라고 하며 외적요인에 근거하여 판단하고 행동하는 사람을 장의존적이라고 한다. 장의존적인 사람은 장의 영향을 많이 받고, 사물을 전체로서 지각한다. 예를 들면 산 그림을 보면 산 전체의 모양에 주목한다.
그러나 장독립적인 사람은 장의 역할을 거의 받지 않으며 사물을 여러 개의 부분으로 지각한다. 즉, 산 전체가 아니라 나무 한 그루 한 그루, 바위 하나하나, 꽃 한 송이 한 송이 등을 따로따로 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장의존성과 장독립성이 혼합되어 있다고 한다.
장의존성과 장독립성은 사회적 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장의존적인 아동은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면 단서를 얻기 위해 주위 사람들에게 의존하거나 다른 사람의 견해에 맞추어 자신의 견해를 수정한다.
그러나 장독립적인 아동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매우 자율적이다. 장의존적인 아동은 사회적 관계를 잘 조율하고 사회정보를 잘 기억하기 때문에 사회사업이나 인문학 등에 적합하며 장독립적인 아동은 수학이나 과학 등 분석적 능력이 요구되는 일에 적합하다.
(3) 사려성과 충동성
사려성(reflectim)과 충동성(impulsiveness)은 어떤 문제에 당면했을 때 잘 나타난다. 사려 깊은 아동은 주어진 문제에 대한 반응을 보이기 전에 그 문제에 대한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해 궁리해보지만 충동적인 유아는 가능한 방법을 탐색하거나 사전조사 없이 문제가 주어지는 즉시 그것에 대해 반응하고 해결하려고 한다.
아동의 사려성과 충동성을 측정하기 위해 Kagan은 '짝짓기 그림검사(Matching Familar Figures Test ; MFFT)를 고안하였는데, 충동적인 아동은 그림을 주의 깊게 탐색하지 않고 보자마자 응답함으로써 많은 오류를 범했으나 사려 깊은 아동은 시간이 패 걸리더라도 그림의 세부특징까지 서로 비교하면서 오류를 거의 범하지 않는다고 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9.01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23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