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운동의 개념
2. 운동발달과정
1) 운동발달의 첫 번째 단계 : 반사운동단계
2) 운동발달의 두 번째 단계 : 초보운동단계
3) 운동발달의 세 번째 단계 : 기본운동단계
(1) 걷기(walking)
(2) 달리기(running)
(3) 두 발 뛰기(jumping)
(4) 한 발 뛰기(hopping)
(5) 말 뛰기(galloping)
(6) 스키핑 (skipping)
(7) 던지기
(8) 받기
4) 운동발달의 네 번째 단계 : 전문운동단계
참고문헌
2. 운동발달과정
1) 운동발달의 첫 번째 단계 : 반사운동단계
2) 운동발달의 두 번째 단계 : 초보운동단계
3) 운동발달의 세 번째 단계 : 기본운동단계
(1) 걷기(walking)
(2) 달리기(running)
(3) 두 발 뛰기(jumping)
(4) 한 발 뛰기(hopping)
(5) 말 뛰기(galloping)
(6) 스키핑 (skipping)
(7) 던지기
(8) 받기
4) 운동발달의 네 번째 단계 : 전문운동단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ng)
뛰기는 멀리뛰기, 높이뛰기, 뛰어내리기 등을 포함하며,3세가 되면 한 발 먼저 들며 뛰는 동작(leap)부터 시작하여 두 발뛰기가 가능해진다. 뛰어내리기 동작을 시도하는 것은 2세경에 나타나지만 3세가 될 때까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다가 5세가 되면 약 90cm 정도의 멀리뛰기와 30cm 정도의 높이뛰기를 할 수 있게 된다.
(4) 한 발 뛰기(hopping)
한 발 뛰기는 3세가 지나야 23회 정도 뛸 수 있으며, 약 만 4,5세까지 중간 정도의 성숙을 보이는데, 이 시기에는 어깨에 힘이 들어가고 뛸 때 어깨와 팔도 올리며 뛰고, 다리의 힘이 약하여 발바닥 전체로 뛰는 모습을 보인다. 만 5.5세가 지나면서 무릎을 90° 이상 굽혀 뛰게 되며 성숙에 가까운 동작으로 20회 이상 뛸 수 있게 된다.
(5) 말 뛰기(galloping)
말 뛰기는 한 쪽 다리를 앞으로 내밀고 다른 쪽 다리를 내민 다리에 끌어다 붙이는 동작의 연속으로 3세가 되면 모양을 따라 할 수 있으며 5세에는 능숙하게 할 수 있다. 일정한 리듬이 있고 쉬운 동작으로 유아기 신체활동에 자주 사용된다.
(6) 스키핑 (skipping)
이 동작은 한 발 걷기 스텝과 한 발 뛰기의 두 가지 동작이 조합된 동작으로 만 4세부터 흉내내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한쪽 발로만 동작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점차 양 발로 번갈아가며 뛰기를 할 수 있게 된다. 5.5세가 지나야 다소 능숙하게 할 수 있다.
(7) 던지기
던지기는 손으로 하는 조작운동의 하나이다. 약 2세가 된 유아의 던지기 동작은 물체를 손에서 놓는 영아기 때의 놓기 동작과 비슷하다. 던지기 동작은 2~3세에는 목표방향으로 서서 두 발을 그대로 두고 팔꿈치만 굽혀서 던지며, 45세에 몸통을 돌리며 한 발을 앞으로 내딛으며 던질 수 있고, 6세가 지나면 팔과 반대쪽 다리를 앞으로 내밀고 허리와 어깨까지 시용하여 성숙에 가까운 동작으로 던질 수 있게 된다.
던지기의 성숙단계
초기단계
- 손바닥으로 공을 잡고 팔꿈치만을 굽혀 던진다.
- 다리는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로 던진다.
중기단계
- 던지는 팔과 같은 쪽 발을 앞으로 내딛으며 던진다.
- 상체의 중심이동이 생긴다.
성숙단계
- 손끝의 탄력을 이용해 던진다.
- 던지는 팔의 다른 쪽 발을 앞으로 내딛으며 던진다.
(8) 받기
받기는 던져진 물체를 두 손과 팔을 이용해 잡는 과정에서 눈-손의 협응력과 손의 조정능력이 필요한 운동이다. 약 3세까지의 받기 동작은 팔을 벌려 제자리에서만 받을 수 있으며, 4~5세부터 공의 위치에 따라 몸과 팔을 움직여 받을 수 있다. 손바닥으로 공을 받는 능력은 56세부터 가능하다.
던지기와 받기는 모두 남아가 여아보다 먼저 성숙하는 경향을 보이며, 눈-손의 협응능력과 조작운동능력 외에 이동운동과 안정운동능력 등 복합적인 운동능력이 요구되는 운동이다.
4) 운동발달의 네 번째 단계 : 전문운동단계
유아기 동안 성숙한 운동능력을 바탕으로 약 만 7세가 되면 더욱 성숙한 운동기능으로 여러 가지 스포츠와 관련된 전문적인 운동기술을 배울 수 있는 단계가 되며, 이 시기부터 또래와 경기를 하거나 스포츠 활동을 익히고 즐긴다. 여기서 생각해 볼 점은 기본운동단계에서도 축구, 태권도, 발레, 수영 등의 전문운동을 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것은 기술을 배운다기보다 운동을 경험하고 놀이하는 수준의 운동이며,보다 전문적인 운동기술은 만 7세가 지나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뛰기는 멀리뛰기, 높이뛰기, 뛰어내리기 등을 포함하며,3세가 되면 한 발 먼저 들며 뛰는 동작(leap)부터 시작하여 두 발뛰기가 가능해진다. 뛰어내리기 동작을 시도하는 것은 2세경에 나타나지만 3세가 될 때까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다가 5세가 되면 약 90cm 정도의 멀리뛰기와 30cm 정도의 높이뛰기를 할 수 있게 된다.
(4) 한 발 뛰기(hopping)
한 발 뛰기는 3세가 지나야 23회 정도 뛸 수 있으며, 약 만 4,5세까지 중간 정도의 성숙을 보이는데, 이 시기에는 어깨에 힘이 들어가고 뛸 때 어깨와 팔도 올리며 뛰고, 다리의 힘이 약하여 발바닥 전체로 뛰는 모습을 보인다. 만 5.5세가 지나면서 무릎을 90° 이상 굽혀 뛰게 되며 성숙에 가까운 동작으로 20회 이상 뛸 수 있게 된다.
(5) 말 뛰기(galloping)
말 뛰기는 한 쪽 다리를 앞으로 내밀고 다른 쪽 다리를 내민 다리에 끌어다 붙이는 동작의 연속으로 3세가 되면 모양을 따라 할 수 있으며 5세에는 능숙하게 할 수 있다. 일정한 리듬이 있고 쉬운 동작으로 유아기 신체활동에 자주 사용된다.
(6) 스키핑 (skipping)
이 동작은 한 발 걷기 스텝과 한 발 뛰기의 두 가지 동작이 조합된 동작으로 만 4세부터 흉내내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한쪽 발로만 동작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점차 양 발로 번갈아가며 뛰기를 할 수 있게 된다. 5.5세가 지나야 다소 능숙하게 할 수 있다.
(7) 던지기
던지기는 손으로 하는 조작운동의 하나이다. 약 2세가 된 유아의 던지기 동작은 물체를 손에서 놓는 영아기 때의 놓기 동작과 비슷하다. 던지기 동작은 2~3세에는 목표방향으로 서서 두 발을 그대로 두고 팔꿈치만 굽혀서 던지며, 45세에 몸통을 돌리며 한 발을 앞으로 내딛으며 던질 수 있고, 6세가 지나면 팔과 반대쪽 다리를 앞으로 내밀고 허리와 어깨까지 시용하여 성숙에 가까운 동작으로 던질 수 있게 된다.
던지기의 성숙단계
초기단계
- 손바닥으로 공을 잡고 팔꿈치만을 굽혀 던진다.
- 다리는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로 던진다.
중기단계
- 던지는 팔과 같은 쪽 발을 앞으로 내딛으며 던진다.
- 상체의 중심이동이 생긴다.
성숙단계
- 손끝의 탄력을 이용해 던진다.
- 던지는 팔의 다른 쪽 발을 앞으로 내딛으며 던진다.
(8) 받기
받기는 던져진 물체를 두 손과 팔을 이용해 잡는 과정에서 눈-손의 협응력과 손의 조정능력이 필요한 운동이다. 약 3세까지의 받기 동작은 팔을 벌려 제자리에서만 받을 수 있으며, 4~5세부터 공의 위치에 따라 몸과 팔을 움직여 받을 수 있다. 손바닥으로 공을 받는 능력은 56세부터 가능하다.
던지기와 받기는 모두 남아가 여아보다 먼저 성숙하는 경향을 보이며, 눈-손의 협응능력과 조작운동능력 외에 이동운동과 안정운동능력 등 복합적인 운동능력이 요구되는 운동이다.
4) 운동발달의 네 번째 단계 : 전문운동단계
유아기 동안 성숙한 운동능력을 바탕으로 약 만 7세가 되면 더욱 성숙한 운동기능으로 여러 가지 스포츠와 관련된 전문적인 운동기술을 배울 수 있는 단계가 되며, 이 시기부터 또래와 경기를 하거나 스포츠 활동을 익히고 즐긴다. 여기서 생각해 볼 점은 기본운동단계에서도 축구, 태권도, 발레, 수영 등의 전문운동을 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것은 기술을 배운다기보다 운동을 경험하고 놀이하는 수준의 운동이며,보다 전문적인 운동기술은 만 7세가 지나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추천자료
영유아기의 영역별발달특징과 교사의 역할 그리고 영유아 교육과정
인간 발달과 정신 건강이 태아기,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시오.
영유아기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언어발달을 위한 교육
영유아 감각 및 지각 발달(의의, 개념, 정의, 특징, 영향, 요인, 영아기, 유아기) - 감각 및 ...
[보육학개론] 영유아 발달의 특성을 이론가들의 발달 영역과 단계를 포함하여 (신생아기에서 ...
영유아기 언어교육의 목적을 유아의 언어사용능력 및 사고발달과 연관지어 서술.
[영유아교수방법] 영아기, 유아기의 발달특성과 이에 따른 교사의 역할을 각각 자세히 설명...
영유아기 발달특성에 따른 교수학습의 가정을 설명하고, 영유아 교수학습 원리를 기술.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영·유아 연령별 발달 특징 및 유아기 발달(유아기 사고의 특성...
유아기 정서발달(영유아의 정서발달조건, 정서발달의 종류)
[유아기 인지발달] 영유아의 인지발달(유아기 인지과정발달 및 언어발달)
[영유아교수방법론] 영아기와 유아기 발달특성을 고려한 바람직한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논하...
영유아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을 철학적, 심리학적, 사회문화적 배경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
정신건강론)1 영유아기 발달장애에 대한 정의 장애인복지법에서 제시하는 발달장애의 의미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