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볼런투어리즘 등장 배경
2. 볼런투어리즘 개념 정의
3. 볼런투어리즘의 영역
4. 볼런투어리즘의 유형화
1. 볼런투어리즘 등장 배경
2. 볼런투어리즘 개념 정의
3. 볼런투어리즘의 영역
4. 볼런투어리즘의 유형화
본문내용
정의에서 중요한 이유는 진지한 여가의 대표적 활동으로 사회봉사 참여가 점차 높은 관심을 받고 있기 때문인데, 이러한 진지한 여가의 자원봉사활동 관련 요소가 볼런투어리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림 1> 볼런투어리즘의 영역
이상의 논의들을 종합해 볼 때, 볼런투어리즘 영역 이해를 위한 틀은 <그림 1>과 같이 도식화할 수 있다. 즉, Z. Mieczkowski가 다양한 형태의 대안관광으로 구분했던 문화교육과학모험농촌관광과 생태관광 및 진지한 여가라고 일컬어지는 것들이 자원봉사의 영역과 겹치는 부분이 볼런투어리즘의 영역이 되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대중관광, 대안관광, 진지한 여가, 생태관광 등에 내포되어 있는 중요한 요소(재미·흥미, 새로운 경험, 기술·지식개발 등의 기회 제공 등)에 전술한 자원봉사의 기본요소(자발성, 무상성, 공공성 등)가 첨가되어 탄생한 복합적인 개념이 바로 볼런투어리즘이라는 것이다.
4. 볼런투어리즘의 유형화
볼런투어리즘은 여행자들에게 새롭고 강렬한 방식으로 자연 세계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개인이 지각하는 자연보호의 필요성, 참여 분야, 개인의 능력 등에 따라 체감하는 정도에 크고 작은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방식으로 볼런투어리즘을 유형화할 것인지가 중요해진다. 여기에서는 <그림 1>의 볼런투어리즘 영역 이해를 위한 틀을 토대로 하여 ‘자원봉사분야’와 ‘자원봉사활동공간’을 기준으로 각각 유형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볼런투어리즘은 자원봉사분야를 기준으로 할 경우 문화·교육, 교육·과학, 사회복지, 환경(생태), 기타로, 자원봉사활동공간을 기준으로 할 경우 해외, 도시, 농촌, 기타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 유형은 그 성격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세분화되어진다.
<표 1> 볼런투어리즘의 유형화
구 분
내 용
기준
유형
자원
봉사
분야
문화·체육
볼런투어리즘
문화 도우미(박물관·미술관·역사문화유적 안내 및 주변 환경 정화·정비 등)
축제 도우미(이벤트 직접 참가, 관광객 안내, 축제 홍보 등)
컨벤션 도우미(국제회의·엑스포 등 안내, 통역, 홍보)
스포츠대회 도우미(국제대회·전국체전 진행요원, 안내, 통역, 청소, 경비 등)
교육·과학
볼런투어리즘
농어산촌이나 도서벽지에서의 학습지도(한국어·영어컴퓨터·인터넷 등 강습, 학습보조, 실험실습 체험, 과학·기술탐구 등) 활동
우주센터·천문대·항공우주과학센터·과학관 등의 전시공간 안내·설명요원과 진행(보조)요원, 과학캠프 진행(보조)요원 체험활동
사회복지
볼런투어리즘
동반여행(독거노인·소년소녀 가장·장애인·다문화가족 등의 여행 취약 계층)
사회복지시설(양로원·고아원·요양원, 장애인시설 등) 방문 후 주변 관광
생활도우미(독거노인·소년소녀 가장·장애인·다문화가족·탈북자 새터민 등 방문) 활동 후 주변 관광
환경(생태) 볼런투어리즘
자연 속 환경보호운동, 자연정화 활동(쓰레기줍기, 나무심기, 병충해방지 등)
야생동물 보호활동(동절기 먹이주기, 불법포획 예방, 치료 등)
생태 복원 관련 활동(생태계 복원, 유해 동·식물 제거, 동식물 모니터링 등)
기타
그 밖의 자원봉사활동과 관광(여행) 혹은 휴가의 결합 형태
자원
봉사
활동
공간
해외
볼런투어리즘
마을만들기(개발도상국 산간도서벽지 학교·보육원·우물 등 건설 및 보수)
재해·재난지역 원조물자 제공 및 구조 활동
의료 봉사(개발도상국 현지 주민 및 교포 대상 진료 활동과 의료용품 지원)
노력봉사(나무심기·청소·주변환경정리 등)와 교육봉사(한국어·컴퓨터·인터넷 등 강습, 학습보조, 실험실습 체험, 과학·기술 탐구 등) 활동 후 홈스테이 등 체험
도시
볼런투어리즘
특정 분야(문화·축제·컨벤션·스포츠대회 등) 도우미 활동(안내, 통역, 홍보, 청소 등) 및 관람
도심 동반여행·관광(여행 취약 계층 인솔)
유명 놀이공원·대공원 등 도우미 활동(안내, 청소, 장애인·노약자 휠체어 지원)과 동시에 이벤트 관람
농촌
볼런투어리즘
농번기 및 재해·재난 발생 시 농작물 피해 복구 등 농활 후 지역전통문화 체험 및 주변 관광
전문봉사(이·미용, 토목·건설(집짓기·집수리 등) 등) 후 지역전통문화 체험 및 주변 관광
의료봉사(한방·양방 진료 및 조제, 의료용품 지원) 후 지역전통문화 체험 및 주변 관광
기타
특정 장소에서의 자원봉사활동과 관광(여행) 혹은 휴가의 결합 형태
(우주센터·천문대·항공우주과학센터·과학관 등의 전시공간 안내·설명요원과 진행(보조)요원, 과학캠프 진행(보조)요원 체험활동)
<그림 1> 볼런투어리즘의 영역
이상의 논의들을 종합해 볼 때, 볼런투어리즘 영역 이해를 위한 틀은 <그림 1>과 같이 도식화할 수 있다. 즉, Z. Mieczkowski가 다양한 형태의 대안관광으로 구분했던 문화교육과학모험농촌관광과 생태관광 및 진지한 여가라고 일컬어지는 것들이 자원봉사의 영역과 겹치는 부분이 볼런투어리즘의 영역이 되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대중관광, 대안관광, 진지한 여가, 생태관광 등에 내포되어 있는 중요한 요소(재미·흥미, 새로운 경험, 기술·지식개발 등의 기회 제공 등)에 전술한 자원봉사의 기본요소(자발성, 무상성, 공공성 등)가 첨가되어 탄생한 복합적인 개념이 바로 볼런투어리즘이라는 것이다.
4. 볼런투어리즘의 유형화
볼런투어리즘은 여행자들에게 새롭고 강렬한 방식으로 자연 세계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개인이 지각하는 자연보호의 필요성, 참여 분야, 개인의 능력 등에 따라 체감하는 정도에 크고 작은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방식으로 볼런투어리즘을 유형화할 것인지가 중요해진다. 여기에서는 <그림 1>의 볼런투어리즘 영역 이해를 위한 틀을 토대로 하여 ‘자원봉사분야’와 ‘자원봉사활동공간’을 기준으로 각각 유형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볼런투어리즘은 자원봉사분야를 기준으로 할 경우 문화·교육, 교육·과학, 사회복지, 환경(생태), 기타로, 자원봉사활동공간을 기준으로 할 경우 해외, 도시, 농촌, 기타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 유형은 그 성격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세분화되어진다.
<표 1> 볼런투어리즘의 유형화
구 분
내 용
기준
유형
자원
봉사
분야
문화·체육
볼런투어리즘
문화 도우미(박물관·미술관·역사문화유적 안내 및 주변 환경 정화·정비 등)
축제 도우미(이벤트 직접 참가, 관광객 안내, 축제 홍보 등)
컨벤션 도우미(국제회의·엑스포 등 안내, 통역, 홍보)
스포츠대회 도우미(국제대회·전국체전 진행요원, 안내, 통역, 청소, 경비 등)
교육·과학
볼런투어리즘
농어산촌이나 도서벽지에서의 학습지도(한국어·영어컴퓨터·인터넷 등 강습, 학습보조, 실험실습 체험, 과학·기술탐구 등) 활동
우주센터·천문대·항공우주과학센터·과학관 등의 전시공간 안내·설명요원과 진행(보조)요원, 과학캠프 진행(보조)요원 체험활동
사회복지
볼런투어리즘
동반여행(독거노인·소년소녀 가장·장애인·다문화가족 등의 여행 취약 계층)
사회복지시설(양로원·고아원·요양원, 장애인시설 등) 방문 후 주변 관광
생활도우미(독거노인·소년소녀 가장·장애인·다문화가족·탈북자 새터민 등 방문) 활동 후 주변 관광
환경(생태) 볼런투어리즘
자연 속 환경보호운동, 자연정화 활동(쓰레기줍기, 나무심기, 병충해방지 등)
야생동물 보호활동(동절기 먹이주기, 불법포획 예방, 치료 등)
생태 복원 관련 활동(생태계 복원, 유해 동·식물 제거, 동식물 모니터링 등)
기타
그 밖의 자원봉사활동과 관광(여행) 혹은 휴가의 결합 형태
자원
봉사
활동
공간
해외
볼런투어리즘
마을만들기(개발도상국 산간도서벽지 학교·보육원·우물 등 건설 및 보수)
재해·재난지역 원조물자 제공 및 구조 활동
의료 봉사(개발도상국 현지 주민 및 교포 대상 진료 활동과 의료용품 지원)
노력봉사(나무심기·청소·주변환경정리 등)와 교육봉사(한국어·컴퓨터·인터넷 등 강습, 학습보조, 실험실습 체험, 과학·기술 탐구 등) 활동 후 홈스테이 등 체험
도시
볼런투어리즘
특정 분야(문화·축제·컨벤션·스포츠대회 등) 도우미 활동(안내, 통역, 홍보, 청소 등) 및 관람
도심 동반여행·관광(여행 취약 계층 인솔)
유명 놀이공원·대공원 등 도우미 활동(안내, 청소, 장애인·노약자 휠체어 지원)과 동시에 이벤트 관람
농촌
볼런투어리즘
농번기 및 재해·재난 발생 시 농작물 피해 복구 등 농활 후 지역전통문화 체험 및 주변 관광
전문봉사(이·미용, 토목·건설(집짓기·집수리 등) 등) 후 지역전통문화 체험 및 주변 관광
의료봉사(한방·양방 진료 및 조제, 의료용품 지원) 후 지역전통문화 체험 및 주변 관광
기타
특정 장소에서의 자원봉사활동과 관광(여행) 혹은 휴가의 결합 형태
(우주센터·천문대·항공우주과학센터·과학관 등의 전시공간 안내·설명요원과 진행(보조)요원, 과학캠프 진행(보조)요원 체험활동)
추천자료
제주도 관광상품의 현황및 향후 발전방안
E-business의 개념 및 등장배경
EVA의 정의와 등장배경 산정방법과 사례에 관한 이해
[행정개혁][행정혁신][행정개혁의 개념][행정개혁의 등장배경][행정개혁의 실태][행정개혁의 ...
BM특허(비즈니스모델특허)의 정의, BM특허(비즈니스모델특허)의 등장배경과 BM특허(비즈니스...
[경영학] ERP 시스템의 개념과 등장배경 및 문제점
[데이터베이스마케팅][DBM]데이터베이스마케팅(DBM)의 등장배경, 유용성과 데이터베이스마케...
[기업의사회적책임]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정의와 개념(CSR 등장배경과 필요성, 긍정vs부정...
이익집단의 개념과 등장배경 및 특성과 국가와의 관계
[재가복지서비스와 사례관리] 케어와 사례관리의 개념과 등장배경 및 현황분석
[사례관리] 케어와 사례관리의 개념과 등장배경 및 사례관리와 사회자원
지식경영의 개념, 등장배경 및 필요성
클라이언트 중심모델의 등장배경 및 주요개념과 실천개념을 정리하고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과...
비정규직 정의등장배경과 비정규직 해외정책사례분석및 비정규직으로 인한 사회적문제와 해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