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오경과 창세기
2. 명칭에 대한 해설
3. 창세기의 구초
4. 창세기의 주요내용
참고문헌
1. 오경과 창세기
2. 명칭에 대한 해설
3. 창세기의 구초
4. 창세기의 주요내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역사인 것이다. 족장사의 내용을 인물과 사건중심으로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2:1~20 가나안에서 이집트로
13:1~14:24 아브라함과 롯
15:1~21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언약
16:1~16 히갈과 이스마엘
17:1~27 언약의 표인 할례
18:1~15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아들약속
18:16~19:38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
20:1~18 아브라함과 아비멜렉
21:22~34 “ ”
21:1~21 이삭과 이스마엘
22:1~24 제물로 바쳐진 이삭
23:1~20 아브라함의 묘지 매입
24:1~67 이삭의 아내 리브가
25:1~18 아브라함과 이스마엘의 지손들
25:19~34 에서와 야곱
26:1~35 이삭과 아비멜렉
27:1~28:22 이삭의 축복과 야곱의 피신
29~31장 야곱과 라반
32~33장 야곱과 에서의 만남
34~35장 야곱의 귀향과 자손들
36:1~43 에서의 자손들과 에돔의 역사
37:1~36 이집트로 팔려간 요셉
38:1~30 유다와 다말
39~41장 죄수에서 총리로
42~46장 요셉과 야곱 가족의 만남
47~50장 야곱가족의 이집트정착
이상의 내용을 인물중심으로 압축시킨다면 12~25:18은 아브라함의 이야기를 담고 있고, 이삭의 이야기는 대부분이 아브라함의 이야기(21장, 24장)와 야곱 이야기(26장)에 흡수되어 있다. 그리고 25:19~36장은 야곱의 이야기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야곱의 이야기는 다시금 에서와의 관계, 외삼촌라반과의 관계, 그의 아들들과의 관계,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마지막으로 37~50장은 요셉의 이야기를 취급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족장들을 중심으로 하는 이야기들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주신 두 가지 약속을 기본줄기로 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그에게 새로운 땅을 주실 것이라는 약속과 그에게서 큰 민족이 이루어지게 하실 것이라는 약속이 바로 그것이다. 이 두 약속은 나중에 가나안정착과 이스라엘민족의 형성을 통해서 그 대로 이루어지지만, 적어도 족장들이 살아 있는 동안에는 좀처럼 성취되지 않는다. 아브라함을 비롯한 이스라엘의 조상이 여러 곳을 옮겨 다니면서도 정착 할 땅을 쉽게 구하지 못 한다는 이야기나 족장들의 아내가 한결같이 약속의 자손을 쉽게 얻지 못 하고서 오랜 세월을 기다려야 한다는 이야기가 이 점을 잘 보여 준다. 그렇다면 족장들이 직면한 이러한 현실, 곧 금방이라도 이루어질 것만 같은 하나님의 약속에 비해 너무도 초라한 그들의 현실은 어떤 목적을 가지는 것일까? 그것은 다른 것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주신 약속은 반드시 성취되지만 그 약속이 콕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지는 것만은 아님을 강조 한다. 아울러 그것은 족장들에게 조급한 마음을 버리고 인내심을 가지고서 하나님의 시간을 잠잠히 바랄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또한 그것은 약속의 성취가 전적으로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다는 점을 보여 주기도 한다. 사람의 힘으로는 약속성취가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말이다. 그러기에 사람이 자신의 노력으로 무엇인가를 이루고야말겠다고 생각하는 것은 약속 성취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 할 수도 있다. 오히려 하나님의 약속을 믿으면서 그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기다리는 것이 최상의 신앙일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이홍찬 저, 예수그리스도 중심의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지민 2012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창세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 2012
마틴 로이드 존스 저, 설교와 설교자, 복있는사람 2012
존 H. 월튼 저, 창세기(NIV 적용주석), 성서유니온선교회 2007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12:1~20 가나안에서 이집트로
13:1~14:24 아브라함과 롯
15:1~21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언약
16:1~16 히갈과 이스마엘
17:1~27 언약의 표인 할례
18:1~15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아들약속
18:16~19:38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
20:1~18 아브라함과 아비멜렉
21:22~34 “ ”
21:1~21 이삭과 이스마엘
22:1~24 제물로 바쳐진 이삭
23:1~20 아브라함의 묘지 매입
24:1~67 이삭의 아내 리브가
25:1~18 아브라함과 이스마엘의 지손들
25:19~34 에서와 야곱
26:1~35 이삭과 아비멜렉
27:1~28:22 이삭의 축복과 야곱의 피신
29~31장 야곱과 라반
32~33장 야곱과 에서의 만남
34~35장 야곱의 귀향과 자손들
36:1~43 에서의 자손들과 에돔의 역사
37:1~36 이집트로 팔려간 요셉
38:1~30 유다와 다말
39~41장 죄수에서 총리로
42~46장 요셉과 야곱 가족의 만남
47~50장 야곱가족의 이집트정착
이상의 내용을 인물중심으로 압축시킨다면 12~25:18은 아브라함의 이야기를 담고 있고, 이삭의 이야기는 대부분이 아브라함의 이야기(21장, 24장)와 야곱 이야기(26장)에 흡수되어 있다. 그리고 25:19~36장은 야곱의 이야기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야곱의 이야기는 다시금 에서와의 관계, 외삼촌라반과의 관계, 그의 아들들과의 관계,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마지막으로 37~50장은 요셉의 이야기를 취급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족장들을 중심으로 하는 이야기들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주신 두 가지 약속을 기본줄기로 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그에게 새로운 땅을 주실 것이라는 약속과 그에게서 큰 민족이 이루어지게 하실 것이라는 약속이 바로 그것이다. 이 두 약속은 나중에 가나안정착과 이스라엘민족의 형성을 통해서 그 대로 이루어지지만, 적어도 족장들이 살아 있는 동안에는 좀처럼 성취되지 않는다. 아브라함을 비롯한 이스라엘의 조상이 여러 곳을 옮겨 다니면서도 정착 할 땅을 쉽게 구하지 못 한다는 이야기나 족장들의 아내가 한결같이 약속의 자손을 쉽게 얻지 못 하고서 오랜 세월을 기다려야 한다는 이야기가 이 점을 잘 보여 준다. 그렇다면 족장들이 직면한 이러한 현실, 곧 금방이라도 이루어질 것만 같은 하나님의 약속에 비해 너무도 초라한 그들의 현실은 어떤 목적을 가지는 것일까? 그것은 다른 것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주신 약속은 반드시 성취되지만 그 약속이 콕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지는 것만은 아님을 강조 한다. 아울러 그것은 족장들에게 조급한 마음을 버리고 인내심을 가지고서 하나님의 시간을 잠잠히 바랄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또한 그것은 약속의 성취가 전적으로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다는 점을 보여 주기도 한다. 사람의 힘으로는 약속성취가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말이다. 그러기에 사람이 자신의 노력으로 무엇인가를 이루고야말겠다고 생각하는 것은 약속 성취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 할 수도 있다. 오히려 하나님의 약속을 믿으면서 그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기다리는 것이 최상의 신앙일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이홍찬 저, 예수그리스도 중심의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지민 2012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창세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 2012
마틴 로이드 존스 저, 설교와 설교자, 복있는사람 2012
존 H. 월튼 저, 창세기(NIV 적용주석), 성서유니온선교회 2007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키워드
추천자료
차일즈 구약신학
구약 신학자 폰라드(vonRad)
역사로본 구약신학 요점 정리 입니다.[정확함]
구약성서의 신학세계 (책 독서보고-박해령-협성대학교)
[구약서론]구약 신학의 내용 (족장 이전 시대, 족장 시대, 출애굽 시대, 왕조 전후 시대, 지...
구약석의 -창세기8장20-22절
[구약신학] 레위기 2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사형에 해당되는 여러 범죄들
[구약신학] 레위기 2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안식년과 희년
[구약신학] 레위기 2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순종의 축복과 불순종의 저주
[구약신학] 레위기 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제사장 취임식
[구약신학] 레위기 1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문둥병 진단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14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문둥병자의 정결 예식
[구약신학] 레위기 2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각종 서원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1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산모의 정결 규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