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슈라이엘마허 (Friederich Daniel Ernst Schleiermacher, 1768-1834)
2. 리츌 (Albrecht Ritschl, 1822~1889)
1) 리츌의 생애와 활동
2) 리츌의 신학사상
3) 리츌의 신학사상 비판
3. 하르낙 (Adolf Von Harnack, 1851~1930)
1) 하르낙의 생애와 활동
2) 하르낙의 신학사상 (그리스도론)
3) 하르낙의 견해에 대한 비판
2. 리츌 (Albrecht Ritschl, 1822~1889)
1) 리츌의 생애와 활동
2) 리츌의 신학사상
3) 리츌의 신학사상 비판
3. 하르낙 (Adolf Von Harnack, 1851~1930)
1) 하르낙의 생애와 활동
2) 하르낙의 신학사상 (그리스도론)
3) 하르낙의 견해에 대한 비판
본문내용
구토록 자극
b. 예수께서 유대주의 적으로 말했으나 순전히 도덕적 영적인 것이라고
c. 그 나라는 사랑의 감동적 행위를 통한 인간의 조직이라고
d. 그 나라는 하나님 중심이 아니라 순전히 인간 중심이라고
e 그 나라는 하나님의 통치가 아니라 사랑의 동기로 윤리적 원칙으로 통치
f. 그 나라를 윤리적 면에서 접근 사회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 (사회복음)
3) 리츌의 신학사상 비판
① 리츌의 하나님 나라에 관한 개념은 신약 사상과 전혀 다름
② 하나님의 나라는 인간의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행위(막 4:26-29)
③ 하나님의 나라는 세상 적 사회적인 개념이 아니라 영적인 개념
④ 하나님의 나라는 인본주의적 인간 통치가 아니라 하나님의 통치
⑤ 하나님의 나라는 세상 중심이 아니라 하늘나라 중심임
⑥ 하나님의 나라에 관한 종말론적 성격을 무시하고 있음
⑦ James Orr가 강력히 비판했지만, 후에 어떤 유사한 원리를 주장함에 이름
⑧ 후에 리츌을 따르는 사람들에 의해 수많은 저서들이 나왔다.
⑨ 오늘 날도 자유주의에서는 리츌을 훌륭하게 평가하고 있다.
3. 하르낙 (Adolf Von Harnack, 1851~1930)
1) 하르낙의 생애와 활동
①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엽에 신학계의 거장 (약 40여 년 간)
② 수많은 저술 중에 “History of Dogma, (전 7권)
③ 속사도교부들의 비판서 저술 (신약연구에도 전문가)
④ 베스트셀러의 저서
[What is Christianity/Daswesen des christentums]
a. 1899~1900까지 강의한 시리즈 내용
b. 600여명의 청중이 듣고 1927년에 14판이 출간
c. 이 책의 내용
⒜ 서론: 사복음서의 내용 (요한복음에 비평적 태도)
⒝ 자연을 초월한 이적이란 없다 (자연에서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이적)
⒞ 그러므로 이적이란 중요한 것이 못 된다.
⒟ 기독교의 본질 즉 복음이란 인류의 영적 자유에 관한 대 선언
하나님의 나라와 그 나라의 임하심
하나님의 나라와 인간 영혼의 무한한 가치성
보다 고상한 이와 사랑의 계명
⒠ 그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나라는 영혼이 하나님 안에서 소유하는 보화
⒡ 그 나라는 영적이고 내적인 혁신을 묘사하는 어떤 윤리적 술어일 뿐
⒢ 하나님의 나라는 본질적으로 비 종말적인 것 (아무런 의미도 없다고)
2) 하르낙의 신학사상 (그리스도론)
① 예수는 단순히 종교적 인간에 불과 하다.
② 예수의 메시지는 자신이 아니라 하나님을 중심한 것
③ 복음이란 아버지와의 관계로 아들과는 무관하다.
④ 예수는 일종의 복음사상의 화신일 뿐 단순한 모범이 아님
⑤ 하르낙은 메시아 의식의 역사성을 믿는다.
⑥ 그리스도의 메시아 주장은 본질적이 아니다 (단지 아버지와의 관계)
⑦ 그 당시 메시아 소망을 가진 사람들에게 자기의 사상을 깨닫게 하기 위한 것
⑧ 예수님 마음에 맞지 않는 것으로 오히려 그것이 큰 부담이 되었다고
⑨ 도덕적 감화설 주장 (십자가를 통하여 인류가 잊을 수 없는 위대한 능력과 사랑을 경험하게 한 것이라고)
⑩ 부활신앙과 부활메시지를 구분한다 (부활 메시지는 빈 무덤과 육체부활의 메시지라는 것으로 믿을 것이 못 된다고)
⑪ 그러나 예수께서 어떻게 살아 있고, 거기에 영생이 있다는 부활신앙은 우리가 가질만한 가치가 있으나 그러한 부활신앙 없이도 부활신앙을 가질 수 있다고)
⑫ 영생의 소망에 대한 기초는 그리스도의 유일한 구속사역이 아니라 역사적 예수의 인격에 대한 강력한 감동을 받는 데 있다
3) 하르낙의 견해에 대한 비판 (Machen, Christianity and Liberalism)
① 하르낙의 신학사상은 극히 주관적임 (자유주의의 가정에 오리엔트 됨)
a. 자신의 개인적인 신화사상을 통하여 예수님의 견해의 본질을 파악함
b. 자신이 말하는 것 외에 모든 것을 비본질적인 것이나 불필요한 것이라고 함
c. 하나님이 아버지, 인간이 형제 됨이 본질, 메시아 직분은 형식에 불과
d. 하르낙의 가정은 인도주의적인 가정이다.
e. 역사를 진, 선, 미의 힘의 점진적 승리라고 함
f. 즉 인류는 자연의 상태로부터 문명의 상태로 한걸음씩 전진한다고 함
g. 각 개인은 자신을 영적인 세력 앞에 공개하며 어떤 자유로운 인격을 발전시킴으로 이러한 투쟁에 함여하고 있다고.
h. 때때로 역사상에 특수한 방법으로 위대한 힘을 나타내는 인물이 나타난다고
i. 이러한 사람들 중에 한 분이 예수님이라고 함.
② 하르낙은 기독교의 핵심이 예수님의 개성과 그의 교훈이라고 함
a. 하르낙은 예수님의 교훈에 중점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b. 그것도 예수님의 생애에 있어서 도덕적 교훈을 강조하고 있다.
c. 그러나 복음서들은 한결같이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과 부활을 강조하고 있다.
d. 말하자면 수난생애와 죽음과 부활이 불가분의 관계로 연계되어 있는 것이다.
e. 마태복음 28장 중 8장이 생애 중 단지 일주일간의 사건들을 취급하고 있다.
f. 마가복음 12~21장이 이 기간에 관하여 취급하고 있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
③ 하르낙은 예수님의 죽으심에 관하여 역사적인 해석을 주지 못함
a. 만일 역사적으로 예수님의 생애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면, 예수님의 생애에 있어서 유대인들과의 갈등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b. 왜냐하면, 예수께서 유대인과의 갈등으로 그들에게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신 역사적 사실을 설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c. 그러나 하르낙은 분명한 역사적 사건들인 예수님의 생애에 있어서 십자가의 죽으심과 부활과 승천에 관하여 설명해주지 못 하고 있다.
④ 하르낙은 예수님이 메시아직에 관하여 다른 것들보다 강조하지 않았다고 함
a. 하르낙은 예수님의 메시아직이 그의 본질적인 사업에 불필요하다고 함.
b. 오히려 본질적인 사업에 장애물이 된다고 함
c. 그러나 그의 메시아 직은 본질적인 사역이며 메시아로 항상 행동하셨다.
d. 그의 메시아 행위는 수없이 많이 나타나 있다 (요 2:17; 막 16:21; 눅 10:21)
e. 예수의 메시아 직의 본질적 행위 중 중요한 것이 그의 고난과 죽으심이다.
f. 그는 메시아의 의식으로 생애와 죽음을 맞이했다 (마 26:24; 묵 9:51).
b. 예수께서 유대주의 적으로 말했으나 순전히 도덕적 영적인 것이라고
c. 그 나라는 사랑의 감동적 행위를 통한 인간의 조직이라고
d. 그 나라는 하나님 중심이 아니라 순전히 인간 중심이라고
e 그 나라는 하나님의 통치가 아니라 사랑의 동기로 윤리적 원칙으로 통치
f. 그 나라를 윤리적 면에서 접근 사회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 (사회복음)
3) 리츌의 신학사상 비판
① 리츌의 하나님 나라에 관한 개념은 신약 사상과 전혀 다름
② 하나님의 나라는 인간의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행위(막 4:26-29)
③ 하나님의 나라는 세상 적 사회적인 개념이 아니라 영적인 개념
④ 하나님의 나라는 인본주의적 인간 통치가 아니라 하나님의 통치
⑤ 하나님의 나라는 세상 중심이 아니라 하늘나라 중심임
⑥ 하나님의 나라에 관한 종말론적 성격을 무시하고 있음
⑦ James Orr가 강력히 비판했지만, 후에 어떤 유사한 원리를 주장함에 이름
⑧ 후에 리츌을 따르는 사람들에 의해 수많은 저서들이 나왔다.
⑨ 오늘 날도 자유주의에서는 리츌을 훌륭하게 평가하고 있다.
3. 하르낙 (Adolf Von Harnack, 1851~1930)
1) 하르낙의 생애와 활동
①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엽에 신학계의 거장 (약 40여 년 간)
② 수많은 저술 중에 “History of Dogma, (전 7권)
③ 속사도교부들의 비판서 저술 (신약연구에도 전문가)
④ 베스트셀러의 저서
[What is Christianity/Daswesen des christentums]
a. 1899~1900까지 강의한 시리즈 내용
b. 600여명의 청중이 듣고 1927년에 14판이 출간
c. 이 책의 내용
⒜ 서론: 사복음서의 내용 (요한복음에 비평적 태도)
⒝ 자연을 초월한 이적이란 없다 (자연에서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이적)
⒞ 그러므로 이적이란 중요한 것이 못 된다.
⒟ 기독교의 본질 즉 복음이란 인류의 영적 자유에 관한 대 선언
하나님의 나라와 그 나라의 임하심
하나님의 나라와 인간 영혼의 무한한 가치성
보다 고상한 이와 사랑의 계명
⒠ 그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나라는 영혼이 하나님 안에서 소유하는 보화
⒡ 그 나라는 영적이고 내적인 혁신을 묘사하는 어떤 윤리적 술어일 뿐
⒢ 하나님의 나라는 본질적으로 비 종말적인 것 (아무런 의미도 없다고)
2) 하르낙의 신학사상 (그리스도론)
① 예수는 단순히 종교적 인간에 불과 하다.
② 예수의 메시지는 자신이 아니라 하나님을 중심한 것
③ 복음이란 아버지와의 관계로 아들과는 무관하다.
④ 예수는 일종의 복음사상의 화신일 뿐 단순한 모범이 아님
⑤ 하르낙은 메시아 의식의 역사성을 믿는다.
⑥ 그리스도의 메시아 주장은 본질적이 아니다 (단지 아버지와의 관계)
⑦ 그 당시 메시아 소망을 가진 사람들에게 자기의 사상을 깨닫게 하기 위한 것
⑧ 예수님 마음에 맞지 않는 것으로 오히려 그것이 큰 부담이 되었다고
⑨ 도덕적 감화설 주장 (십자가를 통하여 인류가 잊을 수 없는 위대한 능력과 사랑을 경험하게 한 것이라고)
⑩ 부활신앙과 부활메시지를 구분한다 (부활 메시지는 빈 무덤과 육체부활의 메시지라는 것으로 믿을 것이 못 된다고)
⑪ 그러나 예수께서 어떻게 살아 있고, 거기에 영생이 있다는 부활신앙은 우리가 가질만한 가치가 있으나 그러한 부활신앙 없이도 부활신앙을 가질 수 있다고)
⑫ 영생의 소망에 대한 기초는 그리스도의 유일한 구속사역이 아니라 역사적 예수의 인격에 대한 강력한 감동을 받는 데 있다
3) 하르낙의 견해에 대한 비판 (Machen, Christianity and Liberalism)
① 하르낙의 신학사상은 극히 주관적임 (자유주의의 가정에 오리엔트 됨)
a. 자신의 개인적인 신화사상을 통하여 예수님의 견해의 본질을 파악함
b. 자신이 말하는 것 외에 모든 것을 비본질적인 것이나 불필요한 것이라고 함
c. 하나님이 아버지, 인간이 형제 됨이 본질, 메시아 직분은 형식에 불과
d. 하르낙의 가정은 인도주의적인 가정이다.
e. 역사를 진, 선, 미의 힘의 점진적 승리라고 함
f. 즉 인류는 자연의 상태로부터 문명의 상태로 한걸음씩 전진한다고 함
g. 각 개인은 자신을 영적인 세력 앞에 공개하며 어떤 자유로운 인격을 발전시킴으로 이러한 투쟁에 함여하고 있다고.
h. 때때로 역사상에 특수한 방법으로 위대한 힘을 나타내는 인물이 나타난다고
i. 이러한 사람들 중에 한 분이 예수님이라고 함.
② 하르낙은 기독교의 핵심이 예수님의 개성과 그의 교훈이라고 함
a. 하르낙은 예수님의 교훈에 중점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b. 그것도 예수님의 생애에 있어서 도덕적 교훈을 강조하고 있다.
c. 그러나 복음서들은 한결같이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과 부활을 강조하고 있다.
d. 말하자면 수난생애와 죽음과 부활이 불가분의 관계로 연계되어 있는 것이다.
e. 마태복음 28장 중 8장이 생애 중 단지 일주일간의 사건들을 취급하고 있다.
f. 마가복음 12~21장이 이 기간에 관하여 취급하고 있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
③ 하르낙은 예수님의 죽으심에 관하여 역사적인 해석을 주지 못함
a. 만일 역사적으로 예수님의 생애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면, 예수님의 생애에 있어서 유대인들과의 갈등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b. 왜냐하면, 예수께서 유대인과의 갈등으로 그들에게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신 역사적 사실을 설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c. 그러나 하르낙은 분명한 역사적 사건들인 예수님의 생애에 있어서 십자가의 죽으심과 부활과 승천에 관하여 설명해주지 못 하고 있다.
④ 하르낙은 예수님이 메시아직에 관하여 다른 것들보다 강조하지 않았다고 함
a. 하르낙은 예수님의 메시아직이 그의 본질적인 사업에 불필요하다고 함.
b. 오히려 본질적인 사업에 장애물이 된다고 함
c. 그러나 그의 메시아 직은 본질적인 사역이며 메시아로 항상 행동하셨다.
d. 그의 메시아 행위는 수없이 많이 나타나 있다 (요 2:17; 막 16:21; 눅 10:21)
e. 예수의 메시아 직의 본질적 행위 중 중요한 것이 그의 고난과 죽으심이다.
f. 그는 메시아의 의식으로 생애와 죽음을 맞이했다 (마 26:24; 묵 9:51).
소개글